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ESG의 발전방향 모색’ 컨퍼런스에서 전문가들 ESG에 ‘표준화 필요’
“공정위와 금융위원회의 제재를 통해 ESG 리스크를 구분할 수 있는 지표로 쓰일 수 있다” 최수연 대신지배구조연구소 연구원

23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 호텔에서 '한국 ESG의 발전방향 모색' 콘퍼런스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 23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 호텔에서 '한국 ESG의 발전방향 모색' 콘퍼런스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폴리뉴스 양윤우 인턴기자] 탄소중립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이슈가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에 중요하며, 그 실천을 돕기 위해 ESG 공시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특히 규제당국의 제재를 ESG 리스크와 연계시키자는 주장도 나와 관심을 모은다.

23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 호텔에서 진행된 한국 기업 거버넌스포럼 주최 '한국 ESG의 발전방향 모색' 콘퍼런스에서 히로 미즈노 유엔(UN) 혁신 금융·지속 가능 투자 특사는 "단기적으로는 금융 관련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겠으나 장기적 안목으로 접근한다면 많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미즈노 특사는 기조 연설에서 "어떤 기업이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알려지면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이유로 주가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라며 "다수의 이해관계자 등이 환경 보호가 자산 보호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개념적인 차원에서 다들 동의하지만 실제로 실행하고 실천하는 부분에 있어서 다른 목소리가 나오기도 한다"며 특히 ESG 표준화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많다고 언급했다.

미즈노 특사는 이에 "공시 방식을 표준화한다든지 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탄소 발자국을 ESG 리스크 관련해서 포트폴리오상에 공시한다면, 숙제처럼 마땅히 해야 하는 일처럼 의무화하면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다른 기조연설자로 나선 케리 워링 (Kerrie Waring) 국제기업거버넌스연대(ICGN) 대표는 ICGN의 ESG 관련 원칙을 소개하며 이사회의 독립성 및 다양성, 투명한 정보 공개,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회계 기준 등을 강조했다.

워리어 대표는 "이사 선출 과정에서도 규정과 기준을 통해 이사회 및 직원의 다양성을 구축하고 유지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워닝은" ICGN 회원 기관들의 피드백과 전 세계적인 펀드의 피드백을 받아서 지배 구조 원칙을 개정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한 몇 가지 개정 사안으로는 '기업의 목적을 공시할 목적', '이사들의 책임 강화' 그리고 '지속 가능성 회계 관련 보고 기준' 등을 꼽으며, 2030년까지 한국의 회계 보고 기준을 의무 조항으로 담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워링 대표는 "이사회 및 직원의 다양성을 구축해야 한다"며 "이사 선출 과정에서도 분명한 규정과 기준을 통해서 장기적 기업 전략이 진행되어야 이사회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류영재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회장은 개회사에서 "최근 우리나라는 'ESG 광풍'이라고 할 정도로 관련 논의가 매우 뜨겁다"며 "지금 몰려오고 있는 현재의 ESG 광풍을 '지속 가능한 순풍'으로 변화시켜 미래 우리나라 투자 문화와 기업 경영 질서를 ESG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까를 놓고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 고민의 출발점을 공적 연기금들의 진정성 있는 ESG 투자에서 찾고자 한다"며 "공적 연기금들이 단기 성과에 좌우되지 않고 긴 호흡으로 ESG 투자를 지속하며 기업과 산업에 자금을 공급해 나갈 때 우리나라 산업과 기업 역시 ESG 친화적으로 서서히 변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축사에서 "ESG는 단기간 유행하는 성격의 이슈가 아니며 앞으로 꾸준히 지속해야 할 중요한 주제"라며 "정부는 강한 정책 의지를 가지고 지원하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대신지배구조연구소의 최수연 선임연구원이 낸 ‘공정거래위원회 심결제도와 금융위원회 제재제도: ESG 리스크의 의미와 측정’ 보고서에 따르면 “공정위와 금융위원회가 공개한 제재를 통해 ESG 리스크를 구분할 수 있는 지표로 쓰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어떤 기준으로 정책과 금융당국의 제제를 받았는지 기준이 공개된다면 “ESG리스크 정량화가 쉬울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주장했다.

이는 ESG의 공시를 표준화하자는 주장과 맥락이 같아 주목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