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정기국회 안에 채상병 사건 국정조사 착수 할 것”...여야에 국조특위 선임 촉구

“채상병 억울한 죽음의 진상 규명 국민적 요구가 높아 국조 불가피” “국가가 나서서 사건 밝히는 것, 책무이자 고인에 대한 예의”

2024-11-22     안다인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채해병 순직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구성을 양당에 요청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폴리뉴스 안다인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22일 ‘채 상병 사망 사건 및 수사 외압 의혹’에 대해 “국민의 뜻에 따라 이번 정기국회 안에 국정조사 절차에 착수하겠다”며 “여야는 27일까지 국정조사 특위 위원을 선임해달라”고 말했다. 정기국회는 다음 달 10일까지다.

우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억울한 죽음의 진상을 규명하라는 국민적 요구가 높아 국정조사가 불가피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 의장은 “채 해병이 순직한 지 1년 4개월이 지났다. 국방의 의무를 이행하던 청년이 급류 속에서 맨몸으로 호우 실종자를 수색하다 목숨을 잃었다”며 “국가가 나서서 왜 그런 일이 일어났는지를 밝히는 것은 지체할 이유가 없는 마땅한 책무이자 고인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라고 말했다.

우 의장은 “국민 절대 다수가 (채 상병 수사에 대해) 방해와 외압, 은폐 시도가 있었다는 의혹을 가지고 있다”며 “의혹이 커질수록, 의혹을 남겨둘수록 국가 신뢰가 훼손된다. 나라를 믿고 자식을 군에 보내고 나라를 지킨다는 명예와 자긍심으로 군 생활을 하는 국방의 의무에 대한 신뢰가 흔들린다”고 말했다.

이어 우 의장은 “국민의 의혹을 해소하고 국가와 국민 사이의 신뢰 회복을 위해 국회가 세 차례 특검법안을 의결했지만, 대통령의 재의요구권 행사로 실현되지 못했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군 복무 중이던 청년이 목숨을 잃었고 그 일로 여러 국가기관이 직·간접적으로 관련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진상을 규명해 재발 방지 대책을 세우라는 국민의 요구에 국회가 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여당이 국정조사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어떻게 할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세 번이나 발의했고 그동안 국민적 여론이 식지 않았다”며 “국정조사의 선결 조건인 국민 요구와 동의는 이미 충분히 확인됐다. 국회가 국민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 여당도 함께해 주길 바란다”고 답했다.

민주당 의원이었던 우 의장에게 민주당의 검사 탄핵 본회의 표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우 의장은 “저에게 물어볼 일이 없다”며 답변을 피했다.

이어 우 의장은 “여야 원내대표와 국회의장 회의를 지속적으로 열어서 협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찾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