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몰아치는 ‘명태균 리스크’에 與 ‘비명(태균)계’ 한동훈·유승민·안철수 손 잡을까
한동훈·유승민·안철수, '尹 탄핵 찬성·明 접점 적어' '3인 연대설' 가능성‧효과 두고 정치권 의견 엇갈려 “중도 확장 가능” vs “배신자 프레임 한계”
[폴리뉴스 고영미 기자] 조기대선이 가시화 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 내에서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면서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와의 접점이 상대적으로 적은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유승민 전 의원, 안철수 의원이 최근 비명(태균)계 주자들로 꼽히고 있다.
'한-유-안' 이들의 연대 가능성에 대해 정치권 일각에서는 ‘중도 확장성’으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상대할 수 있다는 주장과 한 전 대표와 유 전 의원에게 씌워진 ‘배신자 프레임’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野 ‘명태균 특검법’으로 오세훈‧홍준표 연일 압박
여권 내 반(反) 명태균 연대론 부상에는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야권의 ‘명태균 리스트’ 공세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명태균 특검법을 발의한 민주당은 오는 27일 국회 본회의 처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명태균 특검법을 두고 ‘보수 궤멸법’이라고 규정하며 야권의 일방 통과 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거부권을 요청한다는 방침이다. 명태균 특검법은 오세훈·홍준표 시장과 이준석 의원 등 범보수진영의 유력 주자들까지 대상으로 삼고 있는데, 날로 더해지는 야권의 공세에 오 시장과 홍 시장은 연일 명 씨와의 연관성을 부인하고 있다.
홍 시장 측근인 정장수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25일 기자회견을 열어 명씨와 법률대리인 등을 허위사실 공표 명예훼손 및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추가 고소했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26일 오전 연합뉴스TV 라이브투데이에 출연해 "명 씨는 우리가 거래를 끊기 전에 만났던 것을 반복적으로 얘기해 일반 국민에게 착시효과를 만들어내고 있다"며 "뭐가 자신에게 유리하고 불리한지 모르고 사람 흠집내기만 반복한다"고 비판했다.
한동훈‧유승민‧안철수 ‘尹 탄핵 찬성‧明 접점 적어’
반면 명 씨와의 접점이 적은 주자들은 ‘명태균 리스크’를 차별화 요소로 적극 활용해 연대설의 가능성을 띄우고 있다. 6선 의원이자 친한계인 조경태 의원은 SBS 라디오에서 “이번 대선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후보는 사법 리스크가 없는 후보, 비상계엄에 자유로울 수 있는 후보, 명태균 리스크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후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유 전 의원은 지난 24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한 전 대표와의 협력 가능성에 대해 “열려 있는 가능성”이라고 밝혔다. 그는 “서로 대화를 할 기회가 있으면 대화해보겠다”며 “나라와 당이 제일 위기에 있으니까 그런 걸 위해 협력할 일이 있는지 (논의하는 건) 추후 열려 있는 가능성”이라고 말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한 전 대표와 안 의원의 연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친한동훈(친한)계인 신지호 전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은 지난 24일 ‘채널A’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안 의원과 한 전 대표에 대해 “유사점이 꽤 있다. 시대교체, 국민통합 이런 건 한 전 대표도 당연히 고민하고 있는 대목”이라고 밝혔다.
안 의원 역시 그간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해왔고 명태균 리스크에서 자유롭고, 중도확장성을 지니고 있단 점에서 한 전 대표, 유 전 의원과 비슷하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앞서 유 전 의원, 한 전 대표, 안 의원은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 입장을 지속적으로 밝혀 왔었다. 한 전 대표는 12·3 비상계엄에 반대하며 국회의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2차 표결 직전 “당론으로서 탄핵에 찬성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안 의원은 탄핵소추안에 찬성표를 던졌고, 유 전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과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헌법대로 책임을 묻고 단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때문에 이들은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 직후 당내 탄핵 반대파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아왔다.
李 상대하기에 적합 vs ‘배신자 프레임’ 한계
정치권 일각에서는 탄핵 반대파인 홍 시장, 김문수 노동부 장관과 비교해 비교적 중도 색채를 지닌 이들이 연대할 경우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상대하기에 적합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당 안팎과 정치권에선 유 전 의원과 한 전 대표에게 씌워진 ‘배신자 프레임’을 당내 경선에서부터 극복 할 수 있어야 하는 만큼 이를 풀어낼 방안이 우선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이에 대해 한 전 대표와 유 전 의원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배신자인건 사실이라며 현재는 각자 나오는 것도 부담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당 일각에서는 이들이 연대까지 해서 나올 경우 당원들의 원성을 견디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와 함께 이 세 사람의 연대가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친한계 관계자는 한 전 대표, 유 전 의원, 안 의원의 목표는 같을 수 있지만 누가 맨 앞에 설 것인지부터가 결정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