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공합작 선결조건은 일본침략…‘제3지대’ 공통가치 형성 아직”
“제3지대 연대하려면 ‘새로운 발상전환’필요” 대화 진행 中…“중심에 놓을 가치가 무엇일지 고민해야 ” 개혁신당은 독자노선? “산술합적으로 좋은 결과 나오면 당연히 연대”
[폴리뉴스 고영미 기자]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25일 이낙연 전 의원이 주도하는 새로운미래 등과의 ‘제3지대 빅텐트’ 추진과 관련해 “국공합작의 선결 조건은 일본이 쳐들어오는 정도가 돼야 한다. 그런데 제3지대에 있는 사람들이 그 정도의 위기 의식을 느끼고 있느냐”고 말했다.
“빅텐트, 연대 용어만 반복…공통의 가치 논의가 선행돼야”
이 대표는 이날 SBS 라디오 ‘정치쇼’ 인터뷰에서 이낙연 전 대표의 새로운미래, 금태섭 전 의원의 새로운선택, 민주당 탈당 의원들이 주축인 미래대연합과의 통합과 관련해 “국공합작이 되려면 선결조건은 일본이 쳐들어오는 정도가 돼야 가능하다”며 “지금 그 정도의 위기의식을 과연 제3지대에 있는 사람이 느끼고 있느냐가 첫 번째고, 두 번째로는 개혁신당과 한국의희망 입장에서 봤을 때 새로운선택, 그러고 이낙연 전 대표의 새로운미래, 그다음에 방금 전에 김종민 의원이 다녀가신 미래대연합이 개별창당을 지금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면 이분들은 칼을 뽑았으면 무라도 썰어야 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제3지대를 준비하는 모든 세력들에게 꼭 빅텐트를 쳐야만 하는 공동의 적은 지금 없다는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어떤 분들은 사실 이재명 대표의 일방주의에 대해서 반대하시는 분도 있고, 저는 뭐 윤석열 피해자 모임이고 거기에 더해서 제대로 된 보수를 해 보겠다는 일념으로 지금 여기까지 온 것”이라 말했다.
이어 “이 둘을 엮으려는 다른 목표가 있다면 개혁이다. 대한민국의 위기를 상정하고 양대정당이 지금 각자 방탄모를 둘러쓰고 있을 때 저희가 국민의 삶을 위해 안전모를 씌우겠다 정도의 새로운 발상전환이 있어야 한다”고 대답했다.
이 대표는 “국공합작은 일본으로부터 나라를 지키자인데, 대한민국에 위기를 상정하고 양대정당이 관심 없는데 우리는 관심 있다 정도의 지점을 설정해야 된다”고 설명했다.
또 “그렇기 때문에 노력이 중요한 것이지, 지금 보면 빅텐트, 연대 얘기만 나오기 때문에 너무 동어반복 같다는 느낌이 든다. 한동안은 개혁신당과 한국의희망은 공통비전을 바탕으로 해서 정책 얘기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새로운미래와 미래대연합, 반윤석열로 시작해 제대로 된 보수를 하고 싶은 개혁신당은 지금 공통점이 없는 것인지’를 묻자 “대화는 계속하고 있으나 공통의 가치를 형성하는 데까지는 아직 완벽하게 이르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공통의 가치 논의가 앞섰어야 한다”며 “이준석 신당과 이낙연 신당 이런 이름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굉장히 이질적으로 보일 수 있는 두 이름의 결합만 계속 보도돼 산술합보다도 안 나올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중심에 놓을 가치가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개혁신당의 독자노선 가능성에 대해 이 대표는 “신당 입장에서도 산술합으로라도 만약에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는 연대라 그러면 당연히 추진 할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조심스러워야 되는 것이고 만약 어디랑 합쳐서 산술합 이상 나온다면 무조건 연대를 추구해야 한다”고 전했다.
김종민 미래대연합 위원장 “개혁신당과 8부 능선 이상 얘기 진척”
한편 김종민 미래대연합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은 25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개혁신당과의 연합 가능성에 대해 "그게 가능하거나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판단과 노력을 하는 것이고, 그게 제일 중요한 숙제"라고 언급했다.
이어 “그래서 개혁신당과도 거의 한 8부 능선 이상 얘기가 진척되기도 하는 등 서로 간에 물밑으로 많은 협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그는 "많은 대화가 이뤄지고 많은 가능성들을 서로 확인했다는 정도까지만 말씀드린다"며 "최종적으로 성사되는 시점은 조금 더 기다려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