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트럼프-푸틴, 러-우 전쟁 관련 2시간 통화...바티칸서 평화회담 관측
트럼프 "러시아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시작할 것" 교황, 바티칸서 평화회담 제안...멜로니 총리 "유럽 정상들 긍정적" 푸틴 "우크라에 평화협정 각서 제안할 것" "우크라 평화 유지군 반대" 젤렌스키 "美, 협상서 멀어지면 안돼" "영토 포기 못한다"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이하 현지시간) 2시간 가량의 전화 통화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식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찾는데 실패했다.
다만 양 정상은 러시아-우크라이나 휴전 및 종전을 위한 협상을 재개한다는 뜻은 확인했으며 향후 교황이 있는 바티칸에서 평화회담이 열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여전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영토 문제와 평화유지군 주둔 문제를 놓고 팽팽히 맞서고 있어 전쟁 종식은 쉽지 않아 보인다.
트럼프 "러시아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시작할 것"
교황, 바티칸서 평화회담 제안...멜로니 총리 "유럽 정상들 긍정적"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2시간에 걸친 통화 후 자신의 SNS에 "(푸틴과 대화가) 매우 잘 됐다고 믿는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휴전과 전쟁 종식을 향한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썼다.
이어 "그것을 위한 조건들은 두 나라 사이에서 협상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미국이 중재 역할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취지로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종전의 대가로 경제 협력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는 미국과 대규모 무역을 하고 싶어 하며 나도 동의한다"라며 "러시아에는 막대한 일자리와 부를 창출할 수 있는 엄청난 기회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크라이나도 국가 재건 과정에서 무역의 큰 수혜자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협상단은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지난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협상을 진행했으나 영토문제와 전후 안보체계에 대한 이견만 확인하고 아무런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향후 양측이 다시 협상에 나선다면 그 장소는 교황이 있는 바티칸이 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교황이 대표하는 바티칸이 협상 개최에 매우 관심이 있다고 밝혔다"며 "절차를 시작하자"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도 레오 14세 교황이 바티칸을 러시아-우크라이나 평화 회담 장소로 제안했다고 밝혔다.
멜로니 총리는 이날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통화한 뒤 미국과 여러 유럽 지도자가 교황의 제안에 대해 논의했다"며 "교황이 바티칸에서 회담을 주최하겠다는 뜻을 밝힌 데 대해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다"고 말했다.
푸틴 "우크라에 평화협정 각서 제안할 것" "우크라 평화 유지군 반대"
푸틴 대통령도 이날 통화 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이날 통화에 대해 "매우 유익하고 솔직했다"고 평가하면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평화 협정의 윤곽을 그리는 각서를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각서에는 관련 합의가 이뤄질 경우 일정 기간 휴전할 가능성을 비롯해 위기 해결 원칙, 평화 협정 체결 일정 등 다양한 입장을 규정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신들이 원하는 조건이 충족되면 얼마든지 휴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적절한 합의에 도달하면 휴전할 수 있다"며 "러시아의 입장은 명백하다. 중요한 것은 위기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이 언급한 '위기의 근본 원인'은 전후 우크라이나에 유럽의 평화유지군이 주둔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유럽과 우크라이나는 종전 후 유럽에 평화유지군을 파견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러시아는 이는 사실상 나토군이 주둔하는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젤렌스키 "美, 협상서 멀어지면 안돼" "영토 포기 못한다"
트럼프와 푸틴의 통화 소식을 접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다자간 고위급 회담'을 제안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9일 키이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미국, 유럽연합(EU), 영국 등이 참여하는 고위급 회의 개최를 구상하고 있다"면서 "장소로는 튀르키예, 바티칸, 스위스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과 통화에서 미국이 향후 협상 과정에서 한발 물러날 것을 시사하자 미국을 협상 테이블에 앉히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젤렌스키는 자신의 SNS 엑스(X·옛 트위터)에도 자신이 트럼프 대통령과 두 차례 통화했다면서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협상 과정에 계속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협상의 조건과 관련해선 "만약 러시아가 우리 영토에서 철군할 것을 요구한다면 이는 휴전이나 종전을 원치 않는다는 의미"라며 영토 포기 의사가 없음을 밝혔다.
그러면서 "푸틴이 비현실적인 요구를 밀어붙인다면 전쟁을 질질 끌겠다는 의미"라며 "이 경우 유럽과 미국, 세계는 추가 제재를 포함한 응분의 조치를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 관련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유럽이 러시아에 대한 '강력한' 새 제재 패키지를 발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고, 미국에는 러시아의 금융·에너지 부문에 대한 제재를 요청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