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지역구 의원이 어디 가겠냐” 계양을 출마 의지…"586용퇴? 민주화운동 죄냐"

인천 계양을 출마에 대해 “통상적 기준과 절차에 따라 생각해 달라” 이낙연 탈당엔 말 아껴…“통합과 혁신은 대척점에서 균형 찾아야” 586용퇴론에 대해선 “‘민주화 운동한게 죄는 아냐” ”4월 총선에서 51% 이상 얻어 ’151석‘이 목표” ”자객공천’은 언어도단”…진짜 아닌 사람 걸러야

2024-01-19     고영미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8일 국회 당 대표실에서 부산 가덕도 피습 현장에 있었던 기자들과 차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고영미 기자] 흉기 피습 이후 보름 만에 당무에 복귀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지난 18일 부산 가덕도 현장 취재에 동행했던 출입기자들을 대상으로 국회 당대표 집무실에서 차담회를 열고 이낙연 탈당, 자객공천, 총선 목표, 인천 계양을 출마 여부 등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16일 인천 계양구 카리스 호텔에서 열린 인천시당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손을 잡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인천 계양을 재선 의지에 원희룡 전 장관과의 ‘빅매치’ 성사되나?

그간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재명 대표의 총선 출마를 두고 그간 정치권 일각에서는 선거 총지휘를 위해 불출마 또는 비례대표로 출마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그러나 이 대표는 “지역구 의원이 어디로 가겠냐”며 “통상적 기준과 절차에 따라 생각해 달라”며 사실상 인천 계양을 재선 도전 의사를 밝혔다.

이 대표가 인천 계양을 출마를 선언함에 따라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의 ‘빅매치’ 성사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원 전 장관은 지난 16일 인천시당 신년인사회에서 “대한민국이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돌덩이 하나가 자기만 살려고 길을 가로막고 있다”며 “제가 온몸으로 돌덩이를 치우겠다”고 말한 바 있다.

원 전 장관은 지난 20대 대선에서도 대장동 특혜 의혹을 파헤쳐 ‘대장동 일타강사’로 불렸으며 지난해 11월부터 인천 계양을 출마 의사를 내비쳐 왔다.

이낙연 탈당 언급 부적절 해

이 대표는 최근 민주당 내 비명계 인사들의 탈당 움직임에 대해서는 당의 통합성을 강조했다. 단, 비명계가 주장하는 조기 통합선거대책위원회 구성에 대해서는 반대의 입장을 드러냈다.

이 대표는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와 현역 의원들의 ‘제3지대’ 연대 움직임에 대해서는 “그분들에 대해 평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말을 아꼈다.

이어 “모든 선거에는 갈등이 있다. 총선은 갈등이 가장 많아 시끄럽지 않게 할 수 없다”며 “하지만 혁신하지 않아도 지고, 원심력이 작용해도 지기 때문에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당은 공천 규정이 특별당규로 돼 있고 꼼꼼히 만들어져 그것대로 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비명계가 주장하고 있는 조기 통합선대위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대표는 “주어진 권한을 행사하면 안 된다”며 “공천이 시스템으로 보장돼 있는데 이를 벗어나면 안 된다”고 전했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586 용퇴론’에 대해서는 “‘586세대’ 정의에 해당하진 않지만 나도 586이다”며 “민주화 운동을 한 게 잘못도 아니고 공천에서 잘라야 할 586에 대한 정의도 정해진게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151석 얻어 원내 제1당이 목표”

이 대표는 오는 4월 총선 목표에 대해서도 “151석 이상을 얻어 원내 제1당이 목표”임을 분명히 드러냈다.

그는 “지금 정부‧여당이 국회에서 우리가 저지하는데도 ‘어떻게 저렇게 하지’싶은 일들을 하는데, 제도마저 마음대로 할 수 있으면 어떻게 하겠냐”며 “전쟁터에서는 ‘니가 빵 먹고 내가 밥 먹을래’가 중요하겠느냐”며 “내 편, 니 편은 다음 문제고 이기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이어 “권력에도 내재적 한계가 있는데 윤석열 대통령은 가족을 수사하면 안 된다고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느냐”고 비판했다.

“자객공천은 언어도단”…비판 일축

이 대표는 민주당 내부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자객공천’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에서는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에서 ‘친이재명계(친명계)’ 인사들이 잇달아 ‘비이재명계(비명계)’ 의원 지역구에 검증을 신청해 줄지어 통과하자 당 안팎에서 ‘자객공천’이라는 논란이 일었다.

이 대표는 “‘자객공천’은 언어도단”이라며 “공정하게 경쟁을 붙이는 건데 왜 ‘자객공천’이라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전했다.

이어 “검증위에서는 진짜 ‘아닌’ 사람들을 거른 것이다. 검증 부적격 사유가 살벌한데 성희롱은 기소유예만 돼도 부적격 처분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위 친명계라고 불리는, 나와 가까운 사람들이 더 많이 떨어졌다”며 “마음은 아프지만 당 대표가 할 수 없는게 많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친명과 비명으로 강제로 나뉜 사람들을 강제로 다르게 평가해야 하냐”며 원외 인사가 현역 의원보다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똑같은 규정 위반이면 현역도 걸러져야 한다”고 답했다.

이 대표는 선거제 개편에 대해서는 절충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는 “이해관계가 많이 엇갈려 있는 만큼 혼자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며 “아직 정해진 건 없지만 명분과 실리가 일치하지 않는데, 가능한 한 균형점을 찾을 것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