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지방의회의원 청년·여성 30% 공천 권고...지자체장 AI면접 도입
"청년·여성에 기회보장, 배심원단으로 경선 및 공천과정 참여" "만 39세 이하 후보 등록비, 경선 비용 감면" "국민의힘 기초자격평가(PPAT) 대응차 AI면접 도입" "지역 현안에 대한 질문, 실질적 역량 검증"
[폴리뉴스 박정훈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6월 지방선거에서 광역의회의원과 기초의회의원 등 지방의회의원 후보 가운데 청년과 여성을 30% 이상 공천하도록 권고하고 이 기준을 지켰는지 평가함으로 강제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민주당은 지방자치단체장의 경우 빅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현안에 대해 질문하는 AI(인공지능) 면접을 실시할 방침이다.
민주당 지방선거기획단은 지난 3일 중앙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17개 시·도별 청년과 여성의 비율을 30% 이상 지방의회의원 후보로 의무공천하도록 권고하기로 했다고 신현영 의원 브리핑에서 밝혔다.
기획단은 당무감사에서 지역위원장 평가 시 청년·여성 공천 기준을 지켰는지 평가해 강제성을 부여할 계획이다.
신 의원은 "의무공천 기준을 지키지 못하는 지역위원회는 정말로 지킬 수 없는 예외적 상황임을 까다롭게 심사해 의결하도록 하는 규정을 두면 대부분 지역위원장이 기준을 지키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획단은 후보로 나서는 청년과 여성에게 경선 기회를 보장하고, 후보가 아니더라도 배심원단으로서 경선과 공천 과정에 관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만 39세 이하에게 후보 등록비를 면제하고 경선 비용을 감면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신 의원은 "동일한 지역구에서 다수 당선돤 의원들이 경선에서 유리한 상황일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가'번 기호에 청년 등 사회적 약자를 우선 배정하는 방안도 논의됐다"고 밝혔다.
한 지역구에서 다수 공천하는 중선거구제에 '가'번을 받은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 청년과 여성에게 실질적인 정치 참여 기회를 늘리는 방안으로 공천 시스템을 설계했다는 것이다.
이 외에 17개 시·도별 광역의회의원 비례대표 후보로 나서는 청년과 여성,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공개 오디션'을 치러 국민 참여, 대중성, 흥행성을 제고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기획단은 국민의힘이 지방선거 출마자를 대상으로 기초자격평가(PPAT)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AI면접을 시행할 계획이다.
신 의원은 "지방자치단체장 후보의 경우 빅데이터로 발굴한 지역 현안에 대해 면접을 진행함으로써 역량을 평가할 것이다. 국민의힘 PPAT보다 실질적으로 주민에게 도움이 되고 역량이 있는 후보를 선발하기 위한 혁신 공천의 방안이다. 면접 비중은 각 시·도당에서 정할 것이다. 수치로 이야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