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전남교육청 학교 무상급식, 지자체 40%·교육청 60%로 안정적 지원
공동 TF·현장 간담회 통해 지자체-교육청 협력 강화
[폴리뉴스 강성율(=호남) 기자] 전라남도와 전남도교육청이 학교 무상급식 식품비 분담비율을 지자체 40%, 교육청 60%로 최종 합의하고, 이를 학교급식지원 심의위원회에서 확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적용 기간은 2026년부터 2028년까지 3년간이다.
이번 합의는 학생들에게 안정적이고 질 높은 급식을 제공하고, 지역 친환경 농산물 활용을 확대하는 등 공공급식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무상급식은 학생 건강과 학습권 보장을 위한 필수 교육복지 정책으로, 사회적 형평성과 교육환경 개선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남도와 교육청은 지난해 예산 분담 협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지만, 올해 초부터 실무 협의회를 운영하고 지난 5월 '장기분담비율 조정 등 학교급식 관련 공동 T/F'를 구성해 지속적으로 논의를 이어왔다.
공동 T/F는 도와 교육청, 도의회, 학교급식 관계자 등 8명으로 구성됐으며, 6월부터 9월까지 3차례 회의를 열어 식품비 분담, 친환경농산물 공급 방식, 공공급식통합플랫폼 확대 방안 등 효율적 운영 방안을 검토했다.
또한 학교급식 전문가와 현장 관계자가 참여하는 2차 간담회를 통해 학교, 공급업체, 친환경농산물 생산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하며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이를 바탕으로 무상급식 분담비율과 유지 기간, 친환경농산물 공급 방식, 공공급식통합플랫폼 확대 추진 등이 최종 합의됐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이번 합의는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과 공정한 교육 환경 보장을 위해 전남도와 교육청이 함께 노력한 의미 있는 성과"라며, "친환경 농산물 생산과 유통 기반을 강화하고, 영양교사 및 공급업체 등 급식 관계자에게 안정적인 운영 환경을 제공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남도는 2026년 무상급식 지원사업에 496억 원, 친환경 농산물 등 식재료 차액 지원사업에 393억 원, 총 889억 원을 투입해 안정적이고 질 높은 학교급식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