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北 러시아 파병' 긴급안보회의… "국제사회 공동으로 가용수단 총동원 대응"
"국제사회 향한 중대한 안보 위협…필요한 조치 적극적으로 강구할 것" 국정원 “北, 러시아에 특수부대 1만2000명 파병...북한군 이동 시작”
[폴리뉴스 김진호 정치에디터]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설과 관련해 긴급 안보 회의를 주재해 대책을 논의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가안보실, 국방부, 국가정보원 핵심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북한 전투병의 러시아 파병에 따른 긴급 안보 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이번 회의는,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및 우크라이나전 참전에 따른 우리 안보에 대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
회의 참석자들은 “최근 북한군의 러시아 이동 및 러시아에 대한 전쟁 지원 정보를 공유하고, 러북 군사 밀착이 군사 물자의 이동을 넘어 실질적 파병으로까지 이어진 현 상황이 우리나라는 물론 국제사회를 향한 중대한 안보 위협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정부는 이 같은 상황을 좌시하지 않고 국제사회와 공동으로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윤석열 정부는 우방국들과의 공조하에 북한의 러시아 파병 동태를 초기부터 면밀히 추적해 왔으며, 향후에도 관련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며 필요한 조치들을 적극적으로 강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정원 “北, 러시아에 특수부대 1만2000명 파병...북한군 이동 시작”
이날 회의는 북한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을 위해 특수부대 등 1만2000명을 파병키로 했다고 국가정보원이 밝힌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은 북한 지상군의 대규모 러시아 파병소식을 전하면서 “북한군의 이동은 이미 시작됐다”고 전했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북한의 참전가능성만 언급해왔으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러시아 편에 서서 우크라이나와 맞서 싸울 병력 총 1만명가량을 준비 중이라는 정보가 있다"고 밝히면서 우리 정부 역시 공식적으로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을 확인했다.
이처럼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이 현실화함에 따라 우리 정부가 그동안 우크라이나에 지원하지 않던 살상무기 지원 가능성이 거론되는 등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이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