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에브리리서치 여론조사] 국힘 당대표, 한동훈 38.5% 원희룡 16.7%, 나경원 12.7%, 윤상현 3.5%

국힘 지지층, 한동훈 61.2%, 원희룡 19.7%, 나경원 11.8%, 윤상현 3.5% 최고위원 선호도, 국힘 지지층 장동혁 17.2%, 김재원 11.6%, 김민전 11.1%, 인요한 11.0%, 박정훈 9.2%, 박용찬 4.1% 당 대표 4자대결 선호도, 초반판세 여론조사서 ‘어대한’ 구도 여전해 에브리리서치 “채상병 특검법 반발 심하지 않고, 네거티브 별무효과"

2024-06-28     김진호 정치에디터
[그림=에브리리서치 제공]

[폴리뉴스 김진호 정치에디터]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 초반판세 여론조사에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선호하는 응답이  여야 지지층 전체에서는 38.5%,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61%로 가장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전당대회 지도부 경선은 당원투표 80%에 반대정당 역선택 방지장치를 한 여론조사 20% 비중으로 치러진다.

28일 폴리뉴스 뉴스피릿 에브리뉴스 의뢰로 25~27일 3일간 여론조사 전문기관 주)에브리리서치에서 전국의 18세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여야 지지층을 아우른 응답자 전체를 보면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38.5%, '친윤계 후보'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16.7%, 5선 나경원 의원 12.7%, 5선 윤상현 의원은 7.5%였다(적절한 후보없음 19.8%, 잘 모름 4.9%).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밝힌 응답자(428명, 이하 가중값)에선 한동훈 61.2%, 원희룡 19.7%, 나경원 11.8%, 윤상현 3.5%로 한 전 비대위원장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적절한 후보없음 2.3%, 잘모름 1.5%).

[그림=에브리리서치 제공]

역선택방지를 위해 야당 지지층을 뺀 응답자(국민의힘+지지정당없음+잘모름)를 대상으로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적합도' 응답은 한동훈 56.1%, 원희룡 17.3%, 나경원 12.3%, 윤상현 3.4%였다. (적절한 후보없음 6.5%, 잘모름 3.8%)

역선택방지를 위해 야당 지지층을 뺀 응답자를 대상으로 지역별·연령별로 교차분석한 결과도 큰 차이는 없었다.

지역별로 보면 국민의힘의 텃밭으로 꼽히는 대구 경북에서 한동훈 70.0%, 원희룡 12.5%, 나경원 10.0%, 윤상현 2.5%였고, 부산·울산·경남지역에서 한동훈 61.9%, 원희룡 15.9%, 나경원12.7%, 윤상현 1.6%였다. 이밖에 서울 경기 등 수도권은 물론이고 광주·전남·전북, 대전·세종·충북·충남지역 등에서도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의 우세가 두드러졌다.

연령별로 보면 18세 이상 20대에서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45.9%로, 50%에 못 미쳤을 뿐 나머지 30대에서 70대 이상까지 모두 50%p를 넘는 지지율을 보였다.

윤석열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한 지지층에서도 한동훈 61.7%, 원희룡 21.0%, 나경원 11.7%, 윤상현 1.6%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국정 부정평가층의 경우 한동훈 42.1%, 나경원 18.2%, 원희룡 8.3%, 윤상현 6.6%로 응답률 2·3위가 자리를 바꿨다.

최고위원 선호도, 국힘 지지층 장동혁 17.2%, 김재원 11.6%, 김민전 11.1%, 인요한 11.0%, 박정훈 9.2%, 박용찬 4.1%

[그림=에브리리서치 제공]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출마한 최고위원 후보들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여야 지지층 전체를 아우른 응답자 전체에서는 김민전 9.3%, 장동혁 9.0%, 인요한 8.6%, 김재원 8.4%, 박정훈 4.8%, 박용찬 3.9%, 김세의 3.6%, 함운경 1.9%, 김형대 1.5%, 이상규 1.3%였고, ‘적절한 후보 없다’가 37.3%, 잘모르겠다는 응답이 10.4%였다.

국민의힘 지지층을 대상으로 한 최고위원 선호도 조사에서 장동혁 17.2%, 김재원 11.6%, 김민전 11.1%, 인요한 11.0%, 박정훈 9.2%, 박용찬 4.1%, 김세의 3.5%, 김형대 2.0%, 이상규 1.4%, 함운경 0.9%의 순이었다. 

[그림=에브리리서치 제공]

역선택방지를 위해 야당 지지층을 뺀 응답자(국민의힘+지지정당없음+잘모름)에서는 장동혁 15.0%, 인요한 10.7%, 김민전 10.3%, 김재원 10.0%, 박정훈 8.1%, 박용찬 4.0%, 김세의 3.2%, 김형대 1.8%, 함운경 1.5%, 이상규 1.3%의 순이었다. (적절한 후보 없음 21.9%, 잘모름 12.3%)

다만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가 27일 최고위원 후보 신청을 한 김세의 가로세로연구소 대표와 김재원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을 후보에서 배제(컷오프)했다가 28일 김재원 전 최고위원의 이의신청을 받아들이기로 하면서 김재원 후보는 전당대회 최고위원 선거 본선에 참여할 수 있게 됐고, 김세의 후보만 최종 컷오프됐다. 

김종원 에브리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결과를 보면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당대표 출마 기자회견에서 채상병 특검법 수용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인 데 대해 ‘친윤’지지층의 반발이 예상보다 크지 않고, 원희룡 나경원 윤상현 세 후보가 한 전 비대위원장에 대해 쏟아부은 네거티브 공격이 초반판세에서 '어대한'구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폴리뉴스·뉴스피릿·에브리뉴스의 의뢰로 지난 25~27일 3일간 여론조사전문기관 (주)에브리리서치에서 실시했으며, 전국 유권자(만 18세 이상 남녀)를 무작위 RDD번호 생성(7700개 국번별 0000~9999까지 무작위 생성)을 통해 추출된 30만582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표본1천명을 뽑아 조사를 진행했다. 응답률은 1.0%,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 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