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정의당 "민주당과 지역구 연대도 철회…정책협상도 중단"
“원칙 없는 비례대표 의석 축소, 협상 지속 명분 사라져” “지역 차원의 개별적인 협의는 상호 존중” 창원 성산, 민주당‧녹색정의당 단일화 성사 여부 관심
[폴리뉴스 고영미 기자] 녹색정의당이 더불어민주당과의 총선 연대 협상을 중단하기로 했다. 녹색정의당은 당초 범야권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합류를 거부하고 지역구 연대는 참여키로 했으나 당 차원에서의 지역구 연대와 정책협상까지 전면철회에 나선 것이다.
녹색정의당 측은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지난달 29일 비례 1석 축소, 지역구 1석 증가가 담긴 선거구 획정안에 합의한 것을 두고 ‘당리당략에 의한 졸속합의'라며 강하게 반발해왔다.
“원칙 있는 선택을 하는 정당으로 남을 것”
김준우 상임대표는 지난 4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총선 연대와 관련해 지난주 민주당과 지역구 연대 방안 협의를 진행했으나, 중앙당 차원의 지역구 연대 협상은 지속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녹색정의당은 범야권 비례대표 정당인 가칭 민주개혁진보연합 합류에 거부해 비례는 독자 대응하고 접전 지역구는 연대한다는 기조에서 ‘협상 중단’으로 변경했다. 더불어민주당, 새진보연합과 진보당, 연합정치시민회의가 참여한 비례정당 ‘더불어민주연합’은 지난 3일 창당했다.
다만, 지역 차원의 개별적인 협의는 상호 존중하기로 했다.
김 상임대표는 "지역구 연대와 별도로 정치개혁을 위해 민주당과 정책연대를 별도로 추진했으나, 원칙 없이 비례대표 의석 축소를 결정한 민주당의 선택에 따라 정책협상을 지속할 명분이 사라지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녹색정의당은 윤석열 정권 심판 최선두에 서면서도 원칙 있는 선택을 하는 정당으로 남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선거구 획정안을 합의하며 비례대표 의석을 축소하면서, 녹색정의당 등 제 3정당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유일한 지역구 의원인 심상정 의원(경기 고양시갑)은 지난 달 19일 인위적인 후보 조정에 반대한다며 자신의 지역구를 연대 협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했는데, 민주당은 특정 지역구는 뺀 채로 선거연대를 하기는 어렵다며 부정적 입장을 밝혀왔다.
창원 성산 선거구, 단일화 성사되나?
한편 녹색정의당의 지역구 연대 협상 중단으로 창원 성산에서의 단일화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창원 성산 선거구는 창원국가산업단지 배후도시로 민주당계-진보정당 단일화 여부에 지난 선거 결과가 좌우됐었다.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과 진보당은 단일화에 합의해 창원 성산에서는 허성무-이영곤 예비후보 가운데 1명으로 압축될 예정이다.
녹색정의당은 연대 협상 중단에도 지역 차원에서 개별 협의를 존중하기로 해 단일화 논의 여지를 뒀다. 다만, 도당 관계자는 “범야권에서 직접적인 제안은 없었지만 단일화는 없다는 것이 여 후보 태도고 연대 등 외부 요청을 거부하자는 당 내부 의견도 있다”고 말했다.
[김준우 녹색정의당 상임대표 페이스북 전문]
녹색정의당은 총선 연대와 관련하여 지난 주 더불어민주당과 지역구 연대방안에 관하여 협의를 이틀간 진행하였으나, 결론적으로 중앙당 차원에서의 지역구 연대 협상은 지속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다만, 지역차원에서의 협의는 존중하기로 상호합의 하였습니다.
한편 녹색정의당은 지역구 연대와 별도로 중단없는 정치개혁을 위하여 더불어민주당과의 정책연대를 별도로 추진하였으나, 원칙없이 비례대표 의석 축소를 결정한 민주당의 선택에 따라 정책협상을 지속할 명분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녹색정의당은 윤석열정권 심판에 최선두에 서면서도, 원칙있는 선택을 하는 정당으로 남겠습니다. 녹색정의당의 의미있는 선택에 더 많은 응원과 격려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