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정점식 거취 논란? 말이 안돼…인사권 행사 못하면 이준석보다 못한 상황”
尹 ‘대표가 알아서 하세요'…“속마음 달랐을 것” 김문수‧이진숙 인사…“그쯤 되면 막 하자는 것” 제3자 추천 채상병 특검법? “개혁신당에서 추진 할 수도”
[폴리뉴스 고영미 기자]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1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정점식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거취 논란에 대해 “말이 안 되는 것”이라며 “한동훈 대표가 인사권마저 행사 못 하면 그건 이준석보다 못 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김문수 노사정위 위원장의 노동부 장관 지명과 이진숙 방통위원장에 대해서는 윤 대통령의 사람에 대한 인식이 업데이트가 안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尹, 앞과 뒤에서 하는 말 달라”
이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대표의 독대에 대해 “이제 국민들도 아실 거다. 꼭 당해본 사람은 아니더라도 원래 앞에서 하신 말씀과 뒤에서 하시는 말씀이 많이 다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앞에서는 ‘100년 만에 한 번 나올 당대표’라고 하고, 뒤에서는 ‘이 XX, 저 XX 한다’고 언급하며 “그렇기 때문에 항상 윤 대통령이 니 마음대로 하세요. 또는 웃으면서 얘기한다. 그 말은 뒤에서 뭔가 꾸민다는 뜻”이라 말했다.
이 의원은 윤 대통령이 한 대표와의 독대 자리에서 ‘당대표가 당 인선은 알아서 하는 문제’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서도 “텍스트로 옮기면 그렇지 ‘당대표가 알아서 하십시오’ 이렇게 한 게 아니라 '당대표가 하여간 알아서 해보십시오' 뭐, 이런 거였을 것”이라 전했다.
그는 윤 대통령의 독대 이유에 대해 “그냥 만났다. 나는 노력했다, 이런 걸 한번 보여주려는 게 아닌가 싶은데 (정점식 정책위의장 거취) 애초에 이게 말이 안 되는 논란”이라며 “정점식 의원도 당에 도는 생리를 알 텐데 사실 지금 ‘정점식 물러나라 말아’가 논란되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상황”이라 지적했다.
이어 “사표라는 게 없다. 예전에 제가 당대표 된 다음에 김도읍 의원을 정책위 의장으로 임명했는데 그전에 누가 있었는지 기억도 안 난다”라며 “내가 당대표 됐는데 정 의원은 신경 쓰지 않고 저같이 그냥 김 의원을 임명하겠다 하면 끝나는 것”이라 말했다.
“정점식 유임 논란? 논란이 돼서도 안 돼”
이 의원은 “그런데 지금 이상하게 논란을 만들어버렸다. 지금도 한 대표가 그냥 누구 임명할지만 밝히면 되는 거다. 그런데 ‘제발 물러나주십시오. 물러나시면 제가 임명’ 이런 거 자체가 지금 뭔가 꼬인 것”이라 전했다.
이 의원은 “제가 이번에 예측이 틀렸던 게 (윤 대통령이 한 대표에게 당선 축하) 난 보내고 말고 할 것도 없이 첫날부터 이걸 몽니를 부렸더라”라며 “이번에도 역시나 너무 윤 대통령을 과소평가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 대표가 참교육 당하고 있다라고 했는데 이건 참교육 당하느냐 아니면 참교육하느냐의 일전”이라며 “제가 한 대표한테 만약에 돈 받고 컨설팅 하는 위치라면 무조건 그냥 임명하고 치울 것”이라 말했다.
그는 “정 의원을 빼느냐는 절대 논란이 돼서도 안 된다. 그냥 나는 정책위 의장으로 누구를 임명하겠습니다 끝”이라며 한 대표가 강대강 국면을 꺼려하는 것 아니냐는 질의에 대해서는 “강대강이 아니라 저러고 우물쭈물하면서 있으니까 강대강 대치처럼 되는 것”이라 지적했다.
이 의원은 “원래 대표가, 신임 대표가 정책위 의장 임명하는 게 어떻게 대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나”라고 말했다.
이어 “누구 임명할 건지 얘기하면 일시적으로 당내에서 정책위의장, 신임과 안 나가려고 하는 사람이 둘이 있을 수 있다”라며 “시간 흐르면 흐를수록 정 의원이 모양새가 빠지기 때문에 그냥 알아서 물러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예전에 한 대표가 지인에게 이준석이는 왜 저렇게 대통령이랑 잘 못 지내는지 모르겠다. 나라면 이렇게 할 텐데라고 했다는 얘기를 전해 들었다”라며 “이제 깨달았을 텐데 그냥 하고 싶은 대로 하면 된다. 원래 대표가 그러라고 뽑아준 자리”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런 식으로 인사권마저도 행사 못 하면 그건 이준석보다 못 한 상황”이라 지적했다.
“尹, 정점식에게 어떤 시그널 줬을 것”
이 의원은 최근 상황이 ‘100년 만에 나올 XX’시즌 2 같냐는 질의에 대해 “대통령이 앞뒤 다른 말씀하시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저한테 우크라이나 가라고 한 다음에 나중에 왜 갔냐 그렇게 한 것처럼. 대통령이 단기적 기억이 잘 안 돼서 그런 건지 모르겠지만 A라는 얘기를 한다면 그다음 주쯤 돼서 갑자기 A 다시를 얘기하는 게 굉장히 많았다”라고 전했다.
이어 “정 의원 건 관련해 만약에 대통령이 대표가 마음대로 하는 거지라고 했으면 그건 개탄스러운 일”이라며 “정 의원이 대통령의 의사에 반해서 저러고 있었을까. 아니다. 분명히 어떤 시그널을 줬을 것이다. 그런데 몰랐던 것처럼 제3자처럼 이렇게 얘기하시는 거는 웃긴 것”이라 말했다.
“尹, 사람에 대한 평가 업데이트 안 되는 듯”
이 의원은 김문수 노사정위 위원장의 노동부 장관 지명에 대해 “지금 2024년인데 윤 대통령의 사람에 대한 인식은 제가 봤을 때 한 90년대 말쯤에 그 사람이 어떻게 살았느냐를 갖고 평가하는 것 같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시계가 멈춰 있는 느낌. 김문수 지명자는 정말 검소하고 그리고 예전에 노동운동도 하셨지만 최근에는 그거랑은 거리가 먼 행보만 하고 계신다”라며 “그전에 김 지명자의 행보를 갖고 임명했다면 이해 가는데 최근은 그거랑 다르다”라고 전했다.
그는 “이런 일들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 원희룡 전 장관을 전당대회에서 본인의 대표 선수로 내보낸 것도 원 지사 2000년대 초반, 90년대 후반으로 가면 이런 참신한 젊은 소장파 정치인이 어디 있나”라며 “그런데 요즘은 약간 다르다. 그러니까 사람에 대한 평가가 실시간 업데이트가 안 되시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김문수 후보자 지명에 대해 어차피 야당하고 협치 안 될 것 같으니 강하게 싸우라는 인선 이라는 의견에 대해서는 “그쯤 되면 막 하자는 것”이라며 “아집의 단계로 들어선 건데 이진숙 방통위원장도 90년대로 돌아가 보면 얼마나 멋진 기자였나”라고 말했다.
그는 “여성 출신의 첫 보도본부장 2000년대 초반에 됐고 그리고 또 종군기자로서 굉장히 큰 성과를 냈고 그 뒤로 평가가 업데이트가 안 된 것”이라 말했다.
“이진숙 탄핵? 자칫 역풍 불 수도”
이진숙 방통위원 청문회에 대해 “청문회 지켜본 결과 초장부터 그렇게 빵이랑 무슨 이런 거 갖고 때리지는 않았다”라며 “빵이랑 법카 갖고 막 공격하지 않았던 게 저는 정책 질의도 해보고 선입견 없이 한번 해보자 해서 다 질의하고 했던 건데 끝나고 보니까 정책 질의에 대한 답변이 너무 미흡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그래서 저는 이분이 사실 원 포인트 릴리프 투수. 그러니까 한 타자 상대하는 역할 외에는 고민 안 하신 거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는 “MBC 지배구조에 대해서 이사진 선임 절차까지만 해놓고 본인은 어떻게 하든 상관없다라고 생각하는 것 아닌가”라며 “하지만 민주당이 하는 탄핵 절차에 대해서 탄핵은 누군가의 직무에 대한 걸 가지고 할 수 있는 것”이라 밝혔다.
이 의원은 “일한 지 하루밖에 안 됐는데 만약에 탄핵해버리면 예전 이상민 행안부 장관 같은 경우 몇 달 동안 헌재에서 심사했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성급하게 이진숙 방통위원장 탄핵해버리면 헌법재판소에서 각하 처리 돼 역풍이 불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개혁신당의 탄핵 소추 입장에 대해 “민주당에 있는 과방위원들한테 계속 얘기했어다. 몇 달이고 이상민 장관처럼 직무정지가 돼 있으면 모르는데 헌법재판소에서 3일 만에 각하 때릴 수도 있다”라며 “그러면 이진숙 위원장이 오히려 날개 다는 거다. 민주당은 자꾸 바늘허리에 실 매어 쓰려고 하느냐”라고 말했다.
이어 “탄핵이라는 건 한 일에 대해서 해야 되는데 민주당 의원님들이 이럴 것 같으니까 예방적 탄핵을 하자 그러는 것”이라며 “가장 효율적으로 싸우는 방법은 2인 체제가 잘못됐다고 생각하면 한 판단들에 대해서 가처분 걸면 된다. 결과가 빨리 돌아 나오니까 지금까지 안 하는 거다. 탄핵은 그 당시 시점으로는 무조건 되는 거니까 쓰는 건데 이번 탄핵은 잘못 가면 저는 각하 나올 수 있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대통령이 득 될 일만 했다면 나라가 이 모양 안돼”
이 의원은 현재 최근 상황에 대해 윤 대통령이 한 대표한테 한 말하고 실제 상황이 달랐을 것, 또 하나는 윤 대통령 마음은 한 대표와 잘해보고 싶고 화해하고 싶은데 친윤계의 생각이 대통령 생각과 달랐을 가능성 즉 친윤의 분화라고 본다는 질의에 대해 “후자인 사람들이 심기경호하고 앉아 있는 것”이라며 “저도 계속 매번 얘기했지만 대한민국 국민 전부 대통령이 어떤 성격이신지 얼마나 까다롭고 하신지 다 안다. 전자에 가깝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의원은 윤 대통령이 한 대표와 척을 져 얻는 이득이 무엇이냐는 질의에 대해 “그러니까 집권 3년차에서는 아무 의미 없는 얘기”라며 “대선, 지선 이긴 당 (대표) 쫓아내서 뭐가 득이 되느냐는 아무 관계가 없다. 대통령이 까탈스럽기 때문에 ‘넌 나에게 모욕감을 줬어’ 이거밖에 없는 것”이라 말했다.
그는 “대통령이 만약에 득 될 일만 하셨으면 지금 나라가 이 모양이 아닐 것”이라며 “그거와 관계없이 본인이 내키는 대로 하시니까 이런 거다. 예를 들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임명해서 득 되는 게 뭐가 있겠나. 그냥 하는 것”이라 비판했다.
“제3자 추천 채상병 특검법? 추진 해 볼 수도”
이 의원은 채상병 특검법에 대한 윤 대통령과 한 대표의 입장차이가 큰 상황에서 한 대표 특검안을 민주당이 받아서 발의한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제가 기자들과 기자간담회 하면서 제걸 약간 흘렸다”라며 “천하람 원내대표가 미국에 출장 갔는데 돌아오면 개혁신당에서 한동훈 안 그대로 한번 발의를 해보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게 여의도에 어제부터 회자가 되기 시작했다. 그러니 개혁신당은 이렇게 한다고 그러는데 민주당은 그럴 생각 없냐 그랬더니 ‘우리도 할 수 있지’라는 취지로 답한 걸로 알고 있다”라고 전했다.
그는 “지금 한동훈 안이라고 하는 것이 결국 대법원장 추천을 하고 독소조항을 없앤다는데 독소조항이 정확히 뭔지 모르겠다. 아마 언론 브리핑 얘기하는 것 같은데 그럼 그거 없애고 한번 해보자”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아이디어 자체는 간단하다. 그것이 개혁신당이 추진하는 걸지 아니면 조국혁신당이나 다른 당들과 연합해서 하는 걸지는 모르겠지만 해볼 만하다”라고 말했다.
“한동훈, 능동성 보여줘야”
이 의원은 “한 대표가 보통 말싸움할 때 보면 누가 질문하면 아니, 그러면 이재명은요? 이런 식으로 답하는 피동적인 움직임을 많이 보여줬는데 능동성을 보여야 할 때 전혀 능동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한 대표가 전당대회라는 게 첫 선거였는데 전당대회가 첫 선거인 사람은 특이하다”라며 “이걸 가볍게 하고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굉장히 오판”이라 강조했다.
그는 “국민들은 다 기억하고 있다. 채 상병 특검 본인이 수정해서 받을 것처럼 이야기했다가 지금은 원내대표한테 참교육 당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민심 이기는 힘은 없다. 때문에 한 대표가 옳은 소리를 하는데 국민의힘 의원들이 구시렁댄다. 그러면 그거는 밀고 밟고 지나갈 수 있다”라며 “대선 때 아무리 의원들이 이상한 소리해도 무슨 소리냐, 우리 선거 이겨야 되는데 하면서 그냥 밟고 지나갔다. 그게 대표고 리더의 역할인 거지 무슨 수로 국민의힘 의원들 총의를 모아서 일을 하나. 국민의힘 의원들 총의 모으면 한 발짝도 앞으로 못 간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