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6월 지방선거 '공개 오디션' 통해 청년 선발

"오디션 통해 능력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 "인구 500만 이상 광역·100만 이상 기초 경선 표본 확대" "靑 비서관 이상 공무직 신인 가점 축소" "청년·여성 30% 의무 공천은 추후 논의할 것"

2022-04-01     박정훈 기자
▲ 더불어민주당 박지현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3월 31일 진행된 정책의원총회에 참석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폴리뉴스 박정훈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6월 지방선거에서 청년 공천을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청년·여성 등 정치 신인 발굴을 위해 전국적으로 '공개 오디션' 방식을 추진하기로 했다.

민주당 지방선거기획단은 3월 31일 국회에서 회의를 열어 17개 시·도당 모두 광역의회의원 비례대표 선정 시 '공개 오디션' 방식을 차용할 수 있도록 권고하기로 했다고 신현영 의원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신 의원은 "'공개 오디션'에서 1등으로 뽑히는 여성에게는 비례대표 1번을, 남성에게는 2번을 배정하는 방식"이라며 "신인들이 오디션을 통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 취지"라고 설명했다.

앞서 청년후보 공천에 대해 박지현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3월 30일 "2018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청년후보를 30%이상 공천하겠다는 약속을 했지만 지켜지지 못했다"면서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대선 이후 입당한 당원의 참여 기회 확대와 청와대 출신 정치 신인에 대한 가점 축소, 경선에서 조사하는 표본 수를 늘리는 등의 방안도 추진한다.

이날 회의에서 경선 과정에서 인구가 500만이 넘는 서울·경기 등 광역단체와 수원·고양·용인·창원 등 특례시로 분류되는 인구 100만 이상의 기초단체에서 선거인단의 표본 수를 늘리자는 의견도 나왔다.

신 의원은 "500만 이상 광역단체의 경우 표본 수를 더 늘리자는 의견이 있었다. 기초단체 중 특례시는 다른 기초단체와 다르게 표본을 더 늘려야 된다는 이야기도 있었다"면서 "많은 시민의 의견을 취합할수록 변별력이 더 강해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치 신인 가점에서 청와대 비서관 이상의 공무직은 10% 정도 가점이 있었지만 이것도 줄여나가는 방식을 권고하기로 했다. 결정된 사안은 아니지만 이런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박지현 비상대책위원장이 주장한 '청년·여성 30% 공천 의무화'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신 의원은 "지역마다 상황이 달라 30%를 어떻게 채워야 할지는 오는 3일에 논의할 것이다. 어디까지 의무조항으로 할 것인지 이야기 해야한다"고 밝혔다.

그는 "기획단에서 지방선거에 대한 대원칙을 세우되, 세세한 부분은 결정할 수 없어 각 지역 상황에 맞게 결정하는 유연성을 두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 "대선 전후로 입당한 신규 당원들에게도 시민 배심원 등을 통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높이는 방식으로 의견이 나왔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6월 지방선거에서 현직 기초의회의원 같은 선거구의 광역의회의원으로 출마할 경우 청년·여성·중증 장애인에 대해 10% 가산점을 적용하기로 했다.

다만 기존 광역의회의원이 청년·여성·중증 장애인에 해당할 경우 별도의 가산점을 적용되지 않는다.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1일 비공개 회의에서 '지방선거 경선 가·감산 비율 조정안'을 의결했다고 신현영 의원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신 의원은 "여성 비례대표 지방의원이 지역구 지방의원으로 출마할 경우 가산비율이 20%였다. 이것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있어 10%로 낮췄다"며 "이 경우 기존 지역구 지방의원이 여성인 경우 여기에 도전하는 여성 비례대표 지방의원에게 가산점을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광역 및 기초단체장 선거는 2~3인 경선 원칙을 그대로 유지했다. 다만 공천관리위원회의 의견으로 세부적인 경선 룰은 다르게 정할 수 있도록 했다.

경선 방식도 기존의 방식인 권리당원 50%와 여론조사 50%를 그대로 유지했다.

신 의원은 "중앙당 예비후보자 자격심사 이의 처리안건도 의결됐다. 이의신청자 가운데 음주사고, 투기성 다주택 보유, 성 비위 관련 해당하는 자들의 이의제기는 6건으로 모두 기각됐다"고 전했다.

이 밖에도 공직후보추천관리위원회(공관위) 위원장으로 김태년(4선, 경기 성남시수정구) 의원이, 간사로는 서삼석(재선, 전남영암·무안·신안) 의원이 각각 선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