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정기 여론조사]

"日교과서 강경대응"59%

2001-05-21     문화일보/TN소프레스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를 둘러싸고 정부가 35개항에 대한 재수정을 요구하고 일본 정부가 이에 대해 재수정불가를 천명하는 등 양국간 외교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국민의 대다수는 교과서문제에 대해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이 왜곡교과서 수정에 대해 성의를 보이지 않을 경우 ‘유엔 상임위 진출 저지 등 외교문제와 연계해 압박을 계속해야한다’고 밝힌 응답자가 36.2%를 차지했으며 ‘외교관계 단절까지 고려하는 등 강경대응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23.0%로 나타나는 등 정부의 강경 대응을 요구하는 답변이 59.2%에 달했다. 반면 ‘문제점은 지적하되 지나치게 민감하게 대응할 필요는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13.4%에 불과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측 재수정요구에 대한 일본정부의 미온적인 태도가 우리 국민의 반일감정을 악화시킨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오는 26일 베이징(北京)에서 열리는 한·일외무장관회담에서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할 경우 양국 외교관계는 상당기간 경색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문제와 연계를 주장하는 여론은 지역별로는 ▲광주·전라(44.4%)와 ▲서울(42.7%)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대재 이상(44.4%) ▲월소득 201만원이상(43.7%) ▲민주당 지지층(42.6%)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최근 과도한 대북 지불금과 여행객 감소로 인해 좌초 위기에 있는 금강산 관광사업에 대해 응답자의 과반수인 56.1%가 ‘민간차원의 사업이었으므로 적자가 누적되면 중단해야한다’고 답했다.




반면 금강산 관광이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여는 사업이므로 계속해야 한다’는 의견도 41.7%를 차지, 국민중 상당수가 금강산 관광을 남북교류와 한반도 긴장완화의 상징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금강산 관광 지속을 주장한 응답자 중 44.1%가 이를 위해 ‘관광공사 등이 함께하는 컨소시엄을 만들어야 한다’고 답했으며 ‘정부가 직접적인 지원을 해야한다’는 응답자도 22.9%에 달하는 등 정부의 직·간접적인 금강산 사업 지원을 촉구하는 답변이 67.0%를 차지했다.




/김석기자 suk@munhw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