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이우호 기자] 국민의힘 대선주자 원희룡 전 제주지사가 28일 "화천대유의 김만배가 유한기에게 2015년 대장동 개발 관련 수억원을 건넨 사실을 공익제보 받았다"라고 밝혔다. 유한기 전 본부장은 "시장님, 명이다"라며 당시 황무성 성남도시개발공사 사장 사퇴를 압박해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원희룡 전 지사는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저희가 확보한 공익 제보에 의하면 화천대유 김만배가 유한기에게 2015년 대장동 개발 관련 수억원을 건넨 사실이 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돈은 당시 유한기 전 성남도시개발 기획본부장이 황무성 당시 사장을 쫓아내고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화천대유 측에 수익을 몰아주기 위해 초과 이익 환수 규정을 삭제하는 데 기여한 대가라는 것이 원 지사 측 주장이다.
원 전 지사는 "수억원의 목적은 첫 번째, 2015년 1월 이재명 성남시장과 유동규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그리고 김문기 팀장 등 대장동 사업의 작전 책임자들이 이재명 시장과 함께 호주 여행을 다녀온 직후 화천대유에 모든 수익을 몰아주는 대장동 개발 사업의 관계 인물이던 황무성 사장을 제거하는 목적과 관련이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유한기 본부장은 2월 6일 전후로 대장동 아파트의 초과 이익환수 규정을 삭제하는 과정에서 유동규 본부장과 함께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라고 강조했다.
또 "세번째로 3개 경쟁 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 있어 2015년 3월 26일에 3개의 컨소시엄으로부터 대장동 개발 사업자 신청이 접수되고 하루 만에 화천대유와 하나은행 컨소시엄으로 선정되는 부분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시 화천대유 업자선정 과정에 유한기 본부장은 절대평가위원장, 상대평가 소위원장으로 심사위원에 사실상 책임자 역할을 했다"라고 지적했다.
원 전 지사는 "검찰은 김만배가 유한기에게 돈을 건낸 사실을 즉각 수사해 김만배와 유한기를 구속 수사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검찰이 이미 유한기 본부장을 조사한 것으로 저희는 파악하고 있다"며 "김만배와 유한기 사이에 수억원의 금품수수 사실을 명확히 수사해서 구속영장에 포함시키고 구속수사해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과 공모 관계를 명확히 밝혀내길 촉구한다"고 요구했다.
원 후보는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검찰이 주말 내로 김만배 등 핵심관계자들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해야 하는 시점이 다가오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돈과 관련한 내용이 빠지는지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장동과 관련해 시리즈로 계속 제보에 대해 크로스체크가 끝나면 공개할 것이며 진실이 밝혀질 때까지 모든것, 어떠한 제한도 없이 할 것"이라며 "한놈만 팬다"라고 이재명 후보를 직격했다.
국회를 출입하면서 민주당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집권당에 대한 합리적 비판과 대안까지 생각하겠습니다.
언제나 진실·균형·정의를 추구하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지역상권법)’제정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습니다. 이 법은 지역상생구역이나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스타벅스 같은 대기업 계열 점포의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상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과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등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는 대기업입니다. 법안이 시행될 경우대기업이 운영하는 직영 점포의 신규 매장을 열기 위해서는 지역상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의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막고자 마련됐습니다. 복합 쇼핑몰이 들어오면 주변 임대료가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과도한 중복 규제라고 반발에 나섰습니다. 또 재산권과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데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보다 자영업체의 고용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상권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소상공인과 대기업 모두'상생'을 이룰 수 있는정책이 절실한 때입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안전성 불확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능 오염수 125만톤을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고 천천히 방류할 것이니 상관없다고 합니다.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트리튬)가 들어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 수산물에 흡수돼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 스트론튬90은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안하무인입니다. 한 고위관료는 “중국과 한국 따위에는 (비판을) 듣고 싶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미국은 “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일본에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작 후쿠시마 사고 이후 현재까지 사고 부근 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의 ALPS장비 성능에 문제가 없고 오염수 방류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합니다. 안심할 수 있는 안전대책, 기대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