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달러화 하락 방지하겠다”...룰라, “싸우러 서울 G20에 가겠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9000억 달러에 달하는 2차 양적완화 조치에 따른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 달 경주 G20 합의가 무색해지고 국제적인 환율갈등은 보다 격해질 전망이다.

중국과 브라질 등 주요 국가들은 4일 일제히 미 연준의 2차 양적완화조치를 비난했으며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세안 국가 중앙은행들은 공동 대응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일본도 엔고 저지를 위한 시장 개입을 재확인했다. 오는 11일 서울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 미국의 양적완화조치에 대한 이들 국가들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달러 찍기’가 일본의 ‘돈 풀기’로 연결되면서 유럽연합까지 자극해 세계 자금시장에 과잉유동성을 불러일으켜 신흥국가들의 통화절상을 유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더해가고 있는 중국의 샤빈(夏斌)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은 이날 “세계가 글로벌 통화인 달러화의 신규 발행를 억제하지 않으면 또다른 위기 발생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미국의 달러화 찍어내기가 세계 경제에 가장 큰 위험요인”이라고 밝혔다.

최근 물가불안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양적완화조치가 중국의 인플레를 부추길 가능성을 우려하며 리더수이(李德水) 중국 정협경제위원회 부주석도 “중국이 미국 달러화의 추락에 불만을 가진 나라들을 규합해 달러화의 과도한 하락을 방지해야한다”며 브라질, 러시아 등과의 국제공조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최근 외국인자금 유입으로 자국 통화 강세에 곤욕을 치루고 있는 브라질의 반발 또한 거세다.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실바 브라질 대통령과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 당선자가 동시에 나서 미국과 중국의 환율전쟁을 강도높게 비난하고 이에 맞설 것이라고 천명했다.

특히 룰라 대통령은 서울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참석의지를 피력하면서 “나는 싸우기 위해 G20 정상회의에 갈 것”이라며 “브라질 페알화의 과도한 절상에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결의를 다졌다.

이어 4일 귀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도 기자들에게 “미 연준의 추가 양적 완화 결정에 대해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항의할 것”이라며 “연준의 결정은 세계 경제의 불균형(임밸런스)를 조장하는 우려가 있다”며 미국에 직격탄을 날렸다.

일본도 추가 양적완화에, 동남아국가 달러유동성에 공동대응키로

일본도 추가 양적완화에 나설 태세다. 시라카와 마사아키 일본은행 총재는 4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 앞서 “경제와 물가 전망을 점검한 뒤 적절한 정책 대응을 하겠다”고 말해 추가 조치 가능성을 시사했다. 일본은행의 정책결정회의 결과는 5일 발표된다.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재무상도 이날 의회에서 “환율의 지나친 변동은 경제 및 금융 안정성에 악영향을 준다”며 “정부는 이 같은 상황을 간과할 수 없다”며 시장 개입의사를 재차 확인했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달러 과잉유동성에 집단적으로 공동대응키로 했다. 달러에 대한 태국 바트화 가치가 올해 이미 11% 이상 뛰었으며 필리핀 페소화도 8%나 절상된 데 따른 불만이다.

태국의 콘 차티카와닛 재무장관은 이날 기자들에게 “이웃 국가 중앙은행 총재들과 ‘과도한 투기’ 행태를 방어할 대응책을 긴밀히 논의했다”며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투기 자본의 아시아 유입을 막는 데 필요할 경우 공동 조처를 할 준비가 돼 있다”며 넘쳐나는 달러 유동성에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공동대응을 시사했다.

말레이시아의 네가라 은행 총재와 스리랑카 중앙은행 총재도 이날 역내 은행들이 미달러화의 투기적 유입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밝혀 이러한 동남아 국가들의 움직임을 확인해줬다.

한국 또한 이날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주식시장이나 채권에 대한 과도한 외국자금의 유출입을 경계하며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했다. 미국의 양적완화조치에 따른 세계적인 달러과잉유동성에 대한 방어의지를 보인 것이다.

미국의 2차 양적완화조치에 대한 세계 각국의 이런 거센 반발로 인해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미국은 세계 각국으로부터의 비난에 직면해 있다. 환율갈등과 무역불균형의 원인제공자로 미국이 지목될 위기에 처한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은 서울 G20에서 ‘경상수지 목표제’를 통한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를 제한하려는 미국의 전략은 큰 벽에 부딪힐 가능성이 높아졌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