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 “李, 당의 구심점”···21대 국회·尹 혹평

秋 “이 대표는 당의 구심점”···초선지지 자신 秋, 21대 국회·尹 정부에 잇달아 쓴소리

2024-04-19     임희택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지난12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추미애 당선인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임희택 기자]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당선자가 1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표 연임을 긍정했다. 22대 국회의장을 노리는 추 당선자가 이재명 대표에게 손을 내민 것으로 풀이된다.

추 당선자는 22대 국회 최다선(6선) 당선자로 4년 만에 국회로 돌아온다. 22대 국회 최다선 당선자는 ▲추미애(하남갑) ▲조정식(시흥을, 이상 민주당) ▲주호영(수성갑) ▲조경태(사하을, 이상 국민의힘) 총 4명이다. 국회의장은 원내 다수당에서 최다선자 중 후보를 내고 국회에서 선출하는 것이 관행이다.

秋 “이 대표는 당의 구심점”···초선지지 자신

추 당선자는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민주당이) 균형감을 놓치고 검찰이 하는 말에 경도되어 이재명 당대표의 체포동의안에 20명 넘는 의원들이 찬성표를 던졌지 않았냐”며 “검찰 독재라고, 검찰 쿠데타가 일어나고, 법치를 파괴한다고 계속 지적하고 있는데 (체포동의안에) 동의를 해준 의원들은 이해가 잘 안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을 “당이 구심점이 없다면 이렇게 황당한 의원들의 생각도 있을 수 있구나”라며 “당의 구심점이 절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은 2차례 있었으며 2차 표결은 민주당내 ‘반란표’가 발생, 가결된 바 있다.

이 대표의 연임에 대해서는 “본인의 결심에 달려 있다”며 “(당의) 구심점은 늘 유력 대권 후보였고 이 대표가 사법적인 ‘괴롭힘’을 당하면서 선거 지휘도 굉장히 힘들게 돌파를 해냈다”고 말했다.

그는 “‘혁신의회’ 1당으로 신임을 받은 민주당에서 이 대표의 여러 가지 좋은 생각들이 입법으로 반영되기 위해서는 이 대표의 제대로 된 역할이 발휘되야 한다”며 “(22대 국회에서는) 민주당이 민생에 많은 점수를 따야 하고 이 대표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당내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추 당선자는 “여러 분들이 (국회의장직을) 희망하신다는 얘기를 들었지만 21대 국회가 지지자들로부터 미흡하다 부족했다 불신을 받고 있는 가운데 함께하셨던 분들이기 때문에 (22대 국회에) 새로 들어가는 분들은 또 지지자와 같은 그런 목소리를 갖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초선 당선자들이 본인을 지지할 것이라는 자신감을 비춘 것으로 풀이된다. 22대 국회는 초선 의원이 135명(지역구 93명, 비례대표 42명)이다.

그는 “민의를 잘 수렴하고 민치(民治)에 부합하는 의회를 이끌 의장이 필요하다라는 게 저의 소신”이라며 “핵심 의제를 잘 꿰뚫고 갈등요소를 파악해 문제점을 해소하는 대안을 제안하는 생산적 의회가 되려면 초당적인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저는 30년간의 정치 경험·정직함·설득력을 (국민들께) 보여드렸다”며 “저는 ‘혁신의장’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추 당선자는 18일 유튜브채널 ‘오마이TV’에 출연하여 “다음 국회에서는 (저의) 경험과 정직함 없이는 실기(失機)할 것”이라며 국회의장 도전 의사를 밝힌 바 있다.

秋, 21대 국회·尹 정부에 잇달아 쓴소리

21대 국회에 대해 추 당선자는 “여러 개혁 과제들에 대한 소임이 있었다”며 “국민과 소통하거나 또는 대안을 제시해서 돌파하지 못하고 마지막에 원래의 법안의 핵심과 다른 것을 내놓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협치를 강조하면서 상당히 (국회)의장으로서 기대에 어긋나는 측면이 많이 있었다”며 “민의를 잘 수렴하고 민치에 부합하는 그런 의회를 이끌 의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1대 국회에서는 박병석·김진표 의장이 전·후반기 국회의장을 맡았다.

그는 “19대 국회가 '식물국회'라고 질타를 받았지만 법안 처리율이 45%라고 확인되고 그전 국회에서도 50% 이상의 법안 처리율을 보였다”며 “21대 국회 법안 처리율은 36.6%로 굉장히 낮은데 (이는) 아마 법사위가 잘 못했기 때문”이라고 민주당의 법사위원장 확보 필요성을 긍정했다.

현 정부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말씀하신 담화를 보면 국정기조를 바꿀 조짐은 없다”며 “‘국민들이 몰라서 섭섭하다’ 할 게 아니고 경제·민생을 폭망 시키고 민주주의를 파탄낸 데 대해서 통찰을 하시고 정말 석고대죄 자세를 가져야”한다고 맹공했다. 이는 지난 16일 윤석열 대통령의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가리키는 것으로 대국민 공개 사과가 없었음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박영선 전 장관의 입각설에 대해서는 “협치는 기득권끼리 조용히 나눠 먹고 잘 지내자 그런 협치가 아니다”라며 “협치를 거부하는 쪽에서 야당 인사를 빼가서 협치의 포장만 만들려고 하는 것을 박영선 전 의원께서 선명히 지적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