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은 총구가 아니라 인터넷에서 나온다!

2000-11-16     박혜경 기자

'21세기에는 정권은 총구가 아니라 인터넷에서 나온다'고 강조한 재미 칼럼니스트이자 정치학 박사 최규장씨의 말은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국회의원들이 곱씹을 만한 얘기다

국회의원 홈페이지에 대한 네티즌의 평가는 의원마다 극과극을 달린다. 오는 21세기에는 정치는 어디서부터 이루어지는 것일까?
사이버 후원회와 오프라인 후원회를 동시에 개최하는 의원에서부터 여전히 총선용 홈페이지를 가지고 명함에나 명기된 사이트를 소유하고 있는 의원까지 실로 국회의원들의 홈페이지는 대조적이다.

'21세기에는 정권은 총구가 아니라 인터넷에서 나온다'고 강조한 재미 칼럼니스트이자 정치학 박사 최규장씨의 말은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국회의원들이 곱씹을 만한 얘기다. 그는 또한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정치는 거물 정치인을 왜소화시키고, 시민의 정치참여를 통해 권력을 다핵화시킨다'며 '2000년 Y2K를 읽지 못한 것은 컴퓨터가 아니라 동굴 속 정치인이었다. 웹 페이지나 정당 사이트만 차려놓으면 방문자가 구름처럼 찾아들리라 믿고 바깥세상과의 쌍방통행을 잊은 것이다'라고 사이버 정치를 소홀히 하는 정치인들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터넷 정치 실현을 위해 꾸준히 네티즌과 함께 호흡하는 한국 국회의원은 없는 것일까?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과학기술정보통신 상임위 소속 국회의원들은 나름대로 열심히 자신의 웹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선 과기정 소속 허운나 의원실 이지은 정책비서관은 '의원님의 동정이나 언론자료, 매주 실시하는 수요포럼 원고내용 나아가 VOD자료, 토론내용 등을 업데이트하면서 일손이 딸린다'고 홈페이지 관리 고충을 토로한다.
특히 홈페이지 홍보와 네티즌의 참여유도를 고민하는 이씨는 '라제통문'이라는 게시판 자유기고가에게 조언을 구할 정도로 열심이다.
의원 홈페지를 그나마 잘 운영하는 몇 안되는 사이트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웹디자인 부분이나 기술력이 부족하다며 아쉬움을 얘기하다가도 오픈한지 5개월만에 게시건수가 200건이 넘고 여론조사에 날로 네티즌들이 늘어간다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같은 상임위 소속 김효석 의원은 홈페이지 관리를 위해 웹마스터 경험이 있는 정책 비서관을 두고 국회서버를 자유자재로 넘나들고 있다.
웬만한 html 문법을 이용한 편집이나 contents는 직접 서버로 올려 짧은 시간에 자료가 업데이트 된다.
또한 필요하다면 동영상 파일도 웹 호스팅 업체의 도움없이 의원의 홈페이지에 직접 띄우는데 하루도 안걸리고, 이번 국감기간처럼 시의성이 필요한 경우 더욱 빛을 발한다고 정책비서 박승준씨는 말했다. 웹마스터의 역할을 하는 정책비서관을 두면서 홈페이지 운영하는 국회의원 사이트는 손꼽을 만하다.

박원홍 의원실의 경우도 외주 업체에 의존하지 않고 내부 보좌진들이 자료를 손수 업데이트하는 경우라 운영자와 제작자간의 커뮤니케이션 오류 및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고 장점을 지적한다.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정치에 앞장서고 있는 민주당 김민석 의원은 일일업데이트는 기본이고, 라이브 폴도 시의성 있는 주제로 신속하게 꾸려가고 있다. 김 의원은 e-메일을 통한 정책제안과 의정활동 평가 등을 보내오는 e메일 클럽 회원이 3000여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손학규 의원은 윈도보다 정보 공유가 손쉬운 리눅스 체계를 통해 홈페이지를 운영하면서 '사이버정치 공동체' 결성작업에 힘을 쏟고 있다. 특히 사이버 후원조직인 150명의 '클린손(cleansohn) 클럽' 회원 150여명의 정기적인 모임을 결성, 온라인상 후원회를 오프라인으로 확산시키는 작업을 추진중이다.

홈페이지를 잘꾸미는 의원들에겐 공통점이 있다.
일단은 의원의 e-폴릭틱스에 대한 적극적 관심이다. 홈페이지를 잘 꾸미는 것이 필요조건이 아니라 필요충분조건이라는 인식이다. 둘째는 최소한 홈페이지 담당비서를 두고 있다. 세번째로는 홈페이지 운영을 통해서 ▲회원가입을 통한 후원회, 후원금 모집 ▲ 단순한 정보 제공 ▲의원 개인의 홍보차원 ▲온라인 매체로서 적극적 활용 등 목표설정에 따라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방적 커뮤니케이션을 강요하는 미디어 정치는 바야흐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인터넷 정치로 대치되고 있다. 그 동안 미디어 권력으로 수십억의 비용과 시간이 들어갔다면 이젠 돈 안들고 빠른 사이버 정치가 코앞에 다가서며, 미디어 권력은 원래의 주인인 시민과 네티즌들에게 자리를 양보하고 있다.

홍준철기자(jchong2000@ewinc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