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호 "한동훈 출마 신중론 강화…홍준표 창당해도 세력결집 불가능"
한동훈 전 대표 출마설 "최종 판단은 본인 몫" "홍준표, 창당은 본인 마음, 창당해도 넘어갈 사람 없어" 국힘 대국민 반성문 써야…"개혁점수는 마이너스 30점" 말로만 환골탈태 "계엄옹호 인물 비대위 배치" 지적 검찰개혁안, '거악척결' 약화…"결국 '검찰개악' 될 것"
[폴리뉴스 김성지 기자] 신지호 전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은 한동훈 전 대표의 당대표 출마설에 대해 "신중론이 강화되고 있다, 최종 판단은 본인의 몫"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계은퇴 선언 후 연일 국민의힘을 비판하며 신당창당 가능성이 거론되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에 대해선 "신당을 창당해도 세력의 결집은 불가능하다"고 꼬집었다.
신 전 부총장은 2일 YTN라디오 <뉴스파이팅> 인터뷰에서 한 전 대표의 당 대표 선거 출마 가능성과 관련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고 여러 상황 변화들에 대한 최종 판단은 한동훈 전 대표 본인이 할 것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이어 "일단 전당대회 일정도 나오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일정이 나오고 룰이 정해지면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을까 싶다"며 "한 전 대표와는 계속 소통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변화와 쇄신을 말하지만 한편으로는 기득권을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변화에 대해 묘하게 태클을 걸고 저지하는 당 분위기가 있다"며 "이런 당내 환경 속에서 과연 한 전 대표 스스로가 어떤 선택을 내리는 게 최선인지를 치열하게 고민하지 않을까 싶다"고 설명했다.
"홍준표, 창당은 본인 마음, 창당해도 넘어갈 사람 없어"
정계은퇴 선언 후 연일 국민의힘을 비판 중인 홍 전 시장에 대해선 "30년 동안 몸담은 당에 그런 식으로 저주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신 전 부총장은 "신당 창당은 본인이 마음먹으면 할 수는 있겠지만 유의미한 세력을 결집시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본다"며 "국민의힘에 여러 계파가 있지만 홍준표 신당이 만들어진다고 그쪽으로 넘어갈 사람은 거의 없을 것 같다"고 주장했다.
이어 홍 전 시장의 국민의힘 위헌정당 심판 주장에 대해서도 "모든 가능성은 있고 내란 특검 수사 과정을 지켜봐야하는데 홍 전 시장이 그래도 국회의원을 5번하고 시도지사도 3번, 당 대표도 2번한 (자신이) 30년 동안 있었던 당에 이런 식으로 저주의 언어를 쓰는 것은 인간적으로 하지 말아야 할 행위"라고 비판했다.
국힘 대국민 반성문 써야…"개혁점수는 마이너스 30점"
말로만 환골탈태 "계엄옹호 인물 비대위 배치" 지적
국민의힘을 향해서는 "개혁 점수 0점도 후하다, 마이너스 30점"이라며 "대국민 반성문부터 쓰라"고 비판했다.
신 전 부총장은 "김용태라는 젊은 정치인이 추진하려고 했던 최소한의 개혁이 아무것도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빵점도 후하다, 마이너스 30점 정도 줘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송언석 비대위 체제에 대해선 "일성으로 환골탈태 하겠다고 했는데 환골은 근간이 되는 뼈대를 갈아 끼우는 건데 어제 비대위 인선을 보니 전혀 바뀐 게 없다"며 "계엄을 옹호하고 탄핵을 극렬히 반대했던 분들이 비대위 멤버가 돼 있다"고 꼬집었다.
비대위 대응 방향과 관련해선 "반성문부터 써야 된다"며 "무엇을 잘못했고 앞으로 어떤 각오와 자세로 당을 운영해 나갈 것인지 대국민 반성문부터 써야 된다, 보수의 핵심 가치 중 염치와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당의 주류인 분들은 지난 개헌과 탄핵, 대선 참패를 두고 '모두의 책임'이라고 표현하는데 모두의 책임이라는 것은 나는 책임지지 않겠다, 책임의 화살을 나에게 돌리지 말라는 뜻이 숨어 있는 굉장히 비겁한 언어"라고 주장했다.
나경원 의원의 숙식 농성에 대해선 "본인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희화화되고 있다"며 "남의 부족함을 전에 우리부터 거듭나는 모습을 보여준 다음에 집권 세력의 문제를 지적할 때 설득력이 있는데 국민의힘이 현 상태에서 집권 세력의 문제를 제기해도 '문제 있는 건 알지만 니들보다는 낫지 않느냐'는 지적이 돌아온다"고 말했다.
검찰개혁안, '거악척결' 약화…"결국 '검찰개악' 될 것"
정부 여당이 추진하고 있는 검찰개혁은 결국 '검찰개악'이 될 것이라며 부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현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는 검찰청 폐지와 공소청 설치, 중대범죄수사청, 국가수사위원회를 설치하는 법안이 일괄상정 돼 있는 상태다.
신 전 부총장은 "해당 논의가 국민들에게 과연 어떤 효용과 편의가 증진되는지 솔직히 잘 모르겠고, 수사 기관이 여러 개가 생겨서 일반 국민들은 뭐가 뭔지 잘 모르는 식으로 가고 있다"며 "오히려 권력 있고 돈 있는 사람들이 수사 체계나 형사사법 체제를 복잡하게 만들어서 이리저리 빠져나갈 수 있는 여지를 더 많이 만드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어 "거악 척결이 검찰 본연의 기능이다, 검찰의 정치적인 일탈은 바로잡아야 하지만 척결 기능을 약화시키는 것은 검찰 개혁이 아니고 '개악'이라고 본다"며 "지금 민주당 집권 세력이 추진하는 모습을 보면 충분히 그럴 개연성이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