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포럼] 주제발표_김필수 네이버클라우드 AI/Tech 상무 “AI 통해 전쟁 억제될 수도...K-AI원팀 만들자”
「K-AI의 미래, 국회가 뛴다; 범국민적 협력으로 K-AI 시대 연다」 포럼 - 폴리뉴스, 상생과통일포럼, 코리아AI포럼, AI·모빌리티 신기술전략 조찬포럼 공동주최 “기술, 전략 자산화해야...AI 기술 자산화는 가장 큰 미션” “‘소버린 AI’ 구축 중요...사회·정치적 환경 이해하는 AI 보유해야”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김필수 네이버클라우드 AI/Tech 상무는 12일 ‘K-AI’포럼에서 “기존에는 핵으로 전쟁을 억제했다면 앞으로는 어쩌면 AI 통해 전쟁을 억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K-AI의 미래, 국회가 뛴다’ 포럼에서 ‘생성형 AI시대: 글로벌 AI 전략자산화 K-AI 전략’을 주제로 한 발표를 맡아 이같이 말했다. 이날 포럼은 폴리뉴스 상생과통일포럼, 코리아AI포럼, AI·모빌리티 신기술 전략 조찬포럼 등이 공동 주최했다.
김 상무는 “우리나라가 가진 많은 기술을 전략 자산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이 분야에 우리 과기부가 앞장서 나가고 있다. AI 자산화는 현재 국가의 가장 큰 미션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소버린 AI’ 구축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특정 국가의 AI를 개발·운영하고 산업을 확산할 수 있는 능력과 AI의 자체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소버린 AI를 만들어야 한다”며 “그래야 국가의 문화나 가치관, 사회·정치적 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AI를 보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실제로 AI를 하다 보면 컴퓨팅 인프라·데이터센터·클라우드 이 3가지가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이게 그 나라 AI 주권의 가장 큰 핵심이 되는 자원 요소”라고 했다.
김 상무는 소버린 AI로 어떻게 만들 수 있는가, 어디에 쓸 수 있는가에 대해 얘기를 이어나갔다.
김 상무는 “특히 우리나라는 제조와 관련된 산업 노하우가 풍부하다”며 “다음 세대까지 이런 산업 노하우와 기록들이 계속 전이돼야 되고, 계속 전달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AI나 클라우드를 통해서 이런 기록물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게끔 해야 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특히 유럽에선 데이터와 관련된 많은 분야를 AI화하려고 하고 있지만, 지금 유럽 쪽은 이런 것들을 잘 못하는 형편이다. 그래서 저희(네이버) 쪽에 연락을 하고 있다”며 “이런 사정을 보면 더욱 AI 주권이 절실하다. 비즈니스·연구개발·제조이 굉장히 중요하고, 이 생태계를 한국이 형성할 수 있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AI의 주권이라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상무는 교육과 공공, 국방, 법률 전략 사업 쪽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는 “최근에 네이버 역시 저희가 가지고 있는 초거대 AI 중심으로 교육이라든가 공공, 국방 쪽에 굉장히 많은 것들을 하고 있다”면서 “그 이유는 저희가 자국 문화 가치관의 이해, 이런 것들을 좀 해보기 위해서다”라고 덧붙였다.
김 상무는 “각국 정부는 자국의 지금 현재 초거대 AI 쪽에 굉장히 많이 투자를 하고 있다”고 언급한 뒤 “실제로 프랑스라든가 일본·캐나다·독일·인도·이태리 같은 경우도 자국의 국방 , 공공 그리고 자국의 산업 분야, 특히 우리가 DX(디지털 전환)라고 부르며 변화시켰던 기존 디바이스의 변화에 이어 많은 업종들이 AI나 클라우드를 통해서 변화를 줘야 되고, 이런 쪽에 굉장히 많이 투자를 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소버린 AI의 범위의 중요성과 군비 영역의 전략 자산화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상무는 “전략 자산화 부분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건 에너지이고, 전력 수급이라는 부분은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이 전력 수급을 통해서 에너지를 얼마나 전략 자산화를 할 수 있는지 이 부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상무는 또 “반도체 AI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특히 GPU의 전략 자산화가 중요하다”면서 “학습 데이터 및 서비스 데이터도 데이터 유출 가능성 등 때문에 중요하다. 결국은 이 파운데이션 모델을 공공이라든가 국방, 제조 이런 데서 다양하게 자기만의 특화 모델을 만드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김 상무는 이어 “결국 국가적으로 가장 중요한 건 대규모 GPU 센터로, 양질의 학습 데이터를 확보해야 하는 것”며 “데이터가 결국에는 가장 정확한 정답에 가까운 값을 잘 만들어야 한다. 문제는 이런 데이터들이 계속 살아서 움직이기 때문에 계속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튜닝해야 한다. 그렇게 해서 데이터의 정답률을 좀 더 올리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평가했다.
김 상무는 또 네이버의 해외영업 활동에 대해 “최근에 저희가 중동, 아세안, 유럽 그리고 아프리카, 중남미 여러 나라와 만나고 있다. 많은 해외 나라를 만나 AI를 어떻게 구축할지, 그리고 AI로 어떤 걸 할 건지를 계속 논의하고 있다”면서 “열심히 하다 보니 한두 개 나라가 지금 열리고 있다”고 귀뜸했다.
그러면서 “반도체 기업, 서비스,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스타트업, 대기업 등을 모두 하나의 원팀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잘 구성해야 저희가 해외에 수출할 수 있는 역동적 힘을 가질 수 있다”며 “AI 원팀으로 AI 기술 공급 기업, 활용 기업 등 모든 기업들이 힘을 합쳐 글로벌 리더십을 가질 수 있도록 역량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