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대통령 사과, 참모진 전면개편·쇄신개각, 김여사 즉시 활동 중단” 촉구

尹-명태균 통화 녹취 공개 뒤 첫 발언 “뭔가 감추고 빼고 더하려다 호미로 막을 일 가래로 막게 될 것”

2024-11-04     김민주 기자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4일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국민께서 걱정하는 부분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께서 솔직하고 소상하게 밝히고 사과를 비롯한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지난달 31일 윤 대통령과 명태균 씨의 통화 녹취를 공개한 뒤 한 대표의 첫 공식 발언이다.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들의 큰 실망은 정부 여당의 큰 위기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려면 솔직하고 과감해져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대표는 “역사를 보면 국민 앞에서는 가감 없는 진실이 언제나 최선이었다. 뭔가 감추고 빼고 더하려고 하다가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게 될 것”이라며 “제게 당내 원로 중진 여러분을 비롯해 많은 분들이 의견을 주셨고 지금이 위기라는 점과 변화와 쇄신이 신속하게 필요하다는 점에 이견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대통령실을 겨냥해 “이번 사안의 경우에는 적어도 지금은 국민들께 법리를 먼저 앞세울 때는 아니다”라며 “국민이 듣고 싶어하는 말은 전혀 다른 것일 것”이라고 했다. 앞서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과 명 씨의 통화 녹취에 대해 “취임 전 당선인 신분 때의 일이니 법적으로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해명한 데 대한 지적으로 보인다.

그러면서 “대통령은 제대로 보좌하지 못한 참모진을 전면적으로 개편하고 쇄신하고 심기일전을 위한 과감한 쇄신개각을 단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김건희 여사에 대해서도 “즉시 대외활동을 중단해야 한다”며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게 예방하기 위해 특별감찰관을 임명하는 절차를 즉시 진행해야 하는 것은 너무 당연하다. 지금 이 상황에서 법에 당연히 하게 돼 있는 특별감찰관 정도를 임명하는데 머뭇거리는 모습 보이면 보수는 공멸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국정기조의 전환이 더 늦지 않게 필요하다”며 “민심이 매섭게 돌아서고 있다. 독단적인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의 반감이 커졌다는 점을 아프지만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국정기조의 내용과 방식이 독단적으로 보인 부분이 있었는지 점검하고 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정치브로커 관련 사안에 대한 엄정하고 신속한 수사를 당 차원에서 당당하고 강력하게 촉구한다”고도 했다. 

한 대표는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김 여사를 향한 사과 요구와 대통령실 인적 쇄신 등을 대통령실에 미리 요구했는지’에 대해 “그런 취지를 여러 차례 전달했다”고 했다. 

‘사과와 쇄신 정도로는 국민 감정을 되돌릴 수 없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야 한다”며 “중요한 건 이 상황을 풀어나가는 거다. 국민의힘은 문제를 풀고 민생에 필요한 조치들을 해나가는 게 필요하다는 말씀을 오늘 충분히 드렸다”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1심 선고가 예정된 오는 15일 전에 대통령실의 조치가 나와야 한다고 보는지 묻는 질문엔 “정치가 데드라인을 말할 만한 이야기는 아니다. 저희는 최선을 다하는 것”이라며 “지금 민심의 상황과 이걸 해결해야 할, 민심에 부합하는 정치가 필요하다. 저희는 시급한 상황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제가 소통한 많은 국민의힘 지지자, 당원들, 중진 의원들, 원로들의 생각도 저와 다르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날 엄정한 수사를 촉구했는데, 윤 대통령이나 김건희 여사 본인에 대한 수사도 필요하다고 보는지’ 묻는 물음에 “제가 말한 정도로 (갈음하겠다)”고만 답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김건희 특검법에 대해 독소조항을 빼고 여야 합의로 추진하자고 제안한 것’에 대해서도 “오늘 제가 여러 가지 말씀을 드렸다. 그 정도 선으로 말씀드리겠다”고만 말했다. 

이날 윤 대통령이 시정연설에 불참하는 것에 대해선 “아쉽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한 대표는 정부·요당에 대한 국민 여론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윤 대통령이 시정연설이 직접 나와야 한다는 의견을 대통령실에 전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