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2002년 지방선거 전에 대선후보 결정
2000-10-10 박혜경 기자
김대중 대통령이 재차 "2002년 1월 여권 대선후보 선출"을 강조. 2002년 6월로 예정된 지방선거 이전에 가시화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미 지난 민주당 전당대회 전인 7월 김대중 대통령은 "여권의 차기 대선후보는 2002년 1월 전당대회에서 결정할 것이다"고 언급했다. 전당대회가 대권후보 전초전으로 과열될 것을 우려한 발언이었다. 이로써 2002년에나 여권의 대선후보가 가시화 될 것으로 예상하고 대권후보 논란은 수면 속으로 사라졌다.
과거 대선에서는 여권의 경우 권력누수 현상을 우려해 차기 후보를 최대한 늦춰 결정했다. 여권 내부에서는 대선후보가 결정되기 전에도 차기 대선후보로 거론되는 주자들과 대통령간의 권력암투가 끊이지 않았던 것도 권력누수를 우려했던 이유였다. 1992년 대선에서 민자당은 김영삼 후보를 5월 19일에 결정했고, 1997에는 신한국당이 이회창 후보를 7월 21일에 결정했다. 대선 3-6개월 전에서야 후보가 결정됐다. 그런데 김 대통령은 2002년 대선 11개월 전에 후보를 결정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대선의 전초전으로 치르게되는 지방선거를 대선후보가 직접 관장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장, 특히 광역자치단체장을 장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통령과 대선후보가 공천권을 공동으로 행사한다면 대선후보의 정치적 힘을 더욱 확대할 수 있다는 판단도 해볼 수 있다. 행정력을 장악해야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있는 계산이다. 대통령도 이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월'에 여권의 대선후보가 결정된다면 조기에 권력누수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크다. 만일 대선후보 결정을 둘러싸고 여권내 파워게임이 심화된다면 대선후보와 대통령과의 갈등이 크게 표출될 가능성도 높다. 권력 속성상 자연스럽게 힘이 대선후보로 쏠릴 수밖에 없고, 그러면 김 대통령의 입지는 축소될 수밖에 없다.
한편, 지방선거에서 승리하면 여권 대선후보의 힘이 커지고 정권재창출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패배한다면 여권 대선후보는 대선을 치르기도 전에 지방선거 패배의 책임 공방에 휩싸여 큰 타격을 입을 수도 있다.
여권의 대선후보 가시화 시기를 두고 성급하게 점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치상황과 남북관계 진척 정도 그리고 지방선거 승리 가능성 등 유동적 상황을 고려해 시기를 결정할 것이기 때문이다. 지방선거 전에 대선후보를 가시화 한다고 하더라도 1월이냐 4월이냐가 지금상황에서 크게 논란될 것은 아니다. 1월에서 6월중에 상황에 따라 그 시기를 선택할 것으로 전망된다.
kimys67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