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주도층 250명조사
김위원장 답방- "先답방 後사과" 62%
2001-05-02 문화일보/TN소프레스
‘답방에 앞서 사과와 유감표명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는 응답은 21.6%로 나타났다. 지난 3월15일 일반인 1000명 대상의 문화일보 여론조사에서는 똑같은 질문에 대한 응답이 각각 44.7%와 39.8%로 나타난 것과 비교할 때 여론선도층이 과거사 사과문제에 대해 비교적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북한 지도자로서 답방이므로 사과요구는 바람직하지 않다’(13.6%), ‘김일성시대 일이므로 김위원장에게 책임을 묻기 힘들다’(0.4%) 등 ‘사과 불필요론’은 14.0%에 그쳤다.
◈북·미관계 전망〓향후 북·미관계에 대해 ‘북·미간 상호 실리 추구로 적정선에서 관계가 정상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78.8%로 가장 많아 북·미관계가 일시적 마찰과 갈등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로는 관계개선의 흐름을 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초기 의견차를 극복한 후 상당한 관계진전이 있을 것으로 본다’는 답변(10.0%)은 소수에 그쳐 관계개선의 속도와 폭에 일정한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았다. ‘상호입장차를 해소하지 못해 갈등이 증폭될 것’이라는 비관론은 9.6%에 그쳤다.

◈통일장애요인〓‘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가장 큰 걸림돌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현체제 유지를 원하는 북한의 통일의지부족’을 꼽은 응답이 42.0%로 가장 많았으며, ‘통일을 원하지 않는 한반도 주변국들의 이해관계’(30.0%), ‘남한의 경제여건 악화및 보수화 등 통일추진력 부족’(26.4%)순으로 나타났다. 북한체제를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꼽으면서도 주변국 상황과 경제여건 악화 등에 따라 보수화되고 있는 남한여론도 주요변수로 판단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변국 이해관계를 꼽은 응답은 노조지도자(70%),국회의원(50%),언론인(40%)에서 많았으며 남한의 추진력부족을 든 답변은 외교통상부(32%),통일부(30%), 대학교수(30%)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북정책평가〓현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에 대해선 ‘일부 문제는 있지만 남북관계를 일보 진전시킨 비교적 성공적인 정책추진’이라는 답변(60.4%)이 가장 많아 정책추진상 일부 혼선과 오류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는 성공한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어 ‘남북관계의 획기적 진전을 이룬 매우 성공적인 정책추진’(22.0%), ‘취지는 좋았으나 결실이 없으므로 약간 잘못된 정책’(13.6%), ‘국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던 매우 잘못된 정책’(2.8%)순으로 응답했다.
<서의동 기자· phil21@munhw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