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군 투입된 특전사대원 명령 따른 것, 가해자로 볼 것 아니라 피해자로 바라봐야” 주장
지역시민단체 ‘피 묻은 군홧발로 5·18 짓밟지 말라’, ‘계엄군 물러가라’며 몸싸움 벌여

5·18 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특전사동지회와 함께 19일 오전 국립 5·18 민주묘지를 기습 참배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5·18 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특전사동지회와 함께 19일 오전 국립 5·18 민주묘지를 기습 참배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정찬 기자] 지역사회의 반발에도 5·18 부상자회와 공로자회, 특전사동지회가 ‘포용과 화합의 감사’의 대국민 공동선언식을 강행했다. 그러나 ‘사죄와 진상규명’이 없는 이러한 행사에 다른 5.18단체들은 반발하면서 충돌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황일봉 부상자회장과 정성국 공로자회장은 이는 오전 9시 50분쯤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특전사동지회 집행부 25명과 함께 합동 참배했다. 이들은 애초 공동선언식 행사 이후인 오후에 참배하기로 했으나 지역시민사회가 참배를 저지하자 기습적으로 민주묘지를 찾았다.

특전사동지회 집행부는 5·18 민주묘지에 군복과 군화 차림으로 기습적으로 행해졌다. 이들은 참배단 앞에서 헌화·분향했으며, 개별 묘역은 참배하지 않았다. 최익봉 특전사동지회 총재는 “우리나라의 민주화를 실현하기 위해 운명을 달리하신 여러 사람들의 묘지를 보면서 정말 가슴 깊이 많은 느낌을 받았다”며 “그 분들의 헌신적이고 숭고한 희생이 없었다면 오늘날 대한민국의 성숙한 민주주의가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참배 이후 광주 서구 5·18 기념문화센터로 이동해 대국민선언식을 가졌다. 이들은 공동 선언문에서 “5·18은 올바른 민주주의를 수호하고자 하는 광주·전남 시도민의 굳은 신념과 정의감의 발로였고, 대한민국 역사와 민주주의 변천 과정에서 커다란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계엄군으로 투입된 특전사 대원들은 엄정한 상명하복을 원칙으로 하는 군인의 신분으로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며 “이들도 오랜 정신적·육체적 아픔을 겪어왔다는 점에서 가해자로만 볼 것이 아니라 피해자로 바라보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가해자들의 진정한 참회와 진상규명이 완전히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특전사동지회도 피해자라고 한 것이다.

이들은 행동강령을 통해 5·18의 숭고한 정신이 계승·발전하고 화해와 용서하는 마음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고 트라우마를 겪는 계엄군에게도 법적·제도적 지원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5·18 단체와 특전사동지회가 매년 국립서울현충원과 국립 5·18 민주묘지를 합동 참배하는 행사를 정례화하기로 했다.

5·18 부상자회 황일봉 회장은 이 자리에서 “호국 영령과 민주 영령이 진정으로 바라는 것은 민주주의의 완성일 것”이라며 “오늘 이 자리를 통해 용서하고 화해해 슬픔보다는 기쁨을 노래해야 한다”고 말했다.

19일 오전 광주 서구 쌍촌동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특전사동지회 초청 '용서와 화해를 위한 대국민 공동선언' 행사를 앞두고 5·18단체와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반대 행동에 나서고 있다.[사진=연합뉴스]
19일 오전 광주 서구 쌍촌동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특전사동지회 초청 '용서와 화해를 위한 대국민 공동선언' 행사를 앞두고 5·18단체와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반대 행동에 나서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그러나 이곳에서 지역 시민단체가 <대국민 공동선언식>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어 충돌상황이 발생했다. ‘피 묻은 군홧발로 5·18을 짓밟지 말라’ 등의 손팻말을 든 시민단체 회원들은 행사 시작 전부터 경찰들과 대치했다. 또 이들은 ‘계엄군은 물러가라’는 구호를 외치며 특전사동지회의 행사장 입장을 막으려다 경찰·외주경비업체와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애초 이 행사에는 박민식 국가보훈처장,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제주지사, 국민의힘 소속인 정운천 의원과 성일종 의원도 행사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불참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강 시장 측은 “행사 외빈 명단에 자신의 이름이 올라가 있다는 사실도 몰랐다”고 했다.

광주시의회도 “현재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서 조사 중인 과제가 237건에 달하는 상황에서 조사 대상자이자 가해자인 계엄군을 포용하고 화해로 나아간다는 것에 선뜻 공감하기 어렵다”며 ”며 지난 15일 불참을 선언했다.

이에 앞서 5·18공법 3단체(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 5·18민주유공자유족회, 5·18민주화운동 공로자회) 등 행사의 세 주최자 가운데 하나였던 유족회는 지난 14일 행사 불참을 선언했다. 또 전날까지 행사 취소를 요구한 5·18 단체와 시민단체는 오월어머니집 등 모두 113개에 달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