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경기회복됐지만 코로나19 이전수준 아냐
한국은행, 내년 2분기~3분기 기준금리 인상될 것

오는 2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통화정책방향 정책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여부를 논의한다. <사진=한국은행> 
▲ 오는 2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통화정책방향 정책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여부를 논의한다. <사진=한국은행> 

 

[폴리뉴스 신미정 기자]  한국은행이 이달 27일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 논의한다. 전문가들은 올해까지는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금리 인상시기는 내년 하반기로 전망했다. 

오는 2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통화정책방향 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 논의한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3월 기준금리를 1.25%에서 0.75%로 내렸다. 같은해 5월 0.5%로 한차례 더 내린뒤 현재까지 역대 최저 수준의 기준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금통위는 지난달 통화방향정책문에서 “국내경제는 회복세가 다소 확대됐다”면서도 “코로나19 전개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고 수요측면의 물가상승앞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도 같은 이유로 올해 말까지 한국은행의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며 내년 하반기에 금리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글로벌투자전략팀 연구위원은 “올해 1분기부터 경기가 회복돼 성장률이 상향됐지만 코로나 이전 수준까지 회복세가 확인돼야 해 아직은 금리인상 시기는 아니다”고 말했다.

김연진 유진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 또한 경기회복세가 뚜렸하지 않다는 의견에 동의했다. 김 연구원은 “최근 고용률이 높아졌다고는 하지만 연령별로 보자면 50대~60대 고용이 높은 반면 20대 고용률은 낮다"며 "코로나 이전에 비해서는 경기가 부진한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기준금리 인상시기로는 내년 2분기(4월~6월)를 말했다. 김 연구원은 “미 연준이 2023년 2분기에 금리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보통 선진국보다 신흥국이 1년 정도 먼저 금리를 올리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홍춘욱 EAR리서치 대표는 빨라야 올해 하반기에 금리인상이 논의될 것으로 전망했다. 홍 대표는 “지난해 우리나라 성장률이 3%~4%를 보였다”며 “일반적으로 2%~3%를 보이는 것과 비교해 이를  만회하려면 5%~6% 성장률이 나와야 복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는 금리인상을 이야기할 상황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어 홍 대표는 “올해 20대 졸업자들이 취업을 많이 못했기 때문에 이부분에 대한 해소가 있어야한다”며 따라서 “현재와 같은 성장이 이어지고 내년 상반기에 실업사태가 완화되면 금리인상은 하반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강현주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 3분기(6월~8월)가 적절하다고 봤다. 강 연구원은 “올해 물가상승률이 2분기에 많이 올라가고 있지만 공급측면에서 일시적인 상승으로 보이고 내년에 다시 1%로 하락 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집값, 코로나19 백신보급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변수로 작용해  3분기에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강 연구원은 "한국은행 총재가 내년 3월에 임기만료되는데 5월에 대선이 있을 뿐아니라 신임 총재가 오자마자 금리인상을 이야기하기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