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직격탄 현장-상인들의 목소리]이태원상인들도 '코로나폐업' 집단 반발 조짐

2021-01-12     김현우 기자
▲ 지난 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거리에 세워져 있는 근조. '이태원 사망'이라고 적힌 글귀가 선명하다. <사진=이태원 상인회>

 

[폴리뉴스 김현우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시대 1년 간 사채로 버텨왔다."

"이젠 정말 사형선고를 받은 것처럼 생사의 경계에 서 있다."

이태원 상인들의 목소리다. 지난 5월, 전국에 코로나19 2차 대확산의 신호탄이었던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 이후 반년이 넘게 지났지만, 이태원을 찾는 사람들의 발길은 뚝 끊겼다.

이에 이태원 상인회측은 지난 11일 기자에게 보낸 자료를 통해 "정부의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대책에 적극적으로 협조해왔다"라며 "하지만 이태원의 거의 모든 업종이 강제 휴업을 하고 있는 상태"라고 밝혔다.

 

▲ 지난 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거리에 폐업한 가계에서 나온 버려진 의자와 식탁이 쌓여있다. <사진=이태원 상인회>

이태원 상인회에 따르면 해당 지역의 대부분의 업종은 클럽 혹은 주점이다. 정부의 방역대책에 따라 많은 업종이 영업정지나 집합금지 명령에 장사를 하지 못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태원 상인들은 자영업자들의 생계와 생존권, 평등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상인회는 "이제 버틸 수 없을 만큼 극한의 상황에 와 있다"면서 "방역 대책으로 수입이 몇 개월째 0원이 되는 것에 더해 임대료, 인건비, 유지비 등을 업자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또 "이태원이 서울 상업 지역 최고의 공실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제 우리 앞에 남은 것은 빚더미와 명도소송, 폐업뿐이다"라고 설명했다. 정부에서 재난지원금 등 자영업자를 돕기위한 다양한 재정 정책을 펼치고있지만, 상인들은 '큰 도움이 되지 못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 지난 9일 이태원 상인회는 집회를 열고 정부의 소상공인 정책 재검토를 요구했다. <사진=이태원 상인회>

그러면서 이태원 상인회는 타 국가의 소상공인에 대한 정책을 예로 들었다. 상인회 측은 먼저 독일 사례를 들며 "독일 정부는 봉쇄조치를 강화하면서 강제로 문을 닫는 업체에 고정비의 최대 90%를 지원한다"고 전했고, 캐나다 정부도 "긴급임대료 보조금을 통해 강제 휴업한 업종에 대해 최대 90%를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국은 방역조치로 인한 영업제한 조치로 영향을 받은 접객, 레저, 유흥 산업에 대해 최대 9000파운드(약 1300만 원) 규모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지원책을 발표했다"고 언급하며 보다 더 소상공인을 위한 현실적인 재정지원 정책을 정부에 요구했다.

상인회 측은 이같은 내용을 전하면서 정부에 두 가지 요청을 했다. 첫 번째, "같은 팬데믹을 겪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 입장에서 업종을 가려서 하는 정책 방식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라며 집합금지 명령을 받은 업종에 대한 지원정책 전면 재검토를 호소했다.

두 번재로 "지역과 업종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천편일률적인 방역수칙은 현실적이고 실효성과는 동떨어진 방역의 전문성 부족, 더 나아가서는 방역의 실패다"라면서 방역수칙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요구했다.

 

▲ 지난 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거리에 위치한 한 펍(주점)에 정부의 소상공인 정책 재검토를 요구하는 플래카드(Placard)걸려 있다. <사진=이태원 상인회>

한편 정부는 지난 11일부터 소상공인 250만 명을 대상으로 3차재난지원금(소상공인 버팀목 자금) 지급을 시행했다. 집합금지된 업종은 300만 원, 집합제한된 업종은 200만 원을 받고, 그 외 업종은 지난해 매출이 4억 원 이하이면서 재작년보다 연 매출이 줄어들었어야 100만 원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이태원 상인회는 이태원 전체 점포 가운데 80%가 폐업이나 휴업 상태라고 주장했다. 이어 상인회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의 방역수칙을 철저히 따랐다."면서 "하지만 결과는 빚더미와 폐업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