"정치도 서비스, 국민 가려운 곳을 의원 스스로 파악하려는 노력 필요"
"원 구성 재협상, 견제와 균형 원리로 건강한 국회 위한 것...구걸은 안해"
"집 없는 사람들 위해 대출규제 완화...집 있는 사람들 위해 공시가격 하향 조절"

[폴리뉴스 대담 김능구 대표, 정리 이승은 기자] 국민의힘 원내대표에 출사표를 던진 권성동 의원은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와 정국진단 인터뷰를 갖고 원내대표 후보로서 비전과 국회 대책, 정국전망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국민의힘 원내대표 후보로 나선 권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무능, 폭정에 많은 부분 환멸을 느꼈으며 정권교체, 헌법정신인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주의 살려야된다고 생각한다"며 "통합으로 가야되는 것 아니냐는 주문이 많아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부,여당에 맞서서 가장 잘 싸울 수 있는 적임자"라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원 구성 주장과 관련해서는 "21대 금년에는 해당되지 않는게 원칙이지만, 1년차 때 원 구성 자체가 국회 오랜전통 관행, 불문법 위반하는 것이었고 그것이 의회 독주 요소였기 때문에 저희당에서 다시 재협상 하라고 주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법사위원장 재분배와 관련해 권 후보는 "법사위원장은 여야로 나누는게 관행이며 의석수 따라 상임위를 배분했다"며 "견제와 균형 원리로 작동해 건강한 국회, 대화와 타협 만들기 위한 선배의원들의 정치적 결단이었다. 그런 정치적 결단을 민주당이 위반한 것이고 이를 다시 원상회복 하라고 요구하는 것이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민주당이 아예 대화 자체도 거부한다면 구걸하고 싶진 않다"며 "그렇지만 그로인한 정치적 책임은 그대로 다 물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권 후보는 원내대표가 된다면 핵심법안 처리 등 국회 대책 등의 계획에 대해 "문재인 정부 정책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본 분들이 집 없는 사람들이다. 집값 폭등, 전셋값 폭등으로 인간적 기본적 본능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책적 측면에서 대출규제완화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고 반대로 집을 갖고 있는 분들은 공시가격 세금 폭탄 맞아 엄청난 재산적 부담 가중되었다. 공시가격 하향 조절하는 방법 등을 여당과 머리를 맞대 논의해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초선 당대표 출마 박수칠 일, 역동적인 민주정당 징표”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원내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사진=연합>
▲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원내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사진=연합>

국민의힘 초선이 이번 당대표에 출마하는 것에 대해 "정치를 새로 시작하는 마당에 내가 당대표 맡아서 환골탈태, 개혁시키겠다, 새로운 방법으로 운영해보겠다는 것은 박수칠 일"이라며 "그런 것이 우리당의 역동적이고 민주정당이라는 하나의 징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초선 의원들의 자신의 정치적 철학, 비전 제시하는 것에 우리가 환영하고 칭찬해야된다고 생각한다"며 "초선이 당대표가 되어야 하냐, 중진이 되어야 하냐는 문제는 당원이 결정할 사항이고, 어느 지역 출신이 되고 안되고의 그런 기준 자체는 민주정당에서 있어서는 안될 일"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의 '혁신'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권 후보는 "결국 정당의 역할은 선거 승리다. 민심을 얻어야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며 "민심이 무엇을 바라고 있는지를 포착해내는 것이 정당의 가장 큰 임무다. 거기에 맞춰 정책을 설계해야할 것이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정치도 서비스라는 개념을 가져야한다"며 "국민과 대화 자주 하고 소통 자주해 국민들의 가려운 곳이 무엇인지 의원 스스로가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인 대안 내놓아야 한다. 나이 먹으며 의원들도 젊은 세대와 단절되는 경향이 있지만, 당내에 젊은 의원, 초선 의원 등과 함께 대화하고 개선해야하는 것이 무엇인지 등을 듣고 제도 운영에 반영하는 노력을 기울여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강원도 강릉시에서 태어난 권성동 의원은 제27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검사, 변호사로 활동한 법조인 출신이다. 이명박 정부의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 민정수석실 법무비서관으로 임명되면서 정계에 입문한 그는 제 18대, 19대, 20대, 21대에 당선돼 4선의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제 20대엔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새누리당을 탈당하고 바른정당에 입당했으나, 이후 바른정당도 탈당했다. 제 21대에 무소속으로 출마 후 국민의힘에서는 그의 복당을 승인했다. 

제 20대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 시절 권성동 의원의 모습 <사진=권 의원 페이스북>
▲ 제 20대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 시절 권성동 의원의 모습 <사진=권 의원 페이스북>

[다음은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 인터뷰 전문이다] 

Q. 원내대표 출마의 변 짧게 말씀해달라.
=우선 내년에 대선이 있지 않나. 문 정부의 무능 폭정에 대해서 많은 부분 환멸 느끼고 있고, 정권 교체, 헌법정신인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주의 살려야되는거 아니냐고 많이 생각 하고있다. 국민 통합으로 가야되는거 아니냐는 주문이 많아서 그동안의 경험 바탕으로 정부,여당 맞서서 가장 잘 싸울 수 있는 적임자가 저라고 생각한다. 

Q. 원내대표 되시면, 원 구성을 책임진다고 밝힌바 있다. 
=원 구성 원래 2년에 한번씩이다. 사실 21대 국회 1년차 때 원 구성했고 금년에는 해당 안되는게 원칙이다. 그렇지만, 1년차 때 원 구성 자체가 국회 오랜전통 관행을 위반한 것이었고 그것이 의회 독주 요소였기 때문에 저희 당에서 다시 재협상 하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Q. 21대 국회에서,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민의힘이 국회에서 할 일이 별로 없다는 자정론도 많았다. 원내대표 하시면, 법안 중에서 핵심법안이라던지 등 국회 대책을 입법 차원에서 한 말씀해달라. 
=그런데, 민주당 다수 180석 점하고 있기 때문에 민주당 지난 1년 마찬가지로 태도 견제하면 야당이 할 일은 속수무책이다.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과거처럼 단식을 하겟나. 국민들 동의하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렇지만 결국 정책은 국민 바라보고 하는 것, 야당 태도 맞고 옳다라는 평가 나올 수 있게끔 국민들 설득하는 것을 계속할 것이다. 선거는 심판이다. 그래서 여당 태도 변화로 민주당이 야당과 대화 하고 협상하겠다면 의미있는 변화가 있을 것이다. 만일 그런 자세가 없다면 우리 당 독자적인 것은 의미가 없다. 
민주당의 태도 변화 전제로 얘기한다면, 저는 문재인 정부의 정책으로 가장 큰 피해 본 분들이 집없는 사람들이다. 집 없는 분들 집값 폭등, 전셋값 폭등으로 기본적 본능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이 배경에는 대출규제가 있는데, 정책적 측면으론 대출 규제완화에 힘을 쏟아야할 것이고, 집을 갖고 있는 분들은 공시가격 세금 폭탄 맞아서 집 한 채밖에 없는 실소유자들에게 엄청난 재산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래서 공시가격를 하향 조절하는 방법, 이런 부분 여당과 머리를 맞대고 논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Q. 당, 의원 여러 세력중에서 초선의 젊은 의원이 당대표 도전에 나섰다. 보수정당으로는 이례적이다. 어떻게 평가하시나 
=과거에도 초선 당 대표 도전했을 것이다. 이례적인 것은 아니다. 정치 새로 시작하는 마당에 내가 당 대표 맡아서 환골탈태, 개혁 시키겠다, 새로운 방법 운영해 보겠다, 그런 것 자체는 박수칠 일이다. 그런 것이 우리 당 역동적이고 민주정당 하나의 징표라고 생각한다. 초선 의원들이 자신의 정치적 철학, 비전 제시하는 것 자체는 우리가 환영하고 칭찬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초선이 대표가 되어야 하냐, 중진이 되어야 하냐는 문제는 당원이 결정할 사항이다. 그렇지만 어느 지역출신 되고 안되고 그런 기준 자체는 민주정당에서는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Q. 국민의힘 혁신 고삐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나.
=결국 정당의 역할은 선거 승리다. 민심을 얻어야 하고, 제일 중요한 것은 민심은 뭘 바라고 있느냐를 포착해내는 것이 정당 가장 큰 임무다. 거기에 맞춰 정책을 설계 해야된다. 두 번째는 정치도 서비스라는 개념을 갖고 있어야 된다. 국민과  대화 자주 하고 소통 자주하고 국민 가려운 곳이 무엇인지 의원 스스로가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인 대안 내놓아야 한다. 나이가 먹어가면서 의원들도 사실 젊은 세대와 단절되는 경향이 있다. 당내에 젊은 의원, 초선의원 등 의원 모셔서 윗 세대와 함께 대화하고 개선해야하는 것이 무엇인지, 나아가야할 점은 무엇인지 등을 듣고 제도 운영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