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전 “‘韓사퇴’ 글 고발한다고” vs 韓 “사실관계 확인해 말하라”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 金 “기사 보고 말씀”...韓 “참나” 헛웃음 지어 韓 “어떻게든 흔들어보겠다는 뻔한 의도 말려들 생각 없어”

2024-11-25     김민주 기자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오른쪽 두번째)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당원게시판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한 대표와 친윤계 김민전 최고위원이 공개 석상에서 충돌했다. 

김 최고위원은 25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원게시판 사건과 관련, “의혹이 제기되자 일부 최고위원 등 당직자가 ‘8동훈이 있다’ 이런 얘기를 언론에서 한다”며 “그 자료를 일부 최고위원은 보는데 왜 저희는 못 보는지, 어떻게 그것을 확인했는지, (최고위원인) 저희도 같이 공유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한 대표 이름으로 당원 게시판에 글을 올린 동명이인이 8명이라는 친한계의 해명을 겨냥한 것이다.

김 최고위원은 또 “국민의힘, 당에서 ‘한동훈 대표 사퇴’와 같은 글을 쓰는 사람들을 고발한다 이런 기사가 나왔다. 사실인지 아닌지 모르겠다”면서도 “만약에 고발하신다라고 하면 저한테 무수하게 많이 사퇴하라고 한 문자가 와 있는데, 그 번호들도 고발해달라”고 비꼬았다.

이에 한 대표가 마이크를 켜고 “한 말씀 드리겠다. 발언하실 때 사실관계를 좀 확인하고 말씀하시면 좋겠다. 그런 고발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김 최고위원은 “그런 기사가 났다. 기사를 보고 말씀드린다”고 응수했고, 한 대표가 “무슨 말씀인지 모르겠다”고 맞받아치자, 김 최고위원은 “그런 기사가 났다”고 재차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한 대표는 “참나”라며 헛웃음을 지으며 마이크를 껐다. 

이어 김 최고위원이 친한계 정성국 조직부총장, 신지호 전략기획부총장과 작게 설전을 벌이자 추경호 원내대표가 “비공개 회의 때 얘기하자”며 그만하라는 손짓을 보내자 언쟁이 중단됐다.

친한계 서병수 사무총장이 비공개 전환 직전, 김 최고위원 발언에 대해 “사퇴하라고 해서 (당이) 고발하겠다는 건 금시초문이다”라고 반박했다. 이에 김 최고위원이 “해당 기사가 오보라면 적극적으로 대응해달라”고 하자, 서 사무총장은 “확인해서 조치하겠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나와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대표는 비공개 최고위가 끝난 뒤 취재진 앞에 서서 당원게시판 논란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저는 사실 당에 자해적인 이슈에 대해 일관되게 언급을 자제해왔다. 소위 ‘읽씹 논란’도 그랬고, 총선백서, 여조 비용 수십억, 김대남 등등에 대해선 최대한 말을 자제해왔다. 당에 도움이 안 된다는 생각 때문”이라며 “그런데 그런 자제하는 흐름을 악용해서 어떻게든 없는 이슈를 만들어내려는 흐름이 있어서 오늘 상세하게 말씀 드린다”며 말을 시작했다. 

한 대표는 “익명 당원 게시판 당이 익명으로 글을 쓰라고 열어준 공간이다. 거기선 대통령이든 당대표든 강도 높게 비판할 수 있다”며 “‘대통령 비판한 글, 누가 썼는지 밝혀라, 색출해라’라는 건 자유민주주의 정당에서 할 수 없는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또 “저 정도 글을 못 쓰나, 왕조시대인가”라고 물으며 “당 게시판에 들어가보면 당대표인 저에 대한 원색적인 비판 글이 태반이다. 그거 문제 삼으면 안 되는 거다. 민주주의 국가다”라고 했다. 

그는 “당의 익명 게시판은 대통령과 당대표를 욕하라고 만들어진 것 아닌가”라며 “그걸 익명이라고 했는데 저희가 시스템 오류로 익명성이 어느 정도 깨지게 된 부분에 대해 저희가 죄송하게 생각한다. 오히려 그 부분을 저희가 개선해야 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대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선고 앞두고 당이 다시 퀀텀 점프로 가느냐, 아니냐를 결정하는 골든타임에 지금 이게 전 언론을 뒤덮을 만한 일인가”라며 “최고위에서 보셨지만 어떻게든간에 언론에 나게 하려는 일들이잖아. 언론에 나서 크게 됐다는 게 문제인 거지 문제가 없다”고 재차 반박했다. 

그러면서 “어떻게든 당대표인 저를 흔들어보겠다는 뻔한 의도에 말려들 생각이 없다”며 “저는 이제부터 변화와 쇄신을 실천해야 될 타이밍이라고 생각한다. 그 시간에 제 역할을, 당 대표로서 위임받은 제 임무를 충실하게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