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전쟁에 글로벌 자산 요동…금값 '출렁'
[폴리뉴스 김지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전면 관세 시행을 한 달간 유예키로 한 가운데, 글로벌 자산 가격이 요동쳐 관심이 쏠린다.
트럼프 행정부는 3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전명 관세 시행을 한 달간 전격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산 물품에 25%(석유·천연가스 10%), 멕시코 모든 제품에 25%, 중국 제품에 10% 관세를 추가 부과키로 했으나,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전격 유예키로 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도 금명간 통화할 예정으로 알려지면서 대 중국 관세 조치에도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나온다.
다만, 한 달간의 유예 조치가 한시적인 데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역적으로 유럽연합, 산업 부문별로는 반도체, 철강, 석유, 가스 등에 대한 관세 부과 의지를 밝힌 상태라 관세 전쟁의 위기감이 당분간 고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통상 국가인 한국의 수출 전선도 비상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시장의 자산도 요동치고 있다. 관세 발효 하루 전인 3일 캐나다 환율은 2003년 이후 22년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멕시코 페소도 최고 21.2924를 찍으면서 2021년 11월 이후 3년여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상자산도 출렁이면서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들도 급락했다. 비트코인은 지난달 31일 오전 10만5000달러 이후 사흘 연속 약세를 기록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25% 관세 부과가 본격 개시되면, 캐나다 달러 가치가 20년 만에 최저치로 추락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달러 강세를 보이면서 안전자산인 금값도 출렁였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4월 인도분 미국 금 선물 시세는 지난달 31일 기준 트로이온스당 2835달러로 마감했고, 지난달 30일 2800달러선을 돌파한 뒤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값 상승세가 올해도 이어져 연내 금 가격이 3000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CNBC는 “많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장기적인 인플레이션과 불확실성 리스크의 헤지 수단으로 생각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위험자산처럼 거래되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