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내란특검, '추경호 계엄해제 방해 의혹' 조경태·김예지 참고인 조사…'한덕수-추경호 통화'도 포착
조경태 "추경호, 적극적으로 계엄 못 막아" 김예지 "계엄 때 혼선" 내란특검 "계엄 당일 추경호-한덕수 7분 통화"...추. 윤석열·홍철호와 통화내용 확보 추경호 "상황 들으려 통화" "한동훈 당대표실이 먼저 장소 변경"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내란특검)이 '국회 계엄해제 방해 의혹' 관련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앞서 우원식 국회의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데 이어 11일에는 국민의힘 조경태·김예지 의원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내란 특검팀이 국민의힘 의원을 조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검팀은 계엄 당시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국민의힘 비상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국회와 여의도 당사로 여러차례 변경한 것이 표결을 방해하기 위함이라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통화를 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검이 수사에 속도를 내면서 추 전 원내대표의 소환 조사도 임박했단 관측이 나온다.
조경태 "추경호, 적극적으로 계엄 못 막아" 김예지 "계엄 때 혼선"
내란특검팀은 11일 조경태 의원과 김예지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지난해 12월 3~4일 계엄 당시 국민의힘 지도부가 당 소속 의원들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다.
추경호 전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는 계엄 선포 직후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여러 차례 바꿔 공지했다. 그 결과 국민의힘 의원들은 여의도 중앙 당사와 국회 본청에 흩어져 당시 108명 중 18명만 표결에 참여했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약 1시간 뒤 추 전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과 통화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추 전 원내대표 등이 윤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당 소속 의원들의 표결을 의도적으로 방해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특검은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과 국민의힘 소속으로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에 참여한 김상욱 더불어민주당 의원, 우원식 국회의장을 참고인으로 조사하는 등 계엄 해제 방해 의혹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검팀은 이날 조 의원과 김 의원을 상대로 당시 상황을 조사했다.
김 의원은 특검에 출석하는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날 본회의장으로 부르시기도 하고 중앙당 당사 3층으로 부르시기도 하고 그게 몇 번 교차됐다'며 "혼선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적으로 문자를 보내서 본회의장에 와야 한다고 말씀하신 의원님도 있었다"며 "서로 연락 주체가 다르고 장소들도 달랐던 것이 (특검이) 궁금한 부분일 것"이라고 했다.
조 의원은 특검 조사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였던 추 의원과의 계엄 당일 통화 사실을 공개했다.
그는 "12월 3일 밤 11시12분에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가 7분 이상 통화했던 게 나왔다"고 밝혔다.
이어 "한 전 총리가 '국무위원들이 모두 반대를 했는데,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강행했다'는 이야기를 추 전 원내대표한테 한 것으로 나와 있다"며 "추 전 원내대표가 한 전 총리의 전화를 받고 난 이후에도 적극적으로 위헌·불법적인 비상계엄을 막지 못한 부분에 대해 특검에서 집중적으로 들여다보는 것 같다"고 했다.
계엄 당시 추 전 원내대표가 한 전 총리와 연락한 정황이 드러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내란특검 "계엄 당일 추경호-한덕수 7분 통화"...추, 윤석열·홍철호와 통화 내용 확보
박지영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 특검보는 11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의 통화 사실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당시에 (통화가) 있었던 것이 확인된 건 맞다"고 답했다.
이어 "다른 의원도 (한 전 총리와 통화가) 있었는지 부분은 현재 확인하기 어렵다"며 "한창 수사 진행 중에 있다"고 전했다.
특검팀은 계엄 당시 홍철호 당시 정무수석, 한덕수 전 국무총리, 윤석열 전 대통령과 연이어 통화한 내역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국회로 이동 중이던 추 전 원내대표는 11시12분께 한 전 총리와 통화했고, 11시 22분께는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윤 전 대통령뿐 아니라 최측근인 홍 전 수석, 한 전 총리와도 통화한 것이 계엄 상황에서 여당 차원의 '역할'을 요구받은 것이라 의심하고 있다.
특히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 간 통화가 급박한 상황 속에서도 7분이나 이어진 점을 고려할 때 단순히 계엄 선포 경위 확인이나 상황 공유 수준이 아니라 추후 국민의힘이 취해야 할 조치와 입장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특검팀이 확보한 국민의힘 의원들의 텔레그램 내역에도 이를 의심할 만한 정황이 담겨 있다.
텔레그램 내역에 따르면 추 전 원내대표는 12월 3일 밤 11시3분께 긴급 의총 장소를 '국회'로 공지했다. 이후 의원들이 "국회가 통제됐다"고 하자 11시9분께 의총 장소를 '당사'로 변경 공지했다.
추 전 원내대표는 밤 11시33분께 의총 장소를 '국회 예결위장'으로 변경한다고 공지했다. 이 과정에서 추 전 원내대표는 한 전 총리, 윤 전 대통령과 통화를 했다.
이후 추 전 원내대표는 밤 12시5분께 또다시 의총 장소를 '당사 3층'으로 변경한다고 공지했다.
추경호 "상황 들으려 통화" "한동훈 당대표실이 먼저 장소 변경"
이에 대해 추 전 원내대표는 당시 한 전 총리와 통화에서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 관련 논의를 한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추 전 원내대표 측에 따르면 추 전 원내대표는 지난해 12월3일 오후 11시 12분쯤 국회에서 중앙 당사로 이동하던 중 계엄 관련 상황을 물어보기 위해 한 전 총리에게 전화를 걸었고 당시 상황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또 의원총회 장소를 변경한 것도 표결 방해 의도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추 전 원내대표는 언론에 "당초 국회로 의원총회를 소집한 뒤 국회로 이동했으나 한동훈 당대표실에서 국회 통제를 이유로 최고위원회의 장소를 당사로 바꿔 의원총회 장소도 당사로 변경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후 국회가 제한적으로 출입이 가능하다는 말을 듣고 의원총회 장소를 다시 국회로 바꿨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