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 이상민 "개딸들에 살벌한 문자 많이 와...기권·무효표도 찬성으로 봐야"

"당내 의원들 소신 발언 표출 많아질 것, 삼삼오오 교감" "찬성표 숫자 빙산의 일각, 생각의 차이 존중해야" "겉에 나온 숫자는 빙산의 일각, 사태 엄혹하게 보길" "지도부나 당에서 충격 받은 건 사실, '어떤 조치' 필요"

2023-02-28     서정순 기자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서정순 기자] 더불어민주당 비명계로 분류되는 이상민 의원이 개딸(개혁의 딸·이재명 대표 강성 지지층)들의 문자폭탄 세례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전날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이 대표 체포동의안이 찬성 139·반대 138·기권9·무효 11표로 가까스로 부결되자 개딸들은 가결에 투표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의원들의 명단을 공유하며 문자 폭탄을 날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의원은 향후 당내 이 대표의 '용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당과 내년 총선을 위해 이 대표 사퇴를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요구했던 이 의원은 2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진행자가 "'개혁의 딸'들이 '이탈 의원 색출' 움직임과 함께 이탈자로 지목된 분들에게 항의 문자를 많이 보낸다고 하더라"고 하자"저한테도 지금 문자가 상당히 오고 있다"며 문자폭탄에 시달리고 있음을 전했다. 이 의원은 "어마어마하다"며 "숫자뿐만 아니라 내용도 굉장히 살벌하다"고 했다.

구체적인 문자 내용에 대해선 "인용하기가 곤란하다. 인격을 갖고 있는 사람들끼리 해서는 안 되는,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가 너무 벗어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고 했다.

이 의원은 이런 문자들로 인해 총선 공천을 생각하면 위축되고, 현재 의정 활동을 하는 데도 불안감을 느낀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이 의원은 만일 이 대표 체포동의안을 또 다시 표결하게 될 경우가 와도 압도적 부결은 안 될 거라고 봤다. 이 의원은 "의원들이 그런 거센 항의가 들어 올 거라고 예상 못하고 찬성이나 기권, 무효표를 던진 건 아닐 거다. 자기들이 (찬성표 의원으로) 거론되고 있는 걸 알면서도 했을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이제는 의원들이 자기 소신을 더 강하게 또 현실적으로 표출하는 경우가 더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무효와 기권표를 던졌던 의원들도 가결 쪽으로 손을 들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이 의원은 "제가 생각하기에 심리적으로는 이걸 부결시킬 수도 없고 그렇다고 또 찬성하기도 그렇고, 이런 복잡한 마음속에 그냥 기권 무효한 분들이 있다"면서 이 상태에서 이 대표에게 또 영장이 청구되면 국회에서 가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당 분위기 지도부가 잘 파악하지 못해...이렇게는 안 된다는 우려·걱정 많아"

이탈 표 규모와 관련해 이 의원은 "그 정도 숫자는 예상 못 했다"면서도 "지도부가 압도적 부결이라고 한 건 공언(空言)이라고 받아들였다. 저변에 흐르는 분위기를 지도부가 잘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 정도 숫자가 나온 건 그냥 우연히 합쳐져서 합산된 그런 숫자가 아니다. 어느 정도 삼삼오오 교감이 이뤄졌다는 게 맞을 것"이라며 "의원들이 자신의 생각이 있고 또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통해서 얻어진 거다. 그냥 각각 생각한 것이 합산된 결과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일부 의원들 사이에 '체포동의안 찬성' 분위기가 흘렀다는 설명이다.

이 의원은 "표로 나온 것이 그 정도"라며 "부결표를 던진 의원들 중에도 방탄국회, 이 대표가 내 걸었던 불체포특권 공약 폐기 이런 걸 굉장히 고민스럽고 불편해하는 의원들이 많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19장의) 기권, 무효표도 찬성이라고 봐야 한다"고도 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이 기권, 무효표를 던졌을 가능성은 없기 때문에 기권, 무효표는 민주당 의원들의 찬성표라는 주장이다.

이 의원은 "이 사태를 해결하고 당이 온전하게 발전을 해 나가려면 사태를 엄혹하게 봐야 한다. (찬성표를) 개별 의원이 했다든가, 그냥 충동적으로 했다든가, 우연히 했다든가, 당 대표 지도부의 설득을 그냥 무시했다든가 이렇게 가볍게, 낙관적으로 보면 안 된다"고 했다.

앞서 비명계 설훈 의원이 "똘똘 뭉쳐서 부결 시켜 주자"라고 한 것은 "개인적인 의견"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 의원은 당이 선거 때는 불체포특권, 면책특권 폐기를 공약해 놓고 선거가 끝나고 나서는 뒤엎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냈다. 그는 "당이 지금까지 불체포 특권, 면책 특권을 폐기하기로 공약까지 내걸고, 대선 때도 국민들 앞에 약속을 했는데 이제 와서 뒤엎고 다른 얘기를 하는 그런 소위 내로남불의 행태가 아직도 바뀌지 않았다"며 "당 지도부의 강경 기조 그런 부분에 대한 것도 있을 테지만 이렇게 해서는 안 된다는 당에 대한 걱정이나 우려가 굉장히 넓게 깊게 깔려 있는 것은 틀림없다"고 했다.

그는 "(표결에서) 겉에 나온 숫자는 빙산의 일각이다. 그 물밑에 있는 얼음덩어리가 더 크다"라며 "당의 우려와 걱정을 하는 목소리나 생각들은 상당히 분위기가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그 숫자가 거의 절반 가까이 되냐'는 진행자의 질문엔 "숫자가 어느 정도 된다고 말하기는 그렇다"면서 "지금 생각하는 것보다는 상당히 걱정과 우려가 많은 것이 오히려 더 자연스러운 모습아니겠나"고 답했다.

표결 직후 친명계가 '(찬성표 던진 사람들은) 나가주면 좋겠다' '그렇게 호소를 했는데 국민의힘과 보조를 맞추는 사람들하고 같이 갈 수 있을지 충격이다' 등의 날선 반응을 보인 것에 대한 생각도 밝혔다.

이 의원은 "결과를 보고 감정적으로 대응을 한 건데 그렇게 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사태의 본질을 잘 모르는 것이고 대응을 잘 하는 것도 아니다"라며 사태를 엄혹하게 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저간에 흐르는 그런 의원들의 걱정과 우려는 그냥 개별적인 의원들의 걱정과 우려가 아니라 국민들 또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그런 분들의 걱정과 우려가 담긴 목소리다. 그걸 그냥 '당을 나갈 사람이다' '같이 하지 못할 사람이다' 이렇게 치부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게 국민의힘과 보조 맞추는 문제라고 한다면 진짜 그건 잘못된 생각이다. 민주정당인데 당대표가 설득을 하고 호소했다 할지라도 생각이 다른 의원이 당연히 있을 수 있지 않냐"고 반문하며 "생각이 다 일사불란하게 같을 거라고 생각을 하는 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의 다양성을 강조했다.

이 의원은 "저는 (찬성이) 한 10표 내외로 생각했다. 그런데 보기에 따라 압도적 부결이라는 분들도 있고, (찬성이) 70표가 넘을 거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다. 그런 생각의 차이가 분명히 있는 만큼 생각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 해야 된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이 의원은 "당을 나갈 사람들이면 당 걱정을 안 한다"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7일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본인의 체포동의안이 부결된 뒤 모든 법률안을 표결하고 나서 국회를 떠나고 있다. 2023.2.27 [사진=연합뉴스]

"심리적 분당 상태는 과대한 해석, 민주정당에서 특정인만 의존하는 것은 매우 잘못" 

진행자가 '심리적 분당 상태라는 말도 나온다'고 하자 이 의원은 "과대하게 해석한 것"이라며 "매사 권력 게임으로 바라보는 건 적절치 않다. 윤석열 대통령과 지금 국민의힘의 아주 실정, 국정을 잘못 이끄는 것에 대한 실망하는 국민들이 더불어민주당에 마음을 줘야 되는데 더불어민주당 또한 그렇게 믿음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민심을 통해서 상당수의 의원들이 인식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덧붙여 이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집권여당의 실정 때문에 잘못된 헛발질이 한두 개가 아니었지 않나. 그것 때문에 마치 모르핀 주사를 맞듯이 민주당이 더 대오각성하고 개과천선해야 하는데 그걸 까마득히 잊어 먹고 있는 거다"고 했다.

이 의원은 "진통주사 아픔이 있으면 그 아픈 게 왜 아픈지를 본질적으로 찾아내고 그거를 해결하는, 또는 오려내는 그런 해법이 필요한데 그런 것은 제쳐놓고 진통제 맞아서 아픔이 없는 걸로, 아무런 문제가 없는 걸로 착각을 한다"고 민주당의 상태를 비유했다.

이 의원은 "지도부나 당에서 충격을 받은 건 사실"이라며 표결 사태를 이 대표가 안이하게 넘어가서는 안 될 부분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어떤 조치가 필요한 건 틀림없다"며 "설렁설렁 넘어가거나 '별일 없겠지', '다시 또 얘기해 보면 되겠지' 이렇게 완만하게 생각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단언했다.

'어떤 조치가 이 대표가 당직을 스스로 내려 놓는 길을 말하는 것이냐'는 진행자의 질문에는 "대체로 거론되는 것들이 그런 것들 아니겠냐"며 "당이 아주 진하게 방패에 부정적 이미지로 덧씌우고 있는 만큼 당대표로서의 책임도 있는 건 틀림없다. 지난 번 상임고문들하고의 자리에서도 권노갑 고문께서 선당후사라는 말씀도 하지 않았나"라며 이 대표가 당을 위해 '사퇴 용단'을 내리는 것도 필요하다고 봤다.

'(이 대표가) 억울하더라도 당과 분리 대응해서 선당후사의 정신으로 가달라는 거냐'고 묻자 이 의원은 "일찍부터 그렇게 하는 게 적절한 조치라고 생각된다. 그렇지 않고 뒤섞여서 가다 보니 당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 대표가 없으면 총선을 치를 구심점이 없다는 걱정이 나오는데 대해선 "이 대표가 당에서 절대적 지지를 받고 있고 유력 대선주자로도 거론되긴 한다. 리더십을 전혀 무시할 수는 없다"면서도 "이렇게 가서는 당도 다 송두리째 낭떠러지로 떨어진다는 걱정이 갈수록 더 깊어지고 있다. 리더십의 공백이나 혼란이 당분간은 있을 수 있겠지만 민주정당에서 특정인만 의존하는 것은 매우 잘못된 생각"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