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사업 재개결정】네티즌들의 엇갈린 반응!
2001-05-26 박혜경 기자
정부는 새만금 간척사업을 '동진수역 우선개발, 만경수역 수질개선 후 개발'이라는 순차적 개발 방식으로 재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시민단체 및 사회각계 인사들의 반대 성명서가 잇따랐다.
민간위원회 최열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과 임삼진 녹색연합 사무처장은 기자회견을 자청해 "정부의 최종결정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네티즌 역시 이번 결정에 높은 관심을 표시했다.
환경운동연합에서 작년 9월말부터 만들어 논 테마토론 【나는 새만금 사업을 이렇게 생각한다】코너는 현재 총 650여개의 글이 올라와 있다.'새만금 간척사업 재개에 따른 정권퇴진운동'을 제안한 김태경씨는 "새만금 간척사업을 재개하고자 하는 현정부의 결정은 말도 않되는 것으로 '정권퇴진운동 백만인 서명운동'을 벌일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 '새만금은 김대중정권의 무덤(퍼미)'이란 네티즌은 "전 세계가 반대하는 간척사업에 수조원의 세금을 퍼붓기로 결정을 내린 것은 국민의 가슴에 비수를 꽂은 것과 마찬가지"라며 퇴진투쟁을 벌일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민족'이라는 아이디를 사용한 한 네티즌은 '수십년 후에 벌어질 식량안보 문제를 환경련은 명심하길'이라는 제호로 "식량안보문제는 지구상의 문제로 대두될 것이다"라며 "환경단체는 이에 대한 대책을 가지고 있는가?"반문하고 있다.
'새만금사업 공사 재계를 축하하면서(Ryu)'-전북도청 홈페이지
유종근 전북지사가 지사직을 걸고 '새만금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전북도민의 관심을 모았던 전북도청 홈페이지는 25일 정부 발표이후 새만금관련 글들이 25, 26일 양 이틀간 다수의 글들이 올라왔다. 전북시민은 일단 지역발전을 위한 새만금 시행을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위의환'이라는 광주환경연합소속의 네티즌이 '새만금사업 중단을 요구하는 광주·전남 100인 시국선언'을 정부발표 직후 게시판에 게제하자, '주리'라는 전북도민은 '누구집 마당에서 지껄이느냐?'며 "목포 인근에 있는 당신들의 정치인들의 사주를 받았느냐?"며 감정적인 대응을 보였다. 대분분의 글들은 '만세 새만금 사업 계속 확정(이종덕)', '새만금사업 공사 재계를 축하하면서(Ryu)' 등 이번 새만금 사업이 전북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 내용의 글들을 남겼다.
전북지역 발전을 관광개발에서 찾는 것이 합당하다고 글을 남긴 이명석씨는 "전라도 민심을 달래려 노태우 전 대통령이 공약사항으로 공사비만 5조9천억원이 들어가는 이 엄청난 사업을 납세자인 국민의 의사를 묻지 않고 함부로 진행시킨 그 시작부터가 잘못"되었다며 "전북의 발전은 이 예산을 아름다운 서해안의 자연을 보존하면서 관광사업화 하는 데 투자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새만금 문제는 거시적으로 풀어야'
인터넷 신문 '오마이 뉴스'에 올라온 네티즌들의 글 역시 찬반양론이 뜨겁다. '정부정책 환영...낭만주의로 현실을 살 수 없다'는 한 네티즌은 "계획된 대로 환경친화적인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철저히 공사를 완성하여 세계적인 모범을 보이자"며 환경단체들의 성급한 정권퇴진 운동을 비판하는 글을 남겼다.
'전북도민과 거시기는 보시오(김상락)'라는 네티즌은 자신을 전남 바닷가에 살고 있다고 전제한 뒤 "우리 지역민은 정부가 영산강사업 5단계 추진을 반대하여 못하게 했다"며 정주영씨의 서산 간척지가 적자나고 있는 현실과 전북 계화간척지의 실패를 예를 들었다. 그는 "전북은 환경만 망치고 돈은 못 벌것이라며 전북이 앞으로 '몸만 망치고 빚만 느는 매춘부'꼴이 될 수 있음을 경고했다.이번 새만금 사태는 환경운동단체와 정부, 개발 옹호론자와 환경옹호론자, 환경단체 및 전북도민, 그리고 그 사이에서 개발을 찬성하되 친환경적 개발을 져버릴 때는 저지투쟁을 다시 벌이자는 관망적인 네티즌들로 나뉘어 다양한 의견을 표출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북도민이라는 네티즌이 '새만금 문제는 거시적으로 풀어야'라는 글에서 "새만금 문제는 환경 문제에만 국한시킬 사안이 아니다"며 "낙후된 지역 경제와 열악한 지방재정, 그리고 지역 불균형 문제와 수도권 집중 문제들과 얽히고 설켜 있다"고 말하며 새만금 문제를 부디 거시적 측면으로 바라볼 것을 부탁하고 있다.
새만금 개발을 위한 전북시민과 환경감시단체 연대 모색해야
정부가 새만금 문제를 순차적 개발이라고 방침을 정한 마당에 정부가 다시 말을 바꿀 수는 없는 입장이다. 그렇다고 환경단체가 환경문제로 정권퇴진운동까지 벌여 나가겠다는 것은 논리적 비약으로 감정적인 대결로 나가면서까지 풀 사안은 더더욱 아니다. 그렇다면 정부가 말한 친환경적 개발 공언처럼 환경단체 및 전북도민이 함께 새만금 사업이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지역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감시활동체제가 남은 과제로 다가온다. 이런 측면에서 환경단체 및 전북도민이 함께하는 '새만금 개발 전북시민환경 감시단체연대'방안도 모색해 볼만 하다.
홍준철기자(jchong2000@ewinc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