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능구·장성철의 직언직썰 4월①][전문] “한덕수와 국민의힘 단일화는 성사도 성공도 어려워”

“국민의힘, 진정한 사죄 없이 대선 모드 전환... 이재명에 대패 예상” “김문수·홍준표·한동훈 ‘확실’... 나경원·안철수 4위 ‘혈투’” “국힘 경선 최종 진출, 김문수-한동훈이냐 홍준표-한동훈이냐” “김문수, 한덕수와 단일화 수용은 역동적 경선 바라는 강성우파 대변” “홍준표, 윤석열과 선긋기로 탄핵찬성표 공략... 경선판 흔들어” “계엄 막은 한동훈이 국힘 후보돼야 국힘의 반성·변화 인정받을 듯”

2025-04-17     서경선 기자

[폴리뉴스 김능구 발행인, 정리 서경선 기자]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와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16일 폴리뉴스 스튜디오에서 가진 '직언직썰'에서 6·3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 경선 판세와 한덕수 출마설을 분석·전망하는 대담을 가졌다.

김능구 대표(왼쪽)와 장성철 소장 [사진=폴리뉴스 이준수PD]

"국민의힘, 진정한 사죄 없이 대선 모드 전환... 이재명에 대패 예상"

▲ 김능구> 오늘부터 양당 대선 후보 등록이 끝나고, 민주당은 곧바로 충청도부터 시작해서 경선을 시작했죠. 전부 다 온라인 투표들이니까. 그리고 국민의힘에서는 11명이 등록했다가 8명이 이른바 1차 경선을 시작하게 되는 건데 어떻습니까? 너무 급박하게 시작하다 보니까 국민들이 알기 전에 경선 레이스가 시작됐어요.

△ 장성철> 그런 것 같아요. 그러니까 저도 매일 평론을 하지만 민주당 오늘부터 투표구나, 그 사실은 지금 대표님이 말씀하셔서 알았어요. 그런데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번에 워낙 정권 교체 여론이 높아서 양당 경선이 의미가 있을까, 좀 그런 생각이 듭니다.

▲ 김능구> 지난주에 갑자기 한덕수 총리 권한대행이 국힘 경선에 나온다는 이야기들이 파다했어요. 그러면서 갑자기 오세훈 서울시장이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거든요. 이게 뭔가 연관돼 있지 않냐, 이러면서 국힘 의원 50분인가가 연판장을 돌리고, 한덕수 총리 지지 선언을 한다고 그랬는데 어제까지 끝난 국힘 경선에는 등록하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봤습니까?

△ 장성철> 한덕수 권한대행이 출마하고 싶기도 하고 출마하면 안 될 것 같기도 하고 그렇게 생각하는 것 같고요. 일단은 국민의힘에 있는 의원들은 한덕수 권한대행이 나갔으면 좋겠다, 경쟁력이 있다, 그렇게 생각을 하는 것 같고, 작업도 들어간 것 같아요. 그러니까 펜앤마이크라든지 공정이라든지 이런 데서의 여론조사를 보면 보수 후보 중에서는 한덕수 권한대행이 1등으로 나오기 시작을 했어요. 그 여론조사가 지금 나오기 시작했어요. 이게 한덕수를 띄우기 위한 작업인지, 아니면 실제 여론이 그런지는 다른 여론조사들도 살펴봐야 될 것 같은데 상대적으로 한덕수 권한대행의 지지율이 높게 나오니까 김문수 전 장관의 지지율이 좀 떨어졌고, 오세훈 시장이 안 나오다 보니까 한동훈 전 대표의 지지율이 좀 올라가서 한덕수 권한대행을 빼놓고는 김문수, 한동훈. 현재는 그 싸움으로 여론조사에서는 나타나고 있습니다.

▲ 김능구> 한덕수 권한대행의 출마설이 나오면서 뭐가 역사에서 소환됐냐 하면 국힘 쪽에서 희망 사항이지만 노무현, 정몽준 후보 단일화 언급을 많이 하더라고요. 노무현 후보가 이른바 국민 경선을 통해서 민주당 후보가 됐잖아요. 파란을 일으켰죠. 2%에 불과하던 후보가 국민 경선을 통해서 여당의 후보가 됐습니다. 그리고 무소속이었던 정몽준 후보와 단일화를 이루었는데 그래서 국힘의 후보가 누가 되더라도 한덕수가 무소속으로 나왔을 때 이것이 후보 단일화를 통해서··· 당시에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가 거의 계속 1위를 마크하고 있었잖아요. 역전하는 드라마가 쓰였어요. 그래서 그걸 희망 사항으로 자꾸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그래서 이 비교가 가당키나 한 소리냐, 이런 비판도 많았거든요.

△ 장성철> 가당치 않죠.

▲ 김능구> 그 이야기 들어보셨죠?

△ 장성철> 들어봤는데 김대중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선포 안 했거든요. 탄핵 당한 것도 아니거든요. 그냥 약간의 가족들, 자식들의 비리가 있어서.

▲ 김능구> 그때 홍3 게이트다, 뭐 이랬었죠.

△ 장성철> 마지막에 국민적인 비판을 받았지만 IMF 극복도 하고.

▲ 김능구> 노벨 평화상도 받았잖아요.

△ 장성철> 벤처기업 육성을 통해서 대한민국 미래 먹거리를 창출했다는 그런 평가를 받은 상황이었거든요. 그런데 지금 윤석열 정권은 국민에게 버림받았고 파면 당한 정권이란 말이에요. 그 정권하고, 그 정권을 배출한 당하고 한덕수 총리 같은 경우에는 그 정권에서 2인자 역할을 2년 6개월 동안 했잖아요. 비상계엄과 탄핵에 책임을 져야 될 사람이지, 이분이 대한민국 미래를 담보할 수 있다? 책임져야 한다? 이렇게 논리를 전개하는 것은 상당히 무리가 있어서 비상계엄과 탄핵 때문에 예전의 노무현, 정몽준 단일화, 이 시너지를 나타내기는 어렵고 오히려 국민적인 비판을 더 받지 않을까. "너희들은 뭐 하니, 도대체? 윤석열 대통령 제대로 견제하지도 못해서 집권 여당에 끌려갔고, 한덕수 권한대행,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할 때 총리로서 제대로 막았어야지 그러지도 못하고. 그런데 무슨 정치하려고 그래?" 이런 비판이 더 강하게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 김능구> 한덕수 이야기는 이어서 다시 하기로 하고요. 지금 제기한 부분. 국민의힘이 배출한 대통령이 계엄을 일으키고 파면됐습니다. 그러면 파면으로 인해서 60일 조기 대선이 이루어지게 됐는데 국힘에서는 이 문제부터 먼저 정리를 하고 그다음 어떤 결정을 해야 되는 게 맞는 것 같아요. 뭐냐 하면 계엄과 탄핵에 대해서 본인들 책임이 어느 정도인지, 이게 정말 누구 말대로 폐족이 돼서 당의 간판을 내려야 될 부분인지, 아니면 국민들한테 사과와 용서를 빌고 다시 무언가를 새롭게 재건해 나가야 될 건지. 그런 연후에 그러면 이번 조기 대선에서는 문을 닫았으면 후보를 낼 수도 없는 거고, 사과 용서를 빌었으면 석고대죄를 한다는 건데 석고대죄 후에 대통령 후보 내는 게 과연 맞는 건지, 이 부분부터 먼저 본인들이 정리를 하고 그다음 대선으로 나가야 되는데 지금 그렇지를 못하고 있는 거죠.

이번 TV 토론이 시작될 거잖아요. TV 토론에서 아무리 자기들이 여러 가지로 바꾸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국민들이 듣고 싶고 묻고 싶은 것은 바로 그 부분일 겁니다. 여덟 분이 일단 시작을 하는 건데 이 여덟 분한테 어느 정도 그런 시간이 주어질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나온 후보들한테 폴리뉴스에서는 다 그렇게 물어보려고 그래요. 도대체 이 부분에서 국민의힘은 어떤 책임을 어떻게 지려고 하느냐, 그랬을 때 지금 대선 후보로 다들 나섰는데 이 부분이 온당하다고 보느냐, 이것부터 먼저 통과가 돼야 된다고 보거든요. 지금 여덟 분이니까 TV 토론 방식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는 모르겠어요. 그런데 이 부분에 대해서 지금 나온 메시지로 보자면 정말 제대로 국민들의 마음을 꿰뚫고 있구나 하는 후보는 없는 것 같아요.

△ 장성철> 없죠. 윤석열 대통령 비판도 제대로 못하고, 오히려 윤석열 대통령을 옹호하거나 방어하는 목소리가 더 크잖아요. 그러면서 하는 말이 뭐예요? '이재명 나빠요'잖아요. 알파와 오메가가 '이재명 나빠요, 뽑으면 안 돼요. 이재명을 막기 위해서 출마했습니다.' 이거예요. 대표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비상계엄 선포하고, 탄핵당한 정권이었으면 국민들께 사죄하고 용서 구하는 게 우선인데 그런 것은 또 싹 묻어둬요. 그러면서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번 대선은 이재명 심판 선거다, 프레임 전환하려고 하잖아요. 그런데 그 프레임 전환이 과연 되겠느냐, 너희들은 비상계엄 선포하고 탄핵당한 그 정권인데 용서부터 구해야 되는 거 아니냐. 그러한 국민적인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그런 생각이 듭니다.

▲ 김능구> 이런 말하면 뭐 하지만,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 당선될 가능성은 거의 100%다, 뭐 이런 이야기를 하고, 경선에서 득표율은 저는 90%다, 소장님은 88%다.

△ 장성철> 저는 88%.

▲ 김능구> 그래서 이런 말 하기는 좀 뭐하지만 이재명 대통령이 되면 사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을 만든 1등 공신이다, 이렇게 봅니다.

△ 장성철> 선거대책위원장이에요, 지금도.

▲ 김능구> 예를 들면 임기 단축 개헌을 하랬더니만, 그나마 대통령으로서 국민들한테 보답하는 길이라고 우리가 늘상 주창했는데 그걸 하기는커녕 비상계엄이라는 정말 듣보잡 같은 걸, 박물관에 있는 칼을 꺼내 들어서 전 세계와 우리 국민을 얼마나 놀라게 했습니까? 그런데 그게 냉철하게 본다면 이재명 후보를 살린 겁니다. 이번 조기 대선에서 이재명 사법 리스크는 없습니다. 그동안 그렇게 옥죄여왔던 사법 리스크. 지금도 5개 재판입니까?

△ 장성철> 네.

▲ 김능구> 5개 재판이 벌어지고 있는 겁니다. 진행 중입니다. 그런 5개 재판이 진행 중인 사법 리스크를 이번 조기 대선에서 한 방에 날려준 사람이 윤석열 전 대통령입니다.

△ 장성철> 그러니까 이재명 대표는 고마워해야 된다니까요. 만약에 조기 대선이 아니라 정상적인 대선이 벌어지면 2년 후였잖아요. 그러면 어떠한 재판에서라든지 대법원 확정판결까지 나올 수 있었어요. 그렇다면 이재명 대표가 피선거권 제한돼서 대선 출마 못할 수 있는 건데 그걸 그냥 판을 깔아줬으니 윤석열 대통령이 1등 공신은 맞아요.

▲ 김능구> 설사 다들 무죄가 나올 수도 있겠죠. 5개 다 무죄가 나올 수도 있고, 이번 공직선거법 2심처럼 무죄가 됐잖아요. 무죄가 될 수도 있지만 그 과정에 있어서 계속 재판이 진행 중이고 이런 경우에 당대표 임기도 끝나니까 당대표 임기가 끝난 상태에서 그 재판을 하면서 대선 레이스를 강행한다는 게 상당히 어려웠을 건데 윤석열 전 대통령이 그걸 한 방에 다 해결해 준 겁니다.

그리고 어떻게 말하면 국민의힘이 문을 닫아야 된다고 봐요, 국민한테. 문을 닫고 정말 보수가 재건해야 된다, 예를 들면 우리가 새로운 보수 정당, 이런 걸 다 실패했기 때문에 정말 아름다운 보수의 이름으로 새롭게 나아가서 새로운 대한민국이라는 당명을 걸든지 해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역동적이기 때문에 얼마든지··· 그리고 꼭 당이 아니라 여러 형태로 해서 중도 보수 세력들이 정치 세력화해서 후보를 낼 수 있는 거거든요. 그렇게 됐으면 모르는데 국힘이 지금 저렇게 아무런 그거 없이 금방 이야기한 대로 오로지 반이재명으로 대통령을 하겠다고 나서고 있고, 그게 또 한덕수 대행을 마치 신데렐라로 만들려고 하는 이런 모습이 100% 이재명 대통령 당선을 깔아주는 거죠.

△ 장성철> 그렇게 보여집니다. 이재명 대표가 이번에는 본인이 정말 국민이 용서할 수 없는 그런 실수를 저지르지 않는 한 대통령 되는 건 100%라고 보여지고요. 국민의힘에서 여러 가지 작업, 전략, 프레임 전환, 이런 것들을 하겠지만 통하지 않을 것 같아요, 이번엔 그 기술들이.

[그래픽=연합뉴스]

“김문수·홍준표·한동훈 ‘확실’... 나경원·안철수 4위 ‘혈투’”

“국힘 경선 최종 진출, 김문수-한동훈이냐 홍준표-한동훈이냐”

▲ 김능구> 저희들은 시청하시는 분들에게, 그리고 많은 기다리고 있는 분들한테 서비스를 해야 되니까 국힘 경선을 한번 짚어는 보겠습니다. 좀 전에 말씀드렸지만 국힘 경선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불출마 선언하면서부터 기존의 예상이 약간 바뀌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유승민 전 의원도 바로 드롭해 버렸고, 그건 아마 경선 룰 때문에 그런 거죠?

△ 장성철> 그럼요. 그 룰대로 하면 유승민 후보가 1차 4명 안에 들어갈 수가 없어요. 그러니까 당원 50%, 국민의힘을 지지해야 하거나, 아니면 무당층인 일반 국민 50%. 그리고 지금까지 각종 언론사에서 여론조사 하는 거 보면 그 층에서 유승민 전 대표는 1~2% 지지율밖에 안 나왔거든요. 그러니까 '내가 왜 참여해?‘

▲ 김능구> 국민 전체로 했을 때는 1등도 하고 그랬었는데.

△ 장성철> 1등도 나오죠. 1, 2등을 다투고 있죠. 그러니까 본인으로서는 경선 참여에 의미가 없는 거예요.

▲ 김능구> 오세훈 서울시장은 왜 드롭했을까요?

△ 장성철>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 것 같은데 첫 번째가 한덕수 국무총리 겸 권한대행의 대망론, 차출론, 이것 때문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어요.

▲ 김능구> 의원들이 막 규합되고, 25명, 50명 연판장, 이런 이야기가 다 들렸겠죠?

△ 장성철> 원래 오세훈 시장을 도와주려고 했던 의원들한테 오세훈 시장이 전화를 하는 거예요. "이번에 일요일에 출마 선언하고, 저 좀 도와주십시오." 그랬더니 "아니, 내가 바쁜데요. 나중에 전화할게요.", "좀 만나시죠." 그랬더니 "나 약속 많은데요?" 안 만나고, "저희 캠프에 와서 뭐 좀 맡아주세요.", "그런 거 나 지금 못합니다." 이렇게 빼니까 '왜 그러지? 무슨 일이 벌어졌지?'라고 봤는데 한덕수 차출론이 나오기 시작을 한 거예요. 그래서 권성동 원내대표도 만나고.

▲ 김능구> 명태균은 좀 뛰어넘었잖아요.

△ 장성철> 그렇죠. 그건 상존하는 변수였잖아요. 토지거래허가제랑 명태균 씨는 상존하는 변수였어요.

▲ 김능구> 그것 때문에 조금 힘들어졌지만 일단 출마에는 지장이 없었죠.

△ 장성철> 그렇죠, 그 변수나 약점, 위크 포인트가 있는 걸 알면서도 출마하기 위해서 맨해튼21에서 인테리어 공사 중이었고, 출마하는 날짜까지 다 정해 놓은 거잖아요. 그러면 새로운 변수가 나타난 거라고 봐야 될 거 아니에요. 그게 한덕수다. 그래서 한덕수 권한대행도 만나고, 권성동 원내대표도 만나니까 한덕수 분위기가 쫙 몰려가니까 '이건 뭐지? 내가 출마하더라도 결국에는 1등을 못할 수도 있겠네? 아니면 1등 하더라도 한덕수랑 단일화 협상을 하면 한덕수가 이길 수도 있겠네? 그러면 나는 대선 출마도 못하고 서울시장 자리에서도 조기 퇴진하고, 나는 정치적으로 복귀하기 힘들겠네?' 그런 현실적인 판단이 있지 않았을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잘하신 선택 같아요, 그런 분위기라면. 그리고 현재 룰상 보면 오세훈 시장 같은 경우는 중도층을 견인할 수 있다고 우리가 생각을 한 게 찬탄파의 입장에 좀 섰잖아요. 나중에는 약간 애매모호한 태도는 취했지만. 그런데 현재 룰을 보면 이건 도저히 결선 2명 안에 들어가더라도 이길 수가 없다고 답이 나왔을 것 같아요.

▲ 김능구> 제가 볼 때 오세훈 시장이 그나마 국힘 주자 중에서 합리적 보수, 그렇기 때문에 아마 중도층을 견인해 낼 수 있다, 이런 건데 실제 그게 가상 대결 여론조사에서 안 잡혔어요. 중도층에 오세훈 후보가 만약에 견인력이 있으면 김문수-이재명 가상대결하고 그다음에 오세훈-이재명 가상대결에서는 달랐어야 되거든요. 그런데 그게 똑같았어요, 거의. 큰 차이가 없었어요. 오세훈이면 이긴다, 이게 나와야 되거든. 그런데 그게 없다 보니까 거기에서 그런 포인트도 없는데, 임팩트도 없는데 의원들이 분위기가 바뀐 게··· 저는 이런 이야기 많이 들었거든요. 국힘에서 그래도 뭔가 미래를 생각하는 의원들은 그래도 오세훈으로 가야 되지 않나, 이런 말을 제가 많이 들었어요. 그분들조차가 이제 바뀌기 시작한 거잖아요. 그런 느낌이 오니까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제가 통화는 안 해 봤습니다. 그런가, 생각을 하는데 오세훈 시장이 몇 번째 서울시장을 하고 있는지 압니까?

△ 장성철> 세 번째.

▲ 김능구> 네 번째예요. 처음 두 번 하고, 그때 무상급식 때문에 그만두고, 보궐선거하고, 2020년. 네 번째입니다. 그래서 만약 내년에 하면 5수. 그러니까 이건 대한민국 역사상 없죠. 네 번도 처음인데 다섯 번째 하게 되는데 오세훈 시장의 여러 가지 스케줄로 보면 이번 대선 나가는 게 맞는데 너무 조기 대선 되다 보니까 이 사람도 스텝이 꼬인 겁니다.

△ 장성철> 꼬였어요, 맞아요. 서울시장 2026년 내년에 그만두고, 2027년 대선 딱 1년 동안 준비해서 나가면 됐을 텐데 참 꼬였죠.

▲ 김능구> 그러면 오세훈 시장이 낙마 했을 때 그 지지 세력이 어디로 가느냐, 이게 또 관심거리였어요.

△ 장성철> 찬탄파라 하면 한동훈한테 갈 수밖에 없겠죠.

▲ 김능구> 그렇겠죠? 그래서 조사해 보면 한동훈 후보가 약간 좀 힘 받은 게 보입니다.

△ 장성철> 오늘 거에 좀 떴어요.

장성철 소장은 “한덕수 총리는 계엄과 탄핵에 책임을 져야 될 사람이지 대한민국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 그래서 국민의힘과 단일화는 시너지는커녕 국민적인 비판을 받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국힘 경선 최종 진출, 김문수-한동훈이냐 홍준표-한동훈이냐”

▲ 김능구> 그렇죠? 그런 거고, 그러면서 지금 저희들이 예측하는 4명.

△ 장성철> 누굽니까?

▲ 김능구> 김문수, 한동훈, 홍준표 그다음 나경원인 것 같아.

△ 장성철> 안철수 아니고요? 왜요?

▲ 김능구> 안철수 후보, 지금 후보라고 다들 표현합시다. 안 후보가 사실 오세훈 시장의 낙마 지지를 받아야 되거든요. 받아야 상위권으로 올라오는데 거의 못 받은 것 같아요. 그건 한동훈 후보한테 유의미하게 가고, 그러다 보니까 나경원 의원이 오히려 4명에 들어올 가능성이 높지 않나.

△ 장성철> 국민의힘 지지층 대상으로 하니까 가능성이 좀 더 있다고 보시는 거죠?

▲ 김능구> 그렇죠.

△ 장성철> 그렇죠, 인지도도 높고 또 당대표 선거라든지 원내대표 선거 나가면서 당내에서는 인지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저도 "누가 올라갈 것 같아?" 물어보신다면 나경원 후보가 조금 더 유리하지 않을까. 그런데 안철수 후보도 워낙 인지도가 높잖아요.

▲ 김능구> 인지도야 당연히 높죠.

△ 장성철> 그러니까 비슷할 것 같아요. 그래서 누가 될지는 오리무중.

▲ 김능구> 아마 4명 중에서 제일 관전 포인트는 4위가 누가 될 것이냐, 이게 하나가 될 거고. 그다음에 2, 3위. 예를 들면 그중에서 김문수 후보 1위는 다들 생각하더라고요. 그런데 2, 3위가 한동훈이냐, 홍준표냐. 이게 왜냐하면 그다음이 50%가 없으면 본 경선할 때는 2명으로 가잖아요.

△ 장성철> 맞습니다.

▲ 김능구> 그 양강이 누가 될 것이냐, 그 양강에 한동훈, 김문수. 이 예측이 지금 제일 많고 그다음에 김문수 대신에 홍준표, 홍준표-한동훈, 김문수-홍준표. 이 세 가지 조합 아니겠습니까? 소장님, 어떻게 보십니까?

△ 장성철> 저는 홍준표-한동훈, 이렇게 올라갈 거라고 보여지는데요. 김문수 후보 같은 경우에는 TV 토론하고, 자꾸 대중적인 노출이 강화되면 표가 좀 떨어지지 않을까. 그리고 한동안 대선 후보로서도 상당히 준비를 많이 하셨지만 10년 정도 유튜버 하시고, 전광훈 목사랑 같이 다니시면서 국민의 상식에 맞지 않는 말씀을 좀 많이 하셔서 그런 것들이 다시 검증받고 알려지면 김문수 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좀 낮아지면서 홍준표 후보에게 지지율이 옮겨가지 않을까, 그리고 찬탄파 같은 경우에는 한동훈 후보가 유일한 후보일 거기 때문에 한동훈 후보는 상수로 결선에 가지 않을까라고 생각을 해봤는데 방금 전에 대표님께서 그 여론조사 한 걸 잠깐 읽어주셨잖아요. 최근에 한 거.

▲ 김능구> 최근에 세계일보가 한국갤럽에 요청해서 4월 10~11일에 조사한 겁니다.

△ 장성철> 거기 보면 자칫 잘못하면 김문수, 홍준표, 이 두 사람이 올라갈 수도 있지 않을까.

▲ 김능구> 이거 잠깐 읽어줄까요? 국힘 후보에서는, 국힘 지지층에서는 김문수 후보가 무려 42%. 그다음에 한동훈, 홍준표 후보가 17%, 16%. 그다음에 오세훈 후보가 11%였는데 낙마한 거고요. 그다음에 안철수 후보가 4%, 이렇게 나왔었어요. 나경원 후보는 조사 대상에 안 넣었었고요. 그러니까 우리가 아는 김문수 대세론이 국힘 후보 대세론. 대선 대세론이 아니라 국힘 후보 대세론으로 김문수는 아직까지 꺾이지 않았다, 이렇게 볼 수 있고요. 그런데 경선 흥행이 한덕수 카드가 들어오면서 상당히 빛이 바랬어요. 그렇기 때문에 김문수에 대한 주목도가 팍 떨어져 버린 거죠. 왜냐하면 대통령에 이길 어떤 후보, 대통령으로서의 주목도가 아니라 뭔가 그 전 단계의 구색을 맞추는 것처럼 자기들이 만든 거예요, 딴 사람이 만든 게 아니고.

△ 장성철> 방금 전에 나온 김문수 후보의 메시지가 과연 당 경선을 치르는 데 도움이 될지 한번 판단을 해 봐야 될 것 같은데 "한덕수 나오면 나 단일화하겠어."라고 얘기를 했거든요. 다른 후보들은 "단일화는 무슨 단일화, 개뿔이나, 단일화 없어. 그냥 내가 후보야." 막 이렇게 얘기하잖아요. 홍준표, 한동훈, 이런 분들은. "경선에 참여해. 경선 참여 안 하면 단일화 없어. 나는 그냥 내가 국민의힘 후보야." 이렇게 얘기를 하고 있는데 김문수 후보 같은 경우에는 단일화 하겠다고 했단 말이에요. 그러면 이게 과연 경선 과정 중에 국민의힘 지지층에 어떻게 반영될지, 그것도 주목 포인트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어차피 이거 김문수 해봤자 안 되는 거 아니야? 그냥 한덕수 되는 거 아니야?" 이런 식이 되면 김문수에 대한 지지가 확 떨어질 수도 있겠죠.

김능구 대표는 “(국민의힘이) 계엄과 탄핵에 책임을 지고 석고대죄 후에 대통령 후보 내는 것이 맞는데 그렇지를 못하고 있다. 그런 국민의 마음을 꿰뚫고 있는 후보도 없다.”라고 말했다.

“김문수, 한덕수와 단일화 수용은 역동적 경선 바라는 강성우파 대변”

▲ 김능구> 그 부분에 있어서 저는 조금 생각이 다른 게 뭐냐 하면 김문수 후보가 왜 그 말을 했을까, 지금 국힘 후보 경선에 나온 사람들은 홍준표, 한동훈, 안철수처럼 "한덕수, 하려면 경선 나와. 나와서 붙자. 안 나오면 단일화 없다." 이게 정상적인 이야기거든요. 그런데 1위를 달리는 김문수 후보, 누가 보더라도 강경 세력을 대변하고 있는 그런 김문수 후보가 "한덕수 나오면 단일화해."라고 이야기했어요. 왜일까요?

△ 장성철> 기본적으로 원래 그런 성향인 것 같았고, 꼭 내가 돼야 되느냐, 나도 그냥 어쩌다 보니까 지지율 나와서 대선 출마까지 해봤지, 내가 이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정치적인 행보나 메시지를 낸 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대선 후보가 되겠다는 권력 의지가 약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들고, 어쨌든 국무회의 하면서 한덕수 권한대행과 많은 얘기도 나눠봤을 거고, 결국엔 내가 뭐 되는 것보다는 국민의힘이나 보수 우파 진영이 선거에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사람이 나가는 게 맞지 않겠냐. 우리 따로 나가고, 한덕수 따로 나가면 이거는 필패 아니냐, 우리가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을 1%라도 올리려면 결국에는 지금 여론조사상 그리고 통상전문가, 주미대사 해서 미국의 여러 인맥도 넓은 한덕수를 우리 바운더리 안에 넣어야 대선 승리 가능성이 좀 높아지는 거 아니야? 그거 단일화 요구하면 내가 받지 뭐, 이렇게 생각한 것이 아닌가.

▲ 김능구> 그러니까 개인의 당선보다는 보수 우파의 대선 승리를 자기는 바란다, 개인이 아니다, 그런 부분에서 홍준표, 한동훈, 이 사람하고 차별화시키는 거죠. 그래서 오히려 국힘 후보, 국힘 경선에서 당선 가능성을 오히려 더 강화시키고 있다.

△ 장성철> 플러스 요인이다?

▲ 김능구> 플러스 요인이다. 그걸 읽고 있다는 거하고, 두 번째는 금방 이야기한 대로 보수 우파의 당선을 위해서 자기는 뭐든지 할 수 있다, 그 메시지잖아요. 그런데 이게 현실적으로 국힘의 의원들이 이미 그렇게 판단을 내린 거죠. 제가 듣기로는, 언론 보도에는 안 나왔지만 권성동은 말했죠, 한덕수 총무의 대선 출마에 대해서 긍정적인 그게 나왔지만 권영세 비대위원장까지 그런 입장이라는 것이 그 이야기고, 쌍권총이 그 부분들에 대해서 50명의 연판장 발표를 만류했다고 그러지만 어쨌든 그 입장에는 같은 입장이었다고 들었어요. 지금 본인이 아니라 보수 우파가 좌파와의 한판 승부에서 모든 힘을 결집시켜 내야 되는데 그럴 때는 한덕수가 지금 제일 낫다는 판단이거든요.

윤석열 전 대통령도 검찰총장 이후에 본래 3지대 후보로서 단일화를 꾀했다가 전격 입당을 통했잖아요. 그런데 지금은 그때하고 상황이 다른 거죠. 한덕수 총리가 들어오는 건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거죠. 권한대행으로서 시급하게 통상 교섭을 해야 되는데 그걸 놔두고 들어오고, 그리고 여러 가지 당내 정돈도 안 된 상태에서 침략꾼처럼 들어오고 이러니까 그게 아니라고 최종 판단이 됐어요. 사실 지난 주말에만 하더라도 제가 여러 루트에서 월요일에 사퇴하고 화요일에 등록한다고 들었거든요, 한덕수 총리가. 그런데 그게 바뀐 겁니다.

△ 장성철> 출마한다고 보세요, 한덕수 대행이?

▲ 김능구> 그 성패가 뭐냐 하면 트럼프 관세 전쟁에서의 교섭, 이 부분이 어느 정도 성과를 내느냐에 따라서 그걸 가지고 나올 것 같아, 본인이.

△ 장성철> 그렇게 봐야 되겠네요.

▲ 김능구> 한덕수를 잘 아는 분들은 출마하지 않을 거다. 우리나라에 있잖아요, 고건 총리 그리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이런 분들은 여론조사에서 1위 나오기도 했던 분들이지만 결국 마지막에는 다 접었잖아요. 출마하려고 하는 듯이 행보를 하다가 접은 경우도 있었지만 그게 관료 공무원 출신의 한계라고 이야기하는데 지금 한덕수 총리는 어쨌든 자기의 마지막 사명을 이야기하고 있어요. 마지막 사명이 조기 대선을 치르는 건지, 트럼프 2.0 관세 전쟁을 일단락시키는 건지, 뭔지는 지금 불투명합니다. 그런데 그 부분을 여러 가지 압박을 받고 있고, 자기 말로 어쨌든 간에 충분히 종식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 안 나간다, 이 말을 안 하고 있어요. 안 하고 있는 게 아니라 여지를 보고 있다.

△ 장성철> 그게 트럼프의 협상 결과를 보고?

▲ 김능구> 이준석 대표가 자기는 단일화 안 한다, 하면서도 나중에 후보 정해지면 협의는 한다 그러거든요. 그래서 '협의는 한다'가 방점인 건데 이 사람은 불출마를 공언 안 하는 게 방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지는 남겨져 있다, 거기에서 아마 전방위 압박과 함께 성과 속에서 개선장군처럼 등장할 수 있다.

△ 장성철> 보통 50여 일 남으면 새로운 정권이 출범하잖아요. 그러면 관리형 권한대행이 미국에서 협상을 하자고 하더라도 "저는 이제 권한이 없습니다. 새로운 정권 들어서면 새로운 대통령하고, 새로운 정권하고 협상하세요." 이렇게 미는 게 맞는 것 같은데 본인이 마지막 사명이라고 생각하고 있고,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하고, 최상목 경제부총리를 미국에 보내서 협상하라고 하잖아요. 그런 거 보면 대표님 말씀하신 것처럼 관세 문제, 무역 문제, 통상 문제에서 어느 정도 국민들이 "우와, 저 정도까지 협상 이끌어냈어? 잘했네."라고 하는 분위기가 나오면 출마할 수 있고, 거기서 협상이 잘 안되면 출마 안 할 수 있고, 이렇게 보시는 거네요?

▲ 김능구> 출마하든 불출마하든 민주주의에서 자유잖아요. 그런데 제발 이번에 관세 전쟁이 성과를 갖고, 개선장군처럼 출마를 하기 위해서 알래스카 가스를 협상 카드로 써서 우리는 그걸 하겠다, 이건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겁니다.

△ 장성철> 왜요?

▲ 김능구> 그게 미국의 최대 정유회사 그리고 영국의 세계적인 회사도 다 두 손 든 겁니다. 알래스카 꽁꽁 언 땅에 가스가 나온다 한들 그걸 갖다가 송유관을 통해서 그걸 해야 되는데 그 부분도 지금 다 내려앉고, 기후 변화 때문에. 그걸 장담할 수가 아예 없대요. 그러니까 본래 자원 투자라는 게 위험하죠. 아주 벤처처럼 낮은 확률 가지고 하면 대박 터지는 거지만 이건 그것도 아니고요. 우리 국부를 들어 먹는 빤히 보이는 거거든요. 그래서 트럼프는 1기 때부터 그거 하려고 했는데 아무도 안 나서요. 세계 어느 기업도 안 나섰어요. 자기 그게 숙원 사업인 거야. 그거 꽂으려고 지금···

△ 장성철> 그러면 "너희들 알래스카 가스전 개발하는 데 참여하면 너희들 관세는 그냥 한 10%만 받을게, 아니면 우리 자유무역협정 맺고 있으니까 그냥 그대로 할게." 이래도 하지 말아라?

▲ 김능구> 그렇죠, 트럼프는 뭐든지 다 해줄 수 있어요. 그리고 관세 전쟁은··· 트럼프 2.0 시대, 우리가 포럼을 했거든요, 지난주에. 제가 거기서 개회사에도 이야기했지만 절대로 트럼프의 관세 전쟁은 트럼프가 이길 수 없다. 그리고 내년 11월 미국 중간선거에서 벌써 그게 드러날 것이고, 그 전에라도 안 된다. 왜냐, 트럼프가 25%를 발표한 상호 관세를 하고 나서 미국의 9,600억이 주식에서 날아갔어요. 가장 피해는 누가 보느냐, 미국 경제입니다. 미국 국민들이에요. 그러니까 이건 할 수가 없어요. 자기를 지지했던 유권자들과 기업들이 난리를 치는데 어떻게 해요? 그러니까 그 조정을 지금 하고 있고, 그리고 중국이 지금 끄떡없어요. 지금 닦달하는 건, 초조한 건 미국이라고 그러잖아요. 중국은 아무 소리도 없고, 네 마음대로 해봐. 그래서 트럼프가 골대를 계속 옮기고 있잖아요. 몇 프로 했다가 몇 프로 했다가, 유예했다가 어쨌다가. 그걸 가지고서 알래스카 가스, 우리가 그걸 책임지는, 그건 정말 해서는 안 될 건데 자꾸 그 이야기가 나오는 거 보면 그게 지금 제일 불안합니다. 딴 건 몰라도 그것만은 약속을 하면 안 된다는 거죠. 어쨌든 간에 한덕수 출마 가능성은 지금은 반반인 것 같아요.

△ 장성철> 결론은 어떻게 보세요? 다른 변수 다 오케이. 다 생각해 보고, 판단해 보고, 결론적으로는 어떻게 한다?

▲ 김능구> 출마한다.

△ 장성철> 출마한다? 저는 출마 못한다.

▲ 김능구> 왜냐하면 무언가라도 포기를 해야 되는데, 포기를 하고 그다음에 그 행보를 해야 되는 겁니다. 국힘은 이번 조기 대선에서 빠져야 돼요. 그런데 안 빠지고 들어가고, 정치인들도 그다음을 위해서 뭐라도 유의미한 승부를 하려면 무슨 수라도 써야 되거든요. 거기에 아마 한덕수 총리가 희생양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저는 반반인데, 현재는. 하나를 하자면 출마한다고 이야기한 거고, 51% 출마한다, 49% 안 한다, 이런 건데.

△ 장성철> 51% 못한다, 49% 출마한다. 저는 반대입니다. 결과 보시죠.

17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1차 경선 토론회 미디어데이' 행사가 열렸다. 대선 경선 후보 8명(안철수 의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나경원 의원, 양향자 전 의원,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홍준표, 윤석열과 선긋기로 탄핵찬성표 공략... 경선판 흔들어”

“계엄 막은 한동훈이 국힘 후보돼야 국힘의 반성·변화 인정받을 듯”

▲ 김능구> 그런데 양강은 홍준표, 한동훈이 될 것 같다고 그랬죠? 저는 김문수, 한동훈이 될 것 같다고 이야기했고. 그러면 한동훈은 양강에 들어가는 거잖아요. 왜 그럴까요?

△ 장성철> 명확하게 찬탄 후보가 한동훈밖에 없어요. 국민의힘 지지층이 많은 분들의 상당수가 "아이고, 윤석열 억울해라. 윤석열 우리가 지켰어야 되는데. 우리가 윤석열 편들어주자." 그렇게 해서 반탄파에게 표를 많이 줄 가능성은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저같이 보수 쪽이지만 윤석열은 탄핵이 됐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래서 합리적이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얘기를 하고, 주장을 하고, 비상계엄을 막겠다고 하는 데 공헌을 세운 한동훈 같은 사람이 차기에 국민의힘 지도자가 돼야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해서 '그러면 난 한동훈한테 표를 줄래.'라고 생각할 수 있겠죠. 그러니까 찬탄파의 그 표심을 가져갈 수 있는 유일한 후보가 한동훈이다. 그래서 한동훈 후보가 올라가지 않을까. 그런데 반탄파의 표는 반으로 갈릴지, 세 등분으로 갈릴지 모르잖아요. 그러니까 한동훈이 2차 경선에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런데 그러면서도 아까 지지율 보니까 김문수, 홍준표 이렇게 올라갈 수도 있지 않을까, 그렇게도 생각이 들고요. 캠페인을 어떻게 하느냐 봐야 되겠네요. 나경원 후보가 계속 "나는 한동훈 잡으려고 나왔어!" 그러면서 드럼통 들어가서 사진 찍고 막 이러고 있잖아요.

▲ 김능구> 그래서 나경원 후보 때문에 한동훈 후보가 올라갈 가능성이 좀 높겠죠.

△ 장성철> 그렇게 보시는구나.

▲ 김능구> 네, 어쨌든 간에 홍준표, 한동훈의 양강, 2위 싸움이 치열하리라 봅니다.

△ 장성철> 김문수는 그냥 상수로 보시네요?

▲ 김능구> 네, 김문수는 상수로 보고. 왜냐하면 아까 좀 전에 이야기한 대로 한덕수 총리 나오면 단일화 한다, 이런 부분들이 정확하게 읽고 있다는 거죠. 예를 들면 보수층 중 60~70%에 달하는 탄핵 반대 세력. 우리가 봤을 때는 강경 우파, 뭐 극우라는 표현은 삼갔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들이 많아서 제가 강경 우파라고 표현하는데 강경 우파의 정서를 담고 있다. 왜냐하면 강경 우파 사람이 홍준표가 돼야 된다, 김문수가 돼야 된다, 한덕수가 돼야 된다, 여기에 환장한 사람들이 아니잖아요. 그 사람들이 그만큼 그런 로열티를 갖고 있는 것도 아니고, 다만 그 사람들이 갖고 있는 건 이재명한테 넘어가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러려면 강경 우파가 이번 대선에 유의미한 게임이 돼야 되거든요. 그러려면 이런저런 역동적인 경선이 필요하고, 그래서 김문수 후보가 나오면 단일화한다는 메시지가 딱 맞는 메시지라는 거죠.

그 부분에 아예 너무 선을 그어버린 홍준표, 한동훈. 한동훈은 선을 그을 수 있어요. 어차피 그 세력들하고 지지 세력은 자기는 다르니까. 그렇지만 홍준표 후보는 그 부분에 약간 신중했어야 됐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드는데 홍준표 후보가 윤석열 전 대통령하고는 선을 긋기 시작하더라고요. 그래서 아마 그것도 강경 우파가 김문수에 대한 그게 너무 세다. 그러니까 그걸 나는 뭐라 해서는 안 되겠구나. 그래서 배신자 한동훈에 걸쳐 있는 부분들을 쭉 밀어 넣고, 배신자로. 그 부분을 가져가야 되겠다. 홍준표 후보는 한동훈과의 표 나누기 게임에 들어간 것 같아요. 그래서 그 부분이 2명으로 좁혀질 때는 관전 포인트 아닌가 싶고요.

그 두 분 중 누가 될 것이냐, 여기에서 제 생각으로는 그나마 국힘이 한동훈 후보가 돼야 나중에 단일화가 되고 어쩌고 하더라도 뭔가 국민들한테 사과하고, 미래 나아가겠다는 메시지를 지금 지도부는 하고 있거든요. 그런데 그 진정성이 안 느껴지잖아요. 그런데 한동훈 후보가 만약에 국힘의 후보가 된다면 그 메시지를 할 거거든요. 사과하고, 우리 다시 한번 기회를 달라, 그러면서 미래로 나아가겠습니다. 이런 메시지를 할 겁니다, 아마. 그렇다면 한동훈 후보의 여러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보수에서는 '다시 한번 지켜보겠다.'가 나올 수 있죠. 그런데 김문수 후보가 되고,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가 된다면 본인이 생각했던 역동적인 경선 모습으로 보일지 모르겠지만 그 한계는 명확하다. 아까 말한 합리적 보수 세력은 어디 갈 데가 없어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투표율이 이번에 역대 대선에서 가장 낮을 것이다, 이렇게 봐요.

△ 장성철> 당원 투표율이요?

▲ 김능구> 아니, 본선 투표율. 대선.

△ 장성철> 그럴 것 같아요.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Kim Neung-gu and Jang Seong-cheol's Straight Talk, April ①] [Full Text] "Unification of the People's Power Party with Han Deok-soo will be difficult to achieve or succeed"

"People's Power Party, without a true apology, transitioning to presidential election mode... expected to be crushed by Lee Jae-myung"

"Kim Moon-soo, Hong Joon-pyo, and Han Dong-hoon 'certain'... Na Kyung-won and Ahn Cheol-soo in 4th place 'bloody battle'"

"Final advancement in the People's Power Party primary, will it be Kim Moon-soo and Han Dong-hoon or Hong Joon-pyo and Han Dong-hoon?"

"Kim Moon-soo, accepting unification with Han Deok-soo, represents the hard-right wing that wants a dynamic primary"

"Hong Joon-pyo, drawing a line with Yoon Seok-yeol, targeting votes in favor of impeachment... shaking up the primary"

"Han Dong-hoon, who blocked martial law, must become the People's Power Party candidate for the People's Power Party's reflection and change to be recognized"

[Polynews Kim Neung-gu, publisher, edited by Seo Kyung-sun] On the 16th, Polynews CEO Kim Neung-gu and Public Opinion Center Director Jang Seong-cheol In the 'Direct Talk' held at Polynews Studio, we had a discussion to analyze and forecast the People Power Party primary situation and Han Deok-soo's candidacy ahead of the June 3 presidential election.

"People Power Party shifts to presidential election mode without a true apology... Expected to be crushed by Lee Jae-myung"

▲ Kim Neung-gu> Starting today, the registration of presidential candidates for both parties has ended, and the Democratic Party started the primary right away, starting in Chungcheong Province. Since it's all online voting. And 11 people registered for the People Power Party, and 8 people are starting the so-called first primary. What do you think? Because it started so quickly, the primary race started before the public knew about it.

△ Jang Seong-cheol> I think so. So I also comment every day, but I found out about the Democratic Party's voting starting today because the leader just mentioned it. But to tell you the conclusion first, I wonder if the two-party primary will be meaningful because public opinion for a change of government is so high this time.

▲ Kim Neung-gu> Last week, there was a lot of talk that Acting Prime Minister Han Duck-soo would run in the People's Power primary. Then, Seoul Mayor Oh Se-hoon suddenly declared that he would not run for president. Some people said that this was somehow related, and about 50 People's Power lawmakers circulated a petition declaring their support for Prime Minister Han Duck-soo, but they did not register for the People's Power primary that ended yesterday. What do you think? △ Jang Seong-cheol> Acting Prime Minister Han Duck-soo wants to run, but he also seems to think that he should not run. For now, lawmakers in the People's Power Party seem to think that Acting Prime Minister Han Duck-soo would like to run, that he is competitive, and they seem to have put in the work. So, if you look at opinion polls from places like Pen & Mike and Fair Trade, Acting Prime Minister Han Duck-soo is starting to come out first among conservative candidates. Those opinion polls are just coming out. Whether this is an attempt to promote Han Deok-soo or whether public opinion is actually like this, we need to look at other opinion polls. Since the approval rating for Acting President Han Deok-soo is relatively high, the approval rating for former Minister Kim Moon-soo has dropped somewhat, and since Mayor Oh Se-hoon is not running, the approval rating for former Representative Han Dong-hoon has risen somewhat, so apart from Acting President Han Deok-soo, there are only Kim Moon-soo and Han Dong-hoon. Currently, that fight is showing up in opinion polls.

▲ Kim Neung-gu > When the rumor of Acting President Han Deok-soo's candidacy came out, what was recalled from history was that the People's Power Party often mentioned the unification of candidates Roh Moo-hyun and Chung Mong-joon, although it was a wishful thinking. Candidate Roh Moo-hyun became the Democratic Party candidate through the so-called national primary. It caused quite a stir. A candidate with only 2% of the votes became the ruling party's candidate through the national primary. And he unified with independent candidate Chung Mong-joon, so no matter who the People Power Party candidate is, when Han Deok-soo ran as an independent, through unification of candidates... At the time, Lee Hoi-chang, the Grand National Party candidate, was almost always in first place. A drama of a comeback was written. So they kept talking about it as a wishful thinking. So there was a lot of criticism saying, "Is this comparison even possible?"

△ Jang Seong-cheol> It's not possible.

▲ Kim Neung-gu> You've heard that story, right? △ Jang Seong-cheol> I heard it, but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didn't declare martial law. He wasn't even impeached. It was just because of some corruption among his family members and children.

▲ Kim Neung-gu> At that time, it was called the Hong 3 Gate or something like that.

△ Jang Seong-cheol> He received national criticism in the end, but he overcame the IMF.

▲ Kim Neung-gu> He even received the Nobel Peace Prize. △ Jang Seong-cheol> It was a situation where he was evaluated as having created future food for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fostering venture companies. However, the current Yoon Seok-yeol administration has been abandoned by the people and has been impeached. That administration, the party that produced that administration, and Prime Minister Han Deok-soo were the number two in that administration for 2 years and 6 months. He should be responsible for martial law and impeachment. Can he secure the future of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he be responsible? It is quite unreasonable to develop logic like this, so it will be difficult to show the synergy of the unification of Roh Moo-hyun and Chung Mong-joon due to martial law and impeachment, and instead, won’t he receive more criticism from the public. “What on earth are you doing? You were dragged into the ruling party because you couldn’t properly check President Yoon Seok-yeol. Acting President Han Deok-soo should have properly blocked President Yoon Seok-yeol as Prime Minister when he declared martial law, but you couldn’t. So what are you trying to do with politics?” I think criticism like this will come out even stronger.

▲ Kim Neung-gu> Let’s talk about Han Deok-soo again. The part you just raised. The president who was elected by the People Power Party declared martial law and was impeached. Then, the impeachment led to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60 days later, so I think the People Power Party should first sort out this issue and then make a decision. That is, to what extent are they responsible for martial law and impeachment? Is this really something where the party should be taken down after being destroyed as someone said, or should they apologize and ask for forgiveness from the people and rebuild something new? After that, if they closed their doors in this early presidential election, they wouldn’t be able to field a candidate, and if they apologized and asked for forgiveness, it would mean they would have committed a grave sin, but is it really right to field a presidential candidate after committing a grave sin? They should sort out this issue first and then run for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but they are not doing so now. The TV debate is about to begin. No matter how much they try to change things in the TV debate, that is basically what the people want to hear and ask about. The eight people are going to start, but I don’t know how much time they will be given, but anyway, Polynews is going to ask the candidates that same question. What kind of responsibility does the People Power Party intend to take in this regard? Do you think this is appropriate since all the candidates are running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I think this needs to be passed first. Since there are only eight people, I don’t know how the TV debate will proceed. However, judging from the messages that have come out, there doesn’t seem to be a candidate who has really penetrated the hearts of the people. △ Jang Seong-cheol> No. They can’t even criticize President Yoon Seok-yeol properly, and instead, the voices that defend or support him are louder. And what are they saying? “Lee Jae-myung is bad.” Alpha and Omega are “Lee Jae-myung is bad, you shouldn’t vote for him. I ran to block Lee Jae-myung.” As the leader said, if the government had declared martial law and been impeached, they would have apologized to the people and asked for forgiveness, but they are burying all that. Meanwhile, floor leader Kwon Seong-dong is trying to change the frame by saying that this presidential election is a trial election for Lee Jae-myung. But will that frame change really happen? You are the regime that declared martial law and was impeached, so shouldn’t you be asking for forgiveness first? I think we can’t be free from such public criticism.

▲ Kim Neung-goo> What can I say when I say this? The possibility that Democratic Party candidate Lee Jae-myung will be elected president is almost 100%. He says things like that. In the primary, I got 90% of the votes, and you got 88%.

△ Jang Seong-cheol> I got 88%.

▲ Kim Neung-goo> So, it’s a bit strange to say this, but if Lee Jae-myung becomes president, former President Yoon Seok-yeol is actually the number one contributor to making Lee Jae-myung president.

△ Jang Seong-cheol> He’s the election campaign committee chairman, even now.

▲ Kim Neung-gu> For example, when they asked for a constitutional amendment to shorten the term, we always advocated that it was the best way for the president to repay the people, but instead of doing that, they brought out martial law, something so unheard of, a sword from a museum, and surprised the world and our people. But if you look at it objectively, it saved candidate Lee Jae-myung. There is no judicial risk for Lee Jae-myung in this early presidential election. The judicial risk that has been so tight all this time. Are there still five trials?

△ Jang Seong-cheol> Yes.

▲ Kim Neung-gu> Five trials are taking place. They are ongoing. The person who blew away the judicial risk of those five trials in one go in this early presidential election is former President Yoon Seok-yeol.

△ Jang Seong-cheol> So, Representative Lee Jae-myung should be grateful. If there had been a normal presidential election instead of an early election, it would have been two years later. Then, any trial or even a final ruling by the Supreme Court could have been made. In that case, Representative Lee Jae-myung may not be able to run for president because his right to be elected has been restricted, but since he set the stage for it, President Yoon Seok-yeol is the greatest contributor.

▲ Kim Neung-gu > Even if they are all found not guilty, they may all be found not guilty. All five may be found not guilty, and like the second trial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they were found not guilty. They may be found not guilty, but in the process, the trial is still ongoing, and in this case, the party leader's term is over, so it would have been quite difficult to force the presidential race while the trial is underway when the party leader's term is over, but former President Yoon Seok-yeol solved it all at once.

And in a way, I think the People Power Party should close its doors to the people. It should close its doors and really rebuild the conservative party. For example, since we have failed to create a new conservative party, we can move forward with a beautiful conservative name and put up a party name called the New Republic of Korea, and since the people of our country are dynamic, we can do whatever we want... And not necessarily through a party, but through various forms, moderate conservative forces can become a political force and nominate candidates. I don't know if it would have been like that, but the People's Power Party is doing it right now without any of that.

As I said, he is only running for president with the intention of being anti-Lee Jae-myung, and he is also trying to make Han Deok-soo, who is suspected of aiding and abetting internal strife, into a Cinderella. This is 100% setting up Lee Jae-myung's election as president.

△ Jang Seong-cheol> That's how it looks. It seems that Lee Jae-myung will 100% become president this time unless he makes a mistake that the people cannot forgive. The People's Power Party will do various tasks, strategies, frame changes, etc., but I don't think those techniques will work this time.

"Kim Moon-soo, Hong Joon-pyo, Han Dong-hoon 'certain'... Na Kyung-won, Ahn Cheol-soo 4th place 'blood fight'"

"The final advancement in the People's Power primary, Kim Moon-soo-Han Dong-hoon or Hong Joon-pyo-Han Dong-hoon?"

▲ Kim Neung-goo> We have to provide a service to the viewers and the many people who are waiting, so let's take a look at the People's Power primary. As I mentioned earlier, the People's Power primary began to change slightly from the original predictions after Seoul Mayor Oh Se-hoon declared that he would not run. And former lawmaker Yoo Seung-min immediately dropped out. Is that because of the primary rules?

△ Jang Seong-cheol> Yes. If we follow those rules, candidate Yoo Seung-min cannot be in the first four. So he has to support 50% of party members and the People's Power Party, or 50% of the general public who are non-partisan. And if you look at the opinion polls conducted by various media outlets so far, former representative Yoo Seung-min only received 1-2% support among those groups. So, 'Why am I participating?'

▲ Kim Neung-goo> When the entire population was polled, he came in first place.

△ Jang Seong-cheol> He came in first place. He is competing for first and second place. So for him, there is no point in participating in the primary.

▲ Kim Neung-goo> Why did Seoul Mayor Oh Se-hoon drop out? △ Jang Seong-cheol> There seem to be several reasons, but I think the first is the theory of Prime Minister and Acting President Han Deok-soo’s great ambition and the theory of his being drafted.

▲ Kim Neung-gu> The lawmakers were just gathering, and you must have heard stories of 25 or 50 people signing a petition, right?

△ Jang Seong-cheol> Mayor Oh Se-hoon called the lawmakers who were originally going to help him. He said, “I’m declaring my candidacy on Sunday, and please help me.” He said, “No, I’m busy. I’ll call you later.” “Let’s meet.” He said, “I have a lot of appointments.” He didn’t meet them, and said, “Come to our camp and take care of something.” “I can’t do that right now.” When he left them like that, I thought, “Why is that happening? What happened?” and the theory of Han Deok-soo’s being drafted started to come out. That’s why he met with floor leader Kwon Seong-dong.

▲ Kim Neung-gu> He surpassed Myeong Tae-gyun a bit.

△ Jang Seong-cheol> Yes. That was a constant variable. The land transaction permit system and Mr. Myeong Tae-gyun were constant variables.

▲ Kim Neung-gu> It was a little difficult because of that, but it didn’t hinder his candidacy.

△ Jang Seong-cheol> Yes, even though he knew that there were variables, weaknesses, and weak points, he was in the middle of interior construction at Manhattan 21 in order to run, and he had even set the date for his candidacy. So, shouldn’t we see that as a new variable appearing? That’s Han Deok-soo. So, when he met with Acting Chairman Han Deok-soo and floor leader Kwon Seong-dong, the atmosphere around Han Deok-soo was completely concentrated, so he thought, ‘What is this? Even if I run, I might not end up in first place? Or, even if I do come in first, if I negotiate a unification with Han Deok-soo, Han Deok-soo might win? Then, I won’t be able to run for president, I’ll have to step down from my position as mayor of Seoul early, and it’ll be difficult for me to return to politics?’ I think he must have made that kind of realistic judgment. But I think he made a good choice, if that’s the atmosphere. And looking at the current rules, in the case of Mayor Oh Se-hoon, we thought he could attract the middle class, so we took the position of the proponents. Later, we took a somewhat ambiguous stance. However, looking at the current rules, I think the answer would have been that he could not win even if he made it to the final two.

▲ Kim Neung-gu > In my view, Mayor Oh Se-hoon is the most reasonable conservative among the People's Power candidates, so he could probably attract the middle class, but that was not captured in the virtual matchup opinion polls. If Oh Se-hoon had the power to attract the middle class, the virtual matchup between Kim Moon-soo and Lee Jae-myung should have been different from the virtual matchup between Oh Se-hoon and Lee Jae-myung. But it was almost the same. There wasn't much of a difference. If it's Oh Se-hoon, it should have come out that he would win. But since that wasn't the case, there was no point there, no impact, and the atmosphere among the lawmakers changed... I've heard a lot of stories like this. I’ve heard many people say that even in the People’s Power Party, lawmakers who are thinking about the future should go to Oh Se-hoon. Even they are starting to change now. I had no choice but to join because I felt that way. I haven’t talked to them on the phone. Do you know how many times Mayor Oh Se-hoon has been mayor of Seoul?

△ Jang Seong-cheol> Third.

▲ Kim Neung-gu> Fourth. He did it twice, then quit because of free school meals, then a by-election, and in 2020. It’s his fourth time. So if he does it next year, it’ll be his fifth time. That’s unprecedented in the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It’s the first time in four years, but he’s doing it for the fifth time. Looking at Mayor Oh Se-hoon’s various schedules, it would have been right for him to run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but since the presidential election was held too early, his steps got messed up.

△ Jang Seong-cheol> It’s messed up, that’s right. He could have quit as mayor of Seoul next year, 2026, and prepared for the 2027 presidential election for exactly one year, but it really got messed up.

▲ Kim Neung-gu> Then, when Mayor Oh Se-hoon falls from grace, where will the supporters go? That was another matter of interest.

△ Jang Seong-cheol> If you say the pro-fans, they can only go to Han Dong-hoon.

▲ Kim Neung-gu> Right? So if you look into it, it seems that candidate Han Dong-hoon has gained some strength.

△ Jang Seong-cheol> It came up a bit today.

“The final candidates for the People Power Party primary are Kim Moon-soo and Han Dong-hoon or Hong Joon-pyo and Han Dong-hoon?”

▲ Kim Neung-gu> Right? That’s it, and the four people we are predicting now.

△ Jang Seong-cheol> Who are they?

▲ Kim Neung-gu> I think it’s Kim Moon-soo, Han Dong-hoon, Hong Joon-pyo, and then Na Kyung-won.

△ Jang Seong-cheol> Not Ahn Cheol-soo? Why?

▲ Kim Neung-gu> Candidate Ahn Cheol-soo, let’s all call him the candidate now. Candidate Ahn actually needs to receive support for Mayor Oh Se-hoon’s fall from grace. It seems like they barely got it, although they would have to get it to rise to the top. That would be significant for candidate Han Dong-hoon, so isn't it more likely that Rep. Na Kyung-won will be in the top 4?

△ Jang Seong-cheol> Since it targets the People's Power supporters, do you think there's a bit more chance?

▲ Kim Neung-goo> Right.

△ Jang Seong-cheol> Right. She has high recognition, and since there's a party leader election or a floor leader election, her recognition within the party is quite high, so if you ask me, "Who do you think will rise?", I think Na Kyung-won would have a slight advantage. But Ahn Cheol-soo also has high recognition.

▲ Kim Neung-goo> Of course her recognition is high.

△ Jang Seong-cheol> So I think it'll be similar. So it's hard to tell who will win.

▲ Kim Neung-goo> Probably the most interesting thing among the 4 is who will be in 4th place. Then there's 2nd and 3rd place. For example, everyone thinks that candidate Kim Moon-soo will be in 1st place. But are the 2nd and 3rd place candidates Han Dong-hoon or Hong Joon-pyo? This is because if there is no one with 50%, then there will be 2 candidates in the primary.

△ Jang Seong-cheol> That's right.

▲ Kim Neung-gu> Who will be the two candidates? Han Dong-hoon and Kim Moon-soo. This is the most predicted right now, and then instead of Kim Moon-soo, Hong Joon-pyo, Hong Joon-pyo-Han Dong-hoon, Kim Moon-soo-Hong Joon-pyo. Aren't these three combinations? Director, what do you think?

△ Jang Seong-cheol> I think Hong Joon-pyo-Han Dong-hoon will go up like this. In the case of candidate Kim Moon-soo, if he debates on TV and continues to increase his exposure to the public, won't his votes drop a bit? And for a while, you prepared a lot as a presidential candidate, but you were a YouTuber for about 10 years and you were with Pastor Jeon Gwang-hoon, and you said a lot of things that didn’t fit with the public’s common sense, so if those things are verified and made known, the approval rating for candidate Kim Moon-soo will drop and move to candidate Hong Joon-pyo. And in the case of the Chan-tan faction, candidate Han Dong-hoon is the only candidate, so I thought that candidate Han Dong-hoon would go to the runoff as a constant candidate. Just a moment ago, you briefly read me the opinion poll. It was recently conducted.

▲ Kim Neung-goo> It was recently conducted at the request of the Segye Ilbo to the Korea Gallup on April 10-11.

△ Jang Seong-cheol> If you look there, if you’re not careful, these two people, Kim Moon-soo and Hong Joon-pyo, could go up.

▲ Kim Neung-goo> Should I read this briefly? Among the People’s Power candidates, among the People’s Power supporters, candidate Kim Moon-soo has 42%. Then, candidates Han Dong-hoon and Hong Joon-pyo have 17% and 16%, respectively. Then, Oh Se-hoon was at 11% but lost. Then, Ahn Cheol-soo was at 4%. Na Kyung-won was not included in the survey. So, the Kim Moon-soo trend that we know is the People's Power candidate trend. It's not the presidential election trend, but the People's Power candidate trend, and Kim Moon-soo has not been defeated yet. However, the primary popularity has faded considerably since the Han Deok-soo card came in. That's why the attention on Kim Moon-soo has dropped significantly. Because it's not a candidate who can win the presidency, it's not a presidency, it's something they created themselves, not someone else. △ Jang Seong-cheol> I think we need to judge whether the message that Kim Moon-soo just released will help the party primary, but he said, "If Han Deok-soo runs, I'll unify." The other candidates said, "What kind of unification is that? There's no unification. I'm just the candidate." They keep saying things like this. Hong Joon-pyo, Han Dong-hoon, and others. They say, "Participate in the primary. If you don't participate in the primary, there will be no unification. I'm just the People's Power candidate." But in the case of candidate Kim Moon-soo, he said he would unify. Then, I wonder how this will be reflected in the People's Power supporters during the primary process. Isn't that also a point of interest?

It's like, "Even if Kim Moon-soo does this, it won't work out. Isn't it just Han Deok-soo?" If it goes like this, support for Kim Moon-soo could fall significantly.

"Kim Moon-soo, accepting unification with Han Deok-soo is a representation of the hard-right faction that wants a dynamic primary"

▲ Kim Neung-gu> I have a slightly different opinion on that part. Why did candidate Kim Moon-soo say that? Those who are currently running in the People's Power primary, like Hong Joon-pyo, Han Dong-hoon, and Ahn Cheol-soo, say, "Han Deok-soo, if you want to, run in the primary. Let's run and fight. If you don't run, there will be no unification." That's normal talk. But candidate Kim Moon-soo, who is in first place, and who represents the hardliners to everyone, said, "If Han Deok-soo runs, we'll unify." Why is that? △ Jang Seong-cheol> Basically, I think he was originally that way, and did he have to be me? I just happened to have high approval ratings and ran for president. I didn’t make any political moves or messages with this early presidential election in mind. That’s why I thought his will to power to become a presidential candidate might be relatively weak. Anyway, he must have talked a lot with Acting President Han Deok-soo during the State Council meeting, and in the end, wouldn’t it be better for the People Power Party or the conservative right-wing camp to run for election rather than me? If we run separately and Han Deok-soo runs separately, wouldn’t this be a sure defeat? In order to increase our chances of winning by even 1%, we need to include Han Deok-soo, who is currently in the polls and has a wide network of connections in the US as a trade expert and ambassador to the US, within our boundaries. Isn’t that how we think that if we demand unification, I’ll accept it? ▲ Kim Neung-gu> So, he wants the conservative right-wing to win the presidential election rather than an individual's election. He is not an individual. In that sense, he differentiates himself from Hong Joon-pyo, Han Dong-hoon, and others. So, he is actually strengthening the possibility of the People's Power candidate winning in the People's Power primary.

△ Jang Seong-cheol> Is that a plus?

▲ Kim Neung-gu> It is a plus. He is reading that, and the second is that he can do anything for the conservative right-wing to win, as I just mentioned. But in reality, the People's Power lawmakers have already made that judgment. From what I heard, it wasn't reported in the media, but Kwon Seong-dong said that he was positive about Chief Secretary Han Deok-soo's presidential candidacy, and even Vice Chairman Kwon Young-se said that he had the same position. It's said that Ssanggunchong dissuaded the 50-member petition from announcing that part, but I heard that they had the same position. Right now, it is not me, but the conservative right wing that needs to gather all its strength in a showdown with the left wing, and I think Han Deok-soo is the best at that time.

Former President Yoon Seok-yeol also attempted to unify as a third-party candidate after becoming the Prosecutor General, but he joined the party unexpectedly. But things are different now. Prime Minister Han Deok-soo’s incoming has many problems. As acting president, he urgently needs to negotiate trade, but he left that aside and came in, and he came in like an invader when the party was not in order, so I made the final decision that it was not right. In fact, even last weekend, I heard from several sources that Prime Minister Han Deok-soo would resign on Monday and register on Tuesday. But that has changed.

△ Jang Seong-cheol> Do you think acting president Han Deok-soo will run?

▲ Kim Neung-gu> The success or failure of that depends on how much progress is made in negotiations in the Trump tariff war. I think he will come out with that.

△ Jang Seong-cheol> I think we should see it that way.

▲ Kim Neung-gu> Those who know Han Deok-soo well will not run. In our country, there are Prime Minister Goh Kun and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These people were ranked first in opinion polls, but they all ended up withdrawing in the end. There were cases where they seemed to be planning to run but then withdrew, but they say that is the limitation of being a former bureaucrat. Prime Minister Han Deok-soo is talking about his final mission anyway. It is unclear whether his final mission is to hold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or to end the Trump 2.0 tariff war. However, he is under a lot of pressure on that part, and even though he can end it anyway, he is not saying that he is not running. It is not that he is not doing it, but he is looking at the possibility.

△ Jang Seong-cheol> Is that because he saw the results of Trump’s negotiations?

▲ Kim Neung-gu> Representative Lee Jun-seok said that he will not unify, but he said that he will negotiate later when the candidate is decided. So the emphasis is on 'negotiation', but this person is not declaring that he will not run. That is why there is room, and there, he can emerge like a general of improvement in the midst of all-out pressure and achievements.

△ Jang Seong-cheol> Usually, a new government is launched with about 50 days left. So, even if the acting president asks to negotiate in the US, it seems right to say, "I no longer have the authority. When the new government comes in, negotiate with the new president and the new government." But he thinks that it is his last mission, and he sent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hn Deok-geun and Deputy Prime Minister for Economic Affairs Choi Sang-mok to the US to negotiate. Looking at that, as you said, if there is an atmosphere where the people say, "Wow, you brought the negotiations to that level? You did a good job," on tariff issues, trade issues, and international issues, he can run, and if the negotiations do not go well, he can not run. Is that how you see it?

▲ Kim Neung-gu> Whether you run or not, you are free in democracy. But please, this time, the tariff war will be successful, and in order to run for office like General Gae-gyeom, we should use Alaskan gas as a bargaining chip and say, “We will do it,” which is absolutely unacceptable.

△ Jang Seong-cheol> Why?

▲ Kim Neung-gu> That’s why the largest oil company in the US and the world-class British company have both given up. Even if gas comes out of the frozen ground of Alaska, we have to bring it and transport it through pipelines, but that part is also sinking now, and because of climate change. They say there’s no guarantee at all. That’s why resource investment is inherently risky. If you do it with a low probability like a venture, you can hit the jackpot, but this isn’t even that. It’s clearly eating up our national wealth. That’s why Trump has been trying to do it since his first term, but no one has stepped forward. No company in the world has stepped forward. That’s his long-cherished project. He’s trying to do it now…

△ Jang Seong-cheol> Then, “If you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Alaskan gas field, we’ll only charge you a 10% tariff, or we’ll just do it as is since we have a free trade agreement.” Don't do this?

▲ Kim Neung-gu > Yes, Trump can do anything. And the tariff war... In the era of Trump 2.0, we had a forum last week. As I said in my opening speech, Trump's tariff war is absolutely unwinnable. And it will be revealed in the US midterm elections next November, and it can't be done before that. Why? After Trump announced the 25% reciprocal tariff, 960 billion US dollars were lost in stocks. Who suffered the most? The US economy. The American people. So this can't be done. What can you do when voters and companies who supported him are making a fuss? That's why he's adjusting it now, and China is not budging right now. The one who's harassing and anxious right now is the US. China is not saying anything, so do whatever you want. That's why Trump keeps moving the goalposts. He's going up by a few percent, then a few percent, then he's delaying it, and so on. With that, Alaska gas, we are responsible for that, that really shouldn’t be done, but seeing that story keep coming up, that’s what makes me the most anxious right now. I don’t know about anything else, but that’s the only thing that we shouldn’t promise. Anyway, I think the possibility of Han Deok-soo running is half and half right now.

△ Jang Seong-cheol> What do you think of the conclusion? All other variables are okay. Think about it all, judge it, and what’s the conclusion?

▲ Kim Neung-goo> I’ll run.

△ Jang Seong-cheol> I’ll run? I can’t run.

▲ Kim Neung-goo> Because you have to give up something, and you have to give up and then take that step. The People’s Power Party has to get out of this early presidential election. But if they don’t get out and go in, politicians have to do whatever it takes to have a meaningful fight for the next election. I think Prime Minister Han Deok-soo could be the scapegoat. So I’m half and half, but for now. Let's do one thing. He said he would run, and 51% said he would run, 49% said he would not.

△ Jang Seong-cheol> 51% said he would not run, 49% said he would run. I am against it. Let's look at the results.

"Hong Joon-pyo and Yoon Seok-yeol are drawing a line to win over the impeachment vote... shaking up the primary"

"Han Dong-hoon, who blocked martial law, should become the People's Power candidate for the People's Power Party to be recognized for his reflection and change"

▲ Kim Neung-goo> But you said that the Yanggang candidates would be Hong Joon-pyo and Han Dong-hoon, right? I said that it would be Kim Moon-soo and Han Dong-hoon. Then Han Dong-hoon would be in the Yanggang Party. Why is that?

△ Jang Seong-cheol> The only candidate who clearly praises him is Han Dong-hoon. A significant number of the People's Power Party supporters are saying, "Oh my, Yoon Seok-yeol has been wronged. We should have protected Yoon Seok-yeol. Let's take Yoon Seok-yeol's side." So I think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nti-fans will vote more. However, people like me who are conservative but think that Yoon Seok-yeol should have been impeached might think, "So shouldn't someone like Han Dong-hoon, who is rational, speaks in line with the public's expectations, makes arguments, and contributed to preventing martial law, become the next leader of the People's Power Party?" and think, "Then I will vote for Han Dong-hoon." So the only candidate who can capture the supporters' votes is Han Dong-hoon. So, wouldn't candidate Han Dong-hoon advance? But the anti-fans' votes might be split in half or three. So I think it is more likely that Han Dong-hoon advances to the second round.

But then, looking at the approval ratings earlier, I think Kim Moon-soo and Hong Joon-pyo could go up like this. We’ll have to see how they campaign. Candidate Na Kyung-won keeps saying, “I’m out to catch Han Dong-hoon!” and going into a drum can and taking pictures and stuff.

▲ Kim Neung-goo> So there’s a higher chance that candidate Han Dong-hoon will go up because of candidate Na Kyung-won.

△ Jang Seong-cheol> That’s how you see it.

▲ Kim Neung-goo> Yes, in any case, I think the two major candidates, Hong Joon-pyo and Han Dong-hoon, will fight fiercely for second place.

△ Jang Seong-cheol> Do you see Kim Moon-soo as a constant?

▲ Kim Neung-goo> Yes, I see Kim Moon-soo as a constant. Because, as I said earlier, if Prime Minister Han Duck-soo comes out, they’ll unify, and that’s what they’re reading accurately. For example, the 60-70% of conservatives who oppose impeachment When we looked at it, there were many stories saying that we should refrain from using the expressions hard-right, or extreme right, so I use the term hard-right because it contains the sentiment of the hard-right. Because the hard-right people are not people who are crazy about Hong Joon-pyo, Kim Moon-soo, or Han Deok-soo. They don’t have that much loyalty, but I just hope that what they have doesn’t go to Lee Jae-myung. In order for that to happen, the hard-right has to be a meaningful game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In order for that to happen, we need various dynamic primaries, and that’s why the message that if Kim Moon-soo runs, we’ll unify is the perfect message. Hong Joon-pyo and Han Dong-hoon drew a line too far in that area. Han Dong-hoon can draw a line. After all, his supporters are different from those forces. However, I think Hong Joon-pyo should have been a little more careful in that area. I think Hong Joon-pyo started to draw a line with former President Yoon Seok-yeol. So maybe that's why the hard-line right wing is so strong against Kim Moon-soo. So I shouldn't say anything about that. So I'll push all the parts that are connected to the traitor Han Dong-hoon and take that part. I think candidate Hong Joon-pyo is in a game of splitting votes with Han Dong-hoon. So when that part narrows down to two, I think it's a point of interest. Who will win out between the two? In my opinion, the People's Power Party should have Han Dong-hoon as its candidate, so that even if they unify later and do something, they can apologize to the people and send a message that they will move forward in the future. But I don't feel that sincerity. But if candidate Han Dong-hoon becomes the People's Power Party's candidate, he will send that message. He will apologize, give us another chance, and say that he will move forward in the future. He will probably send that message. In that case, despite candidate Han Dong-hoon's various limitations, conservatives may say, "We will watch again." However, if Kim Moon-soo becomes the candidate and unifies with Han Deok-soo, it may seem like a dynamic primary that I had in mind, but its limitations are clear. The rational conservative forces that I mentioned earlier have nowhere to go. That is why many people think that the voter turnout will be the lowest in the history of presidential elections.

△ Jang Seong-cheol> Party member voter turnout?

▲ Kim Neung-gu> No, the voter turnout in the general election. Presidential election.

△ Jang Seong-cheol> I think 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