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강서 보선 이후 '보수언론' 일제히 사설 통해 "윤대통령·여당 전면쇄신" 촉구
조선 "대통령·여당 안바뀌면 중대 국정개혁 물건너가...윤석열 정부 국정 운영 방식·태도 문제" 동아 "변화와 쇄신, 윤 대통령 자신에게서 나와야" 중앙, 윤석열 정부 인사 문제 집중 거론.. "전면적 국정쇄신해야" 한국 "야당과 대화에 나서야" 세계 "협치와 탕평 기조로 쇄신" 경향 "당·정·대 인적 쇄신.. 대야 관계의 새 틀 짜야" 한겨레 "더 늦기 전에 국정 전면 쇄신"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지난 11일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 17%포인트 차로 패배하면서 보수 언론들도 사설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과 여당인 국민의힘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조선일보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 운영 태도를 문제삼았으며, 동아일보는 대통령이 '불통, 오만, 독선'에서 벗어나야한다고 쓴소리를 날렸다. 중앙일보도 대통령의 인사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지 돌아보라고 지적했다.
13일 보수 성향의 아침신문 사설에선 한목소리로 대통령과 여당이 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선일보는 오늘 자 사설 <대통령·여당 안 바뀌면 중대 국정개혁 다 물건너가>에서 현 정부의 '태도'를 문제 삼았다.
신문은 "국정 방향은 대체로 옳지만 그 방식과 태도가 문제라고 여기는 국민이 많다"며 "다른 사람들의 시선과 생각을 의식하지 않다 보니 민심과 괴리가 생기고 간극이 더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은 매사에 일방적으로 밀어붙인다는 느낌을 준다"며 "국민은 대통령의 겸허하고 진솔한 자세를 인사를 통해 보고 느끼는데 정치에선 취임 이후 지금까지 누구를 내치고 배척하는 기류뿐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했다.
조선일보는 "대통령실과 정부에서 잘못하는 일이 있으면 여당에서 여론을 전달해 수정하는 시스템이 거의 작동하지 않고 있다. 지나친 상하관계가 되다 보니 지금 국민 눈에 여당은 보이지도 않고 있다"며 "주식 의혹과 인사청문회 퇴장 논란을 빚은 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자진 사퇴한 것을 시작으로 윤 정부는 더 적극적으로 민심을 살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가 노동·교육·연금 개혁을 이루려면 "국회에서 최소한의 의석을 확보해야 한다"며 내년 총선의 중요성을 상기했다.
동아 "변화와 쇄신, 윤 대통령 자신에게서 나와야"
이날 동아일보는 보다 강한 어조로 윤 대통령의 성찰을 요구했다.
신문은 사설 <'김행 하차'는 출발점일 뿐, 국정쇄신은 '내 탓' 성찰로부터>에서 이번 보궐선거 결과 지난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에서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을 지지했던 중도층이 대거 이탈했음이 확인됐다고 분석했다.
동아일보는 "여권 안팎에서 인적 쇄신과 국정기조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며, "민심은 때론 변덕스럽지만 어떤 위정자도 그 도도한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변화와 쇄신은 윤 대통령 자신에게서 나와야 한다"며 "스스로 인식과 태도부터 바꿔야 한다"며 윤 대통령의 변화를 촉구했다.
구체적으로 "1년 넘도록 기자회견을 하지 않는 불통, 곳곳에 '내 사람'을 심어 국정을 주도하겠다는 오만, 직접 이념전쟁의 전사로 뛰어드는 독선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했다.
또 "전 정부를 가리키며 '과거엔 더했다'는 변명도 더는 통하지 않는다"며 "'남 탓' 아닌 '내 탓', 성찰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중앙, 윤석열 정부 인사 문제 집중 거론.. "전면적 국정쇄신해야"
중앙일보는 윤석열 정부의 인사 문제를 집중적으로 지적했다.
사설 <여권의 총체적 쇄신과 성찰 없이는 국정 신뢰회복 어렵다>에서는 유인촌 장관과 신원식 장관, 자진사퇴한 김행 장관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부결된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자를 거론하며 "우선 만사를 가름할 인사가 독단·독선적이지 않았는지부터 따져봐야 한다"며 "협소한 인재풀과 인사 추천·검증 시스템이 국민 눈높이에 부합했는지 자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신문은 "정책 입안 프로세스도 되짚어봐야 한다"며, "설익은 상태에서 불쑥 나와 삐그덕거리며 내부 소통 부재를 드러냈다. 이런 일이 반복되면 국정 운영이 불안정하다는 느낌을 피해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내년 총선에서는 "윤 정부의 성과와 실적에 냉정한 판단이 내려질 것"이라며, "민생과 경제를 최우선에 둔 전면적 국정쇄신 외엔 방도가 달리 없다"고 강조했다.
한국 "야당과 대화에 나서야" 세계 "협치와 탕평 기조로 쇄신"
한국일보와 세계일보도 국정쇄신과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내며 정부와 여당을 압박했다.
한국일보는 전날 사설에서 "여권은 더 이상 야당 '복'에 기대지 말고 스스로 달라져야 국민 지지를 되찾을 수 있다"며, "비상한 각오로 당·정 인적쇄신에 나서 국정전반을 개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윤 대통령을 향해서도 "의회민주주의를 복원하기 위해 지금이라도 야당과 대화에 나서기 바란다"며, "정치권은 국민을 무섭게 알고 본격적인 쇄신과 혁신경쟁에 나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세계일보는 13일 사설을 통해 "변화를 요구하는 민심에 부응하려면 윤 대통령은 협치와 탕평으로 국정 기조를 전면 쇄신해야 한다"며, "내각과 대통령실에 대한 과감한 인적 쇄신도 단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문은 여당을 향해서도 "김기현 대표 체제로 총선을 치르기 어렵다는 지적도 수용해야 한다"며, "대통령 눈치 보기에 급급했던 국민의힘도 집권당으로서 제 목소리를 내는 게 필요하다. 여권 전체가 달라지지 않는다면 총선 전망도 암울하다"며 변화와 쇄신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경향 "당·정·대 인적 쇄신.. 대야 관계의 새 틀 짜야" 한겨레 "더 늦기 전에 국정 전면 쇄신"
경향신문은 사설에서 정부와 여당의 관계 재설정, 협치 등을 요구했다.
경향신문은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은 선거 참패로 총체적 심판대에 섰다"며, "불통·독단·독주로 통칭되는 국정 운영이 이번 보선에서 민심의 철퇴를 맞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이번 보선에서 심판받은 국정기조를 전환하고, 당·정·대를 인적 쇄신하고 대야 관계의 새 틀을 짜야 한다"며 "민생을 놓고 야당과 선의의 경쟁을 펼쳐야만 정부와 책임여당의 활로가 생길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서슬 퍼런 민심을 확인하고도 ‘눈 가리고 아웅’ 식 미봉이나 임기응변으로 어물쩍 넘어가려 한다면, 여권은 내년 총선에서 더 가혹한 심판대에 설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겨레는 전날(12일) 사설에서 비슷한 주문을 했다.
신문은 "윤 대통령은 이번 선거 결과를 거울 삼아 더 늦기 전에 국정 전면 쇄신에 나서야 할 것"이라며, "그동안 대통령 눈치 보기에 급급했던 국민의힘도 집권여당으로서의 면모를 되찾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선거 결과를 겸허히 받아안고 민심의 목소리에 고개를 낮춰 귀 기울이기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