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대선] 김문수-한덕수, 한밤 단일화 협상 최종 결렬...국힘, '단일화' 폐기 '후보교체 재선출' 수순 돌입 (종합)
김문수-한덕수 양측, 심야 2차례 단일화 여론조사 실무 협상 결국 결렬...'단일화' 폐기 수순 여론조사 역선택 방지조항 이견...金 "전체 여론" vs 韓 "역선택 방지 조사" 국힘 "협상 데드라인은 9일 밤 자정, 넘기면 다음 절차로" 의총 "단일화 협상 결렬시 '후보 재선출' 권한 비대위에 일임" 11일 '후보 교체 전국위원회' 개최 전망...'강제 단일화'에서 '강제 후보교체' 예고 김문수 "10일 선관위 후보 등록"..당지도부 '제2 옥쇄파동'. 金 '후보교체 무효소송' 가능 한동훈 "당원도 아닌 한덕수로 교체? 누가 후보교체 권한을 비대위에 부여했나"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측이 9일 저녁 8시반에 시작한 3차 단일화 실무협상을 진행했으나 여론조사 '역선택 방지조항'에 이견을 보이며 30분 만에 빈손으로 헤어졌다.
양측은 이날 밤 10시 30분에 다시 심야 협상을 재개했으나 이 또한 최종 결렬됐다. 국민의힘은 오늘(9일) 자정을 넘기면 사실상 단일화는 무산된 것으로 결론 짓고 이후는 당 지도부가 나서 '후보교체' 수순에 본격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제 정치권의 관심은 국민의힘 지도부를 향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11일을 단일화 마지노선으로 정하고, 오늘 자정까지 단일화 협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다음 절차'를 밟는다는 방침이다. 의원총회에서 '단일화' 결렬시 '후보자 교체를 위한 재선출 권한'을 비대위에 일임했다.
당지도부는 단일화 로드맵에 따라 8~9일 이틀간 단일화 국민 여론조사(50%)와 당원 투표(50%)를 단일화 조사를 실시했다. 해당 조사결과는 9일 선관위에서 '공표 불가' 통보를 함으로 결과가 공개되지는 못하지만, 이를 근거로 국민의힘 내부적으로는 후보교체 여부를 판단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양측의 단일화가 최종 결렬됨에 따라 이 단일화 조사는 공식적으로는 무효화시키고 다시 후보교체를 위한 '후보 재선출 방식'의 여론조사를 새로 실시할 계획이다. 11일 예정된 전국위원회에서 후보교체를 마무리 지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당지도부는 김 후보와 전면충돌을 벌였던 '강제 단일화' 후보교체 방식을 버리고 '재선출 방식'의 후보교체를 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한덕수 후보로 '강제 단일화'에서 '강제 후보교체'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앞서 김 후보측은 '전당대회 및 전국위원회 개최금지·대통령 후보자 지위 인정 가처분' 신청을 했으나 9일 법원이 이를 기각함에 따라 지도부는 전국위원회를 열고 단일화 및 후보교체 수순을 본격 밟을 수 있게 됐다. 그러나 단일화 협상이 최종 결렬된 것이다.
심야 2차례 협상 최종 결렬...여론조사 역선택 방지조항 이견...金 "전체 여론" vs 韓 "역선택 방지 조사"
전날까지 김 후보와 한 후보가 두 차례 회동을 통해 단일화 관련 논의를 펼쳤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에 양 후보 측 관계자는 이날 오후 8시 30분부터 국회에서 이양수 사무총장 주재로 각 캠프 대리인들이 참석한 '2+2' 협상에 돌입했다.
하지만 이번 실무협상도 아무런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30분 만에 빈손으로 끝났다. 양측이 여론조사 역선택 방지 조항을 두고 이견을 보였기 때문이다.
김 후보 측은 대선후보 단일화인 만큼 정당 지지여부를 묻지 않고 역선택 방지 조항(국힘지지층+무당층 합산)이 아닌 일반 유권자도 포함하는 '일반 여론조사 방식'으로 설문을 구성하자고 했으나 한 후보 측이 이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진다.
김재원 김 후보 비서실장은 단일화 협상 진행 중 기자들을 만나 "정당 지지여부를 묻지 않고 설문을 구성하자고 했는데 (한 후보 측이) '그건 안 된다'고 한다"며 "한 후보 측 관계자는 자신의 주장이 관철되지 않으면 한발짝도 협의하지 않겠다고 언성까지 높였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 후보측은 국민의힘 후보를 뽑는 단일화 과정인 만큼 역선택 방지 조항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손영택 한 후보 비서실장은 "저희가 생각하는 가장 공정하고 합리적인 방법은 김 후보가 경선 때 승리하셨던 여론조사 방식(역선택 방지)"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단일화 결렬에 김 후보측 김재원 비서실장은 "한 후보가 무슨 방식이든 단일화 성사를 위해서는 다 수용하겠다. 김 후보에게 다 양보하겠다. 마음대로 얘기했다"며 "그렇게 해놓고 오늘 와서 절대 양보를 못하겠다고 했다"면서 "가증스러운 거짓말을 하고 있어 협상의 여지는 없다"고 분개했다.
양측은 밤 10시 30분 다시 만나 심야 단일화 협상을 재개했으나 결국 이 마지막 심야 협상마저 최종 결렬됐다.
내일(10일)부터 이틀간 후보 등록임에 따라 시간적 한계와 전략의 실효성 등으로 결국 '단일화' 방식의 후보교체 전략은 폐기되고 당 지도부는 한덕수 후보를 '재선출 방식의 후보교체' 수순에 본격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힘 의총, '대선후보 재선출(후보교체)' 여부 결정 비대위에 위임...'강제 단일화'→'강제 후보교체'
이날 양측이 단일화가 최종 결렬됨에 따라 후보등록 마감일인 11일까지 단일화가 성사는 불가능하게 됐다.
이에 국민의힘은 9일 밤 의원총회를 열고 두차례의 단일화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대선후보의 재선출 여부(후보교체) 결정을 포함한 모든 권한을 비상대책위원회에 위임하기로 결정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단일화 협상이 최종 불발될 경우 당 지도부가 '후보교체' 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결의한 것이다. '강제 단일화' 전략이 실패하자 '강제 후보교체' 전략으로 바꿔나가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서지영 원내대변인은 이날 밤 의원총회가 끝난 후 기자브리핑에서 "의원 대부분이 단일화를 촉구했고, 대부분의 의원이 지도부에 결정을 일임하겠다는 이야기를 주로 했다"고 말했다.
또 원내 핵심 관계자는 "단일화 협상 불발될 경우 '후보 재선출' 여부 결정을 포함한 모든 권한을 비대위에 위임하는 것에 대한 찬반 표결이 의원총회에서 이뤄졌다"며 "의총에 참석한 전체 64명 의원 중에 찬성 60명, 반대 2명, 기권 2명"이라고 말했다.
국힘 "협상 데드라인은 자정, 넘기면 다음 절차로"...단일화 포기, '후보 재선출' 여론조사
11일 '후보 교체 전국위원회' 개최 전망...한덕수로 '강제 후보교체', 선관위 등록 시나리오
조정훈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은 기자들을 만나 "단일화 협상 데드라인은 자정"이라며 "자정을 넘기면 지체없이 다음 절차로 넘어가기로 했다"고 했다.
조 부총장이 언급한 '다음 절차'는 후보 교체다. 그동안 당지도부 전략이었던 후보교체를 위한 '강제 단일화'에서 이제는 아예 국민의힘 후보를 새로 뽑는 '후보 재선출' 전략으로 더 강력히 바꾸겠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단일화 실무 협상 결렬시 후보자 교체 권한을 비대위에 일임키로 했다.
이미 국민의힘은 김 후보와 한 후보 중 단일화 대상으로 누가 적합한지 여부를 묻는 일반국민·당원 여론조사를 8~9일 진행했던 단일화 조사는 파기하고, '후보 재선출' 즉 후보교체 여부 당원 여론조사를 새롭게 실시한다는 것이다.
예상되는 한덕수 후보로의 '후보교체 재선출' 시나리오는, 우선 당 비대위와 선관위가 김문수 후보의 대선후보 자격 무효를 선언하고, 후보 재선출 안건을 통과시키면, 한 후보가 곧바로 입당하고 이어 10일 전당원 후보 재선출 찬반을 묻은 ARS를 실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오는 11일 전국위원회를 통해 후보를 다시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당 지도부는 당헌 제19조 1항 3호에 따라 전국위는 '전당대회의 소집이 곤란한 경우 전당대회 기능의 대행'을 할 수 있는 만큼 전국위 의결만으로 후보 교체가 가능하다고 해석하고 있다.
만일 후보 재선출 과정을 통해 한덕수 후보가 국민의힘 최종 후보로 확정되면 곧바로 입당 후 중앙선관위 후보 등록까지 마쳐 '기호 2번'을 달고 대선에 나설 수 있다는 생각이다.
김문수 "내가 대선후보, 선관위에 후보 등록 하겠다"..'제2 옥쇄파동' 예고, '후보교체 무효소송' 가능성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당 지도부에게 후보 재선출 권한을 위임해 '후보교체 수순'에 돌입하기로 했지만, 김 후보는 "당 경선을 통해 공식 선출된 대선 후보는 나"라며 내일(10일) 선관위에 후보 등록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 측은 '법원이 기각했지만, 김 후보가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임을 인정한 것'이라며 완주 의지를 보이고 있다.
김 후보 캠프는 입장문을 통해 "법원은 김문수 후보가 제기한 가처분 신청을 기각했지만, 결정문에서는 김문수가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임을 명확히 인정했다"며 "법원조차도 김문수 후보의 지위를 부정하지 못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후보 진실대응전략단장 장영하 변호사도 "이번 기각은 단지 정당 내부 절차에 사법부가 개입하기 어렵다는 형식적 이유에 불과하다"며 "김 후보는 당원의 명령, 국민의 선택, 법원의 판단 모두를 등에 업고 당당히 대통령 후보로 완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의힘 지도부는 당원과 후보를 흔드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며 "단일화는 협박이 아니다. 그 누구도 더는 흔들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 측은 단일화 최종 결렬 후 “되도록 빨리 선관위를 찾아 후보 등록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선관위에 후보 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공직선거법상 정당 후보자는 당 대표 직인이 찍힌 추천서를 중앙선관위에 제출해야 한다.
그러나 당지도부가 '후보교체'로 방향을 틀었기 때문에 선관위 등록 도장 및 서류 준비는 거부될 가능성이 높다. 이른바 후보교체를 준비하는 당지도부의 '제2의 옥쇄파동'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될 수도 있다.
이에 김 후보측는 당 지도부가 후보교체를 강행할 경우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 측에서 당의 후보교체 결정을 '불법적'이라며 원천무효로 하는 가처분 신청을 추가로 제기 할 가능성도 있다.
한동훈 "당원도 아닌 한덕수로 교체? 누가 후보교체 권한을 비대위에 부여했나"
한편, 단일화가 결렬되자마자 '후보교체 후보 재선출'로 바꾼데 대해 한동훈 전 대표가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한 전 대표는 9일 밤 자신의 SNS에 "선출되지도 한은 비대위에 누가 그런(후보교체) 권한을 부여했느냐"며 "우리 당을 웃음거리로 만들고 있다"고 분개했다.
한 대표는 "친윤 지도부가 당비를 내는 77만명 책임당원이 여러 단계로 참여한 경선을 무효화하여 무리하게 김문수 후보를 끌어내리고 당원도 아닌 한덕수 후보로 교체하는 것은 정당 민주주의, 그리고 상식을 버리는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한 전 대표는 "고의로 경선에 참여 안 한 다음 '무임승차 새치기'하겠다는 한덕수 후보와 친윤의 행태는 대단히 잘못된 것"이라며 "김문수 후보, 한덕수 후보, 친윤(친 윤석열계)은 '한 팀'처럼 협업해 저를 막는데 성공하자 (대선) 후보 자리를 두고 이전투구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김덕수'(김문수와 한덕수의 합성어) 운운하며 그런 상황을 저를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이용했던 김문수 후보 잘못도 대단히 크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