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서울 0명·지방 1639명·경인 361명↑

3월 21일 정부는 처우 개선 토론회 지역 의대 정원 늘려, 수도권·비수도권 의료격차 해소라고 설명

2024-03-21     양성모 기자
의대 운영대학 현장 간담회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정부가 기존보다 2000명 늘어난 2025학년도 의과대학 학생 정원을 경기·인천 지역과 비수도권에 배정하면서 27년 만의 의대 정원 확대에 쐐기를 박았다. 반면 서울에는 신규로 정원을 배정하지 않았다.

교육부는 수도권·비수도권 의료격차 해소,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과 경인지역 의료여건 편차 극복을 주요 기준으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의대 입학정원 증원분을 대학별로 배분한 뒤 오늘 처우 개선 토론회를 연다.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3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학년도 의과대학 학생 정원 대학별 배정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2월 22일부터 3월 4일까지 대학들의 신청을 받고, 전문가가 참여하는 '의과대학 학생정원 배정위원회' 논의를 거쳐 정원 증원분 2000명을 지역별·대학별로 배분했다.

정부는 기존에 여러 차례 강조했던 대로 지역의료 인프라 확충을 위해 비수도권에 증원분의 82%를 배정하고, 경기·인천지역에 나머지 18%를 배분했다. 먼저 비수도권 27개 대학에는 전체 증원분의 82%인 1639명을 증원키로 했다. 

대학별로는 ▲강원대 132명 ▲연세대 분교 100명 ▲한림대 100명 ▲가톨릭관동대 100명 ▲동국대 분교 120명 ▲경북대 200명 ▲계명대 120명 ▲영남대 120명 ▲대구가톨릭대 80명 ▲경상국립대 200명 ▲부산대 200명 ▲인제대 100명 ▲고신대 100명 ▲동아대 100명 ▲울산대 120명 ▲전북대 200명 ▲원광대 150명 ▲전남대 200명 ▲조선대 150명 ▲제주대 100명 ▲순천향대 150명 ▲단국대 천안 120명 ▲충북대 200명 ▲건국대 분교 100명 ▲충남대 200명 ▲건양대 100명 ▲을지대 100명이다.

서울의 한 병원 전공의 전용공간 앞. [사진=연합뉴스]

정부는 정원 50명 이하 '소규모 의대'만 있었던 경기·인천권의 경우 5개 대학에 나머지 18%에 달하는 361명의 정원이 배분됐다. 

학교별로 살펴보면 ▲성균관대 120명 ▲아주대 120명 ▲차의과대 80명 ▲인하대 120명 ▲가천대 130명이다. 다만 수요조사에 참여했지만 서울지역 8개 대학은 정원을 증원받지 못했다.

지역거점 국립 의과대학은 총정원을 200명 수준으로 확보하도록 하고, 정원 50명 미만 소규모 의과대학은 적정 규모를 갖춰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정원을 최소 100명 수준으로 배정했다. 다른 비수도권 의과대학도 지역 의료여건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총정원을 120명에서 150명 수준으로 확대했다.

이주호 부종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번 의대정원 배정확대는 의료개혁의 시작이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의료격차를 적극 해소하는 새로운 의료 생태계를 조성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며 “교육부는 앞으로 대학의 파트너로서 의대정원 증원에 따른 대학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해 나가고자 한다. 현장의 목소리를 더욱 경청하고 직접 대학을 방문하여 적극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2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이날 오후 3시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전공의 처우 개선 논의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연다. 이 토론회는 의료계와 정부의 소통 과정의 하나로 소개됐다.

토론회에는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 외에 임인석 중앙대 교수 등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임 교수는 복지부 장관 직속 기구인 전공의 수련환경평가위원회의 기관평가위원장을 맡는다.

한편 전공의들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지난달 20일 이후 본격적으로 사직해 근무지를 이탈한 뒤 아직 복귀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