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2030 표심 잡아라, D-3 총선 막판 청년 마음잡기 안간힘
국민의힘, 청년권익 우선한다며 '청년청' 신설 발표 R&D 증액 및 의료계 대화도 젊은 표심 잡기 일환 더불어민주당도 구직활동지원금 등 취업 지원 정책
[폴리뉴스 박상현 기자]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등 여야가 사흘 앞으로 다가온 총선에서 승리하기 위해 2030 표심을 잡기에 안간힘이다. 40대 이상 유권자들의 표심은 이미 한쪽으로 기울어진 가운데 2030 청년층의 표심이 승패를 가르는 요소로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가 지난달 29일 확정한 선거인명부에 따르면 18세 이상과 20대, 30대는 전체 유관자의 30.66%를 차지했다. 18세 이상 10대는 89만5092명으로 2.02%였고 20대는 611만8407명으로 13.82%, 30대는 655만922명으로 14.82%를 차지했다. 18세 이상 20대와 30대를 모두 합치면 전체 유권자의 3분의 1에 가까운 수치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유권자 연령대는 확연하게 갈린다. 60대 이상은 주로 국민의힘을 지지하고 40대와 50대는 진보 성향의 유권자가 많아 더불어민주당에 표를 던지는 경우가 많다. 유권자 현황에 따르면 60대 이상은 1411만53명으로 전체 31.89%였고 40대와 50대는 1656만9147명으로 전체 37.45%에 달한다. 이처럼 40, 50대와 60대 이상의 표심이 갈려있기 때문에 결국 18세 이상 20대와 30대의 청년층의 표심이 승패를 좌우한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표심 정하지 못한 청년층, 총선에 시큰둥
다만 청년층의 표심은 아직까지 오리무중이다. 어느 한쪽으로도 크게 기울지 않았기 때문에 선거 승패를 좌우하는 '스윙보터'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이 정치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하지만 정작 청년층은 이번 총선에 시큰둥하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6일부터 28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정당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18세 이상 20대의 무당층이 38%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27%)과 국민의힘(25%)의 지지도보다 10%P 이상 높다. 30대 역시 29%가 무당층이어서 더불어민주당(28%), 국민의힘(27%)보다 오차범위 내에서 높았다. 전체 3분의 1이 아직까지 자신의 표를 어느 쪽에 던질지 정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이처럼 청년층이 표심을 정하지 못한 것은 여야 모두가 그만큼 청년층의 마음을 잡는 공약을 내놓지 못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사실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되고 국민의힘이 지방선거에서도 승리한 요인에는 2030세대의 힘이 컸다. 2017년 대선과 2020년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을 밀어줬음에도 별로 달라진 것이 없자 실망을 느낀 2030 세대들이 대거 국민의힘으로 표를 밀어줬다는 분석이 있었다. 특히 문재인 정부에서 공정과 상식을 기대했던 2030세대들의 실망감은 반대로 국민의힘이 힘을 얻는 계기가 됐다.
그런데 정치 전문가들은 현 정부에 실망을 느낀 2030세대들이 표심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더구나 이번 총선에서는 2030세대들을 위한 정책이 좀처럼 나오지 않으면서 더더욱 실망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청년청 신설과 함께 의료계·과학기술계 달래기
바꿔서 말하면 2030 세대들을 위한 정책을 내놓기만 한다면 총선의 향방을 바꿀 수 있다는 뜻도 된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모두 총선 막바지에 청년 대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3일 강원 원주시 유세 현장에서 "국민의힘은 청년청을 인구부 산하에 둬 청년 정책을 통할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총선을 앞두고 여전히 지지 후보와 정당을 정하지 못한 청년층을 겨냥한 공약이다.
또 한 위원장은 지난 5일 더불어민주당 김준혁 후보가 이화여대 김활란 총장이 자신들의 제자를 성상납했다는 주장에 대해 맹비난함과 동시에 양문석, 공영훈 후보의 편법대출과 아빠 찬스 논란에도 비판했다.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효과를 거뒀던 '공정 프레임'을 내세워 2030 세대 표심을 자극하기 위함이다.
여기에 국민의힘은 서둘러 과학기술계와 의료계 달래기에 나섰다.
대통령실에서는 내년 R&D 예산을 대폭 증액한다는 정책을 발표했다. 올해 예산 편성 과정에서 R&D 관련 예산을 크게 삭감하면서 과학기술계의 반발을 산 것을 의식한 것이다. 더구나 지난 2월 KAIST 졸업식에서는 R&D 예산 삭감에 항의하던 졸업생의 입을 틀어막고 끌고 나간 일까지 있었는데 서둘러 달래는 모습이다. 한동훈 위원장 역시 7일 대전 유성구 유세에서 R&D 예산 전폭 지원을 공약했다.
의료계와 대화를 하겠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윤석열 대통령이 담화를 통해 "2000명 증원은 변함없다"는 내용을 발표했지만 정작 국민의힘은 증원 숫자에 구애받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윤 대통령이 전공의와 대화를 실시한 것 역시 가뜩이나 성난 의료계를 달래기 위함이다.
이밖에 국민의힘은 직장 내 괴롭힘이 적용되지 않는 소규모 사업장 감독과 허위 채용 광고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인턴 채용 계약서 작성 의무화 등 근로조건을 개선하겠다는 공약도 함께 내놓았다.
민주당도 취업단계별 지원으로 청년층 지원 대책
더불어민주당은 취업 단계별 지원 정책으로 2030 세대 표심 잡기에 나섰다.
구직활동지원금을 최저임금 40% 수준으로 법정화하고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료를 지원하겠다는 내용과 함께 중소기업 재직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재개도 약속했다.
이와 함께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가 삭감한 R&D 예산에 대해 국민의힘을 맹비난하고 나섰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사전투표를 대전 KAIST에서 한 것 역시 과학기술계 마음을 적극적으로 잡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했다.
또 더불어민주당은 청년층에게 민감한 물가 등 민생 이슈에 대해서도 정부와 현 여권에 대한 공격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875원 대파 논란 발언' 역시 더불어민주당으로서는 현 여권이 민생에 둔감한 증거라며 2030 세대들의 표심을 잡으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