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회의] 尹 탄핵안 상정...가결정족수 6명 부족, 국힘 기다리며 투표 종료 보류

우원식, 8일 0시 48분까지 투표 종료 보류 與, ‘김건희 특검법 재표결’ 끝나고 퇴장...김예지·안철수 남아 김상욱 의원, 다시 돌아왔지만...‘반대’표 던져

2024-12-07     김민주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운데)가 7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투표한 뒤 동료 의원과 인사하며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7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 상정됐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국민의힘 의원들의 추가 투표를 기다리며 이날 표결 종료를 8일 0시 48분까지 보류하기로 했다.

대통령 탄핵안은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인 200명이 찬성해야 통과된다. 오후 7시 기준, 야당 의원들은 전원 참석했지만, 국민의힘 의원들은 108명 중 안철수·김예지·김상욱 의원 등 3명만이 참석했다. 의결정족수에 5명이 부족한 상황이다. 다만 김상욱 의원이 반대표를 던지면서 가결되려면 6명이 더 표결에 참여해야 한다. 

국민의힘은 대통령 탄핵안에 앞서 진행된 ‘김건희 특검법 재표결’에는 참여했다. 김건희 특검법은 재석 300명 중 찬성 198명·반대 102명으로 부결됐다. 재의요구된 법안이 본회의를 다시 통과하려면 재적 의원(300명)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이에 국민의힘이 불참하면 특검법은 그대로 통과돼 국민의힘이 참석해 반대표를 던진 것이다. 이후 국민의힘 의원들은 안철수·김예지 의원을 제외한 106명 의원이 모두 본회의장을 나갔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로텐더홀과 이어진 본회의장 중앙 입구로 나오지 않고 양 옆문으로 빠져나갔다. 로텐더홀에서 대기하던 야당 보좌진들과 취재진을 피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야당 보좌진들이 옆문 입구 쪽으로 달려가 ‘거부하면 공범이다’ ‘내란행위 적극수사’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탄핵하라” “들어가” “부역자” 등을 반복해 외쳤다. 

본회의장 중앙 입구 앞 로텐더홀에 야당 보좌진들과 취재진이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하기 전 대기하고 있다. [사진 김민주 기자]

이후 김상욱 국민의힘 의원이 오후 6시 50분경 본회의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에 로텐더홀에서 대기하던 야당 보좌진들이 환호했고, 김 의원이 표결한 뒤 자리에 착석하자 야당 의원들이 김 의원에게 다가가 악수하며 등을 두드렸다. 그러나 김 의원은 투표한 뒤 본회의장 밖 취재진 앞에서 자신은 탄핵안에 반대표를 던졌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번에는 비록 당론에 따라 탄핵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단 경우에 따라 오늘 부결된다면 다음 탄핵 때까지 대통령께서 국민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조치 제안하지 않으면 다음 탄핵 때는 탄핵에 동의하고 적극적으로 대통령께서 내려오셔야 한다는 의견 피력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투표 종료를 선언하지 않았다. 여당 의원들이 회의장에 돌아올 것을 기다리며 본회의를 열어둔 채 대기하기로 했다.

우 의장은 “얼마 전 비상계엄 사태를 보며 세계가 놀랐다. 이는 정파의 문제가 아니고 대한민국 역사와 민주주의의 문제”라며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모습을 국민이, 세계가 어떻게 보겠나. 역사의 평가가 두렵지 않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투표를 하셔야 한다. 그게 애국자로서, 대한민국 국회의원으로서, 국민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의무”라며 “꼭 들어와서 투표해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앞서 윤 대통령 탄핵안은 5일 오전 0시 48분께 본회의에 보고돼 이날 자정 직후인 8일 0시 48분까지 표결이 가능하다.

야당은 이날 윤 대통령 탄핵안이 부결되면 다시 제출할 방침이다. 앞서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부결될 경우) 12월 10일 정기 국회 종료되는데 11일 임시 국회를 열어서 탄핵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