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정 협의체’에...한동훈 “의료계 대승적 참여해달라” 이재명 “의사 복귀에 초점 맞춰야”
韓, 정부에 “전공의 소환 등 사법적 대응 신중하게 해달라” 민주당 “대통령 사과·책임자 문책 등 조치 있어야...‘여야정’은 차선책도 아냐” 국힘 “대통령과 한동훈 만찬? 논의된 바 없어”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여야가 9일 의료대란 해결을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관련, 의료계 참여를 호소했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무엇보다 의료계의 대승적 참여를 부탁드린다”며 “(여야의정 협의체는) 야당까지 포함된 협의체임으로 의료계 입장에서 충분한 발언과 논의가 보장된 구조”라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서로 대화의 전제조건을 걸거나 의제를 제한해서 참여가 막혀서도 안 된다”며 “이 협의체 의제는 단 하나다. 국민의 건강이다. 구체적으로 의대정원, 명절의 비상의료대책, 지방의료와 필수의료 대책, 예산 등 실용적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정부를 향해 “건설적인 논의가 진행되도록 정부가 전공의에 대한 소환 등 사법적 대응을 신중하게 해달라는 부탁 말씀도 드린다”며 “지금은 해결해야 할 때이고 방법은 대화뿐”이라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역시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여야의정 협의체는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도록 국민들이 생명의 위협을 겪지 않도록 의사들이 하루빨리 병원에 복귀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정부를 향해 “정부가 위급한 응급실에 대통령실 비서관을 파견한다고 하더니 이번에는 원대 복귀한 군의관들 징계를 논의하겠다고 한다”며 “병원에서 의사를 내쫓은 것도 모자라 군대 군의관들까지 다 내쫓을 심산이니 참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강공으로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졌다. 소통과 타협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며 “정부는 그런데도 한 대표가 말한 여야의정 협의체로 책임을 떠넘기기만 했을 뿐, 지금 현재 어떻게 하겠다는 입장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7개월간 수차례 지적돼온 문제를 정부가 허심탄회하게 인정하고 폭넓게 개방적으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더 이상 치킨게임으로 국민 생명을 위태롭게 하는 그러한 일은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당 조승래 수석대변인도 이날 최고위원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의료계 참여를 강조했다. 그는 “핵심은 의료계가 테이블에 앉는 것”이라며 “의료계가 테이블에 앉지 않으면 어떤 의미가 있을지 고민해봐야 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랑 다를 게 뭐가 있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여당의 진정성 있는 조치들이 있어야 테이블이 구성될 것 같다. 진정성을 보여주기 위해 대통령의 사과, 책임자 문책 등 적절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며 “의료계를 빼고 여야정만으로 하는 협의체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제안 온 바 없고 제안을 들어봐야 판단해야 할 것 같다. 현재로서는 그것은 차선책도 안 되는 것이기 때문에 여야의정 협의체를 만들기 위해 정부의 능력과 실력을 보여달라”라고 말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9일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대표의 예정된 만찬 회동에 대해 “논의된 바 없다”고 밝혔다.
곽규택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이 최고위원들 간 만찬했다는 얘기가 나왔는데 당대표와는 만찬할 계획이 있느냐’는 물음에 이같이 답했다.
전날 윤 대통령이 한 대표를 제외한 일부 최고위원들과 1시간 넘게 만찬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다시 ‘당정갈등’이 부각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