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과통일포럼, 정우택 국회부의장과 함께 할 새 공동대표에 김영주 국회부의장 추대

2023-05-10     김자경 기자
상생과통일포럼 공동대표 정우택 국회부의장(좌)과 김영주 국회부의장(우)

[폴리뉴스 김자경 기자] 상생과통일포럼(www.fwwu.org)이 정우택 국회부의장과 함께 포럼을 이끌어갈 새 공동대표로 김영주 국회부의장을 추대한다고 10일 밝혔다.

상생과통일포럼은 앞으로 국민의힘 정우택 국회부의장과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국회의부장이 공동대표로 함께 이끌어 간다. 

김영주 국회부의장(더불어민주당, 4선, 서울 영등포구갑)은 전국금융노동조합연맹 상임부위원장 출신 여성 정치인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헌정사상 첫 여성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낸 4선 국회의원이다. 1955년생으로 무학여중‧고를 졸업하고 방송통신대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했으며, 서강대 경제대학원 경제학 석사, 몽골국립대 명예박사를 받았다. 서울신탁은행 실업 농구단 소속 선수로 활동한 체육인 출신 정치인이기도 하다.
 

상생과통일포럼은 10일 김영주 국회부의장을 새 공동대표로 추대했다. [사진=부의장실 제공]

상생과통일포럼은 2014년 개혁 보수와 합리적 진보, 정치권과 비정치권, 각계의 다양한 영역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인사들이 모여 함께 소통하고 교류하며 새로운 가치 창출을 목표로 창립한 단체다. 초대 공동대표는 정세균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 정우택 새누리당 최고위원, 최창섭 서강대 명예교수가 맡았다.

이후 설훈 당시 민주당 최고위원, 김영태 서울시립대 교수, 정진석 국민의힘 국회의원,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등이 공동대표를 역임했으며, 2022년에는 정우택 국회부의장(국민의힘, 5선, 충북 청주시상당구)이 공동대표로 재추대 되었다.

상임고문은 정세균 노무현재단 이사장, 최창섭 서강대 명예교수, 설훈 국회의원, 정진석 국회의원, 김진표 국회의장, 정의화 전 국회의장, 이낙연 전 국무총리, 정대철 대한민국헌정회 회장, 성낙인 전 서울대 총장, 박찬종 변호사, 이부영 자유언론실천재단 이사장  등이다.

상생과통일포럼은 경제 포럼과 학술 심포지엄 개최, 리더십 최고위과정 운영, 홈페이지(www.fwwu.org) 및 뉴스레터 발간, 대화광장 개최 등 활발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2014년 6월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故 박세일 교수의 특강으로 열린 창립대회를 시작으로 매년 2~3차례의 포럼과 특강을 꾸준히 개최해 국회 상임위원회, 정부부처, 산업계, 학계, 언론계가 함께 국가 아젠다에 대한 해법 마련에 머리를 맞대고, 이를 국회와 언론을 통해 널리 알려왔다.

올해 3월에는 정우택 공동대표가 좌장을,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기조발제를 맡아 ‘한국경제, 혁신성장의 길을 찾아라’라는 주제로 제20차 경제산업포럼을 진행한 바 있다.
 

3월 24일 여의도 63빌딩 라벤더홀에서 열린 상생과통일포럼 제20차 경제산업포럼에 참석한 내빈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김진호 폴리뉴스 정치에디터겸 부사장, 양향자 의원, 류성걸 의원, 박광온 의원,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 정우택 국회부의장(포럼 공동대표), 김주현 금융위원장, 노웅래 의원(포럼 공동대표),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포럼 상임운영위원장), 이은주 정의당 원내대표, 윤관석 국회 산자위원장, (뒷줄) 신흥범 에너지경제 부사장, 임정효 에너지경제 대표, 신태윤 연세대 교수, 양금희 의원, 김명식 뉴욕일보 기자, 윤두현 의원, 조은희 의원,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 최용국 뉴욕일보 한국지사장, 김기흥 블록체인협회 회장, 이원욱 의원 [사진=폴리뉴스]

상생과통일포럼 리더십 최고위과정은 이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리더십을 세우기 위해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의 특별대학원 과정으로 개설되었다. 12주 24강 일정으로 국내 최고 강사진의 강의와 토론 수업이 병행되는 리더십 과정은 현재까지 총 8기, 17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했으며, 수강생들은 졸업 이후 새롭게 국회의원, 자치단체장에 당선되거나 공기업 대표에 오르는 등 사회 각계의 중추적 리더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상생과통일포럼은 폴리뉴스 김능구 대표가 상임운영위원장으로서 실무적인 운영을 맡고 있으며, 여야 국회의원, 지방자치 단체장, 중소‧대기업 임원, 대학교수, 언론계, 시민단체 임원 등 전국적으로 400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 상생과통일포럼 회차별 기사 보기
https://www.polinews.co.kr/event/event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