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여론조사]
김정일 先답방 44%, 先사과 39%
2001-03-15 문화일보/TN소프레스

국민들의 다수는 대북 직접지원에 대해서는 ‘상호주의’입장을 강하게 견지하고 있으나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문제등 남북 화해문제에 대해서는 ‘포용적 입장’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추세는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경제적 부담으로 당장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남북 대화와 교류에 대해서는 너그러운 반면 경제적 부담으로 직접 연결되는 지원에 대해서는 신중한 의견이 많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김위원장 답방문제와 관련, 응답자들의 44.7%는 6.25와 아웅산테러, KAL기 폭파사건에 대한 사과는 필요하지만 답방시점에 맞출 필요가 없다고 답했으나 서울답방에 앞서 사과가 이뤄져야한다는 ‘선사과 후답방론’도 39.8%에 달했다. 사과불필요론 9.2%, 김일성 시대 이뤄진 것이기 때문에 김위원장은 책임이 없다는 의견도 5.6% 로 나왔다.
원론적인 측면에서 사과를 해야한다는 의견은 84.5%인 반면 사과 무용론은 14.8%에 불과, 사과가 이뤄져야한다는 입장이 대세를 이루고있는 셈이다. 반면 현실정치 측면에서는 김위원장의 서울답방이 우선되야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답방 우선론은 59.5%인 반면 선사과 후답방론은 39.8%를 기록, 김위원장의 서울답방이 과거사 문제와 별개로 성사되야한다는 의견이 훨씬 많은 셈이다.
한·미정상회담이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 응답자의 16.6%는 남북관계 진전속도 앞당길 것이라고 대답했고, ▲48.9%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31.3%는 남북관계 진전속도 늦출 것으로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한·미정상회담때 대북강경입장을 천명한 부시행정부로 인해 김대중대통령의 대북드라이브에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으나 일반국민들은 이같은 문제에 대해 오히려 느긋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부시행정부의 대북노선이 남북관계 진전속도를 늦출 것이라는 우려론은 ▲대재이상의 학력층( 34.9%) ▲월 201만원 이상의 고소득층(38.2%) ▲화이트 칼러(45.2%) 등 여론선도층을 중심으로 뚜렷하게 부각됐다.
한편 국민들의 경제적 부담이 될 대북 전력지원 문제와 관련,응답자의 60.6%는 상응하는 대가를 받고 지원해야한다는 입장이고 24.4%는 지원불가론, 13.1%는 무조건 지원론을 견지하고 있다.
주는 만큼 받아야 한다는 ‘엄격한 상호주의 ’논리는 연령,지역,성별,계층적 차이없이 고르게 나타났다.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퍼주기식 일방적 대북지원에 대한 국민적 여론이 점차 나빠지고있음을 반증하는 사례다. 특히 대북지원 불가론은 학력이 낮을 수록(중졸이하 30.4%) 소득이 낮을수록(월소득 1백만원 이하 29.5%) 높게 나타나 우리사회의 취약세력인 저학력 저소득층이 대북지원에 비판적인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