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지선 승리, 李정부 성공 위한 첫 단추…당원 주권 정당으로 가겠다"
투표 참여기준 변경 비판에 "당원 의사는 참고…중앙위서 의결" 이언주 "기준 변경 불신 초래 할 수도"…조승래 "당원자격 논란으로 전개돼 안타까워"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일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추진한 당헌·당규 개정 사항인 권리당원 100%의 기초·광역비례 의원 선출 방식에 대해 "당원 주권 시대를 여는, 당원 주권 정당으로 가는 작업"이라며 "풀뿌리 민주주의 차원의 공천 혁명"이라고 했다.
정 대표는 이날 국회 본청에서 열린 '당대표·전국기초광역의회의원협의회 간담회'에서 "내년 지선 승리가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한 첫 단추라고 생각하고, 첫 단추를 잘 꿰야 되지 않겠나"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 대표는 '전당원 투표' 논란이 불거진 당헌·당규 개정사항도 "당무위원회, 중앙위원회를 거쳐 당원주권시대를 여는 당원주권정당으로 가기 위한 당헌, 당규 개정도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투표 참여기준 변경 비판에 "당원 의사는 참고…중앙위서 의결"
그는 "기초의원, 광역의원 비례대표는 지금까지 상무위원으로 경선했는데 (당헌 개정으로) 권리당원 100%로 기초, 광역 비례 의원을 뽑을 수 있는 획기적인 (안을 마련했다)"며 "풀뿌리 민주주의, 직접 민주주의 차원에서 이게 공천 혁명이라고 저는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모레, 이틀간 당원들에게 의사를 묻는 절차도 진행할 예정"이라며 "당원들 의사를 물어 잘 참고해 중앙위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당원들 의사를 충분히 반영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는 대통령님 자체가 지방자치단체장 출신이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지방 자치, 지방 분권 그리고 지방 정부 강화에 대해 많은 애정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방의회에 대한 독립적인 법안이 없어 그걸 제정하자는 움직임이 있고 저도 적극 동의한다"며 "지방 의회가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풀뿌리 민주주의를 구현할 수 있도록 논의하는 자리가 오늘 있다"고 했다.
당헌·당규 개정 작업을 담당하는 조승래 사무총장은 "지난번 지선에 우리 당 성적이 안 좋아 여러분들이 지역에서는 야당으로서 어려울 것"이라며 "어려운 와중에 싸웠던 결실이 잘 쌓일 수 있도록, 신인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임기를) 마무리해주심 좋을 것 같다"고 당부했다.
이어 "일반 당원이 65만 명이고 당비 납부를 약속한 당원이 300만 명을 넘는다. 최근까지 당비를 납부한 당원은 165만 명이 넘는다"며 "불미스러운 일들도 있어 정비 작업도 진행 중인데 관련해서 당원들과 소통함에 있어서 소홀함이 없도록 해주시고 무리하거나 불법을 저지르지 않고 아름답게 경선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언주 "기준 변경 불신 초래 할 수도" 조승래 "당원자격 논란으로 전개돼 안타까워"
앞서 정 대표는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원 참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지방선거 공천을 진행하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전 당원 투표를 진행키로 했다.
그러나 투표 참여 자격을 6개월 이상 당비 납부 당원을 대상으로 하던 것에서 10월 한 달 당비를 납부한 당원 기준으로 바꾼 것에 대해 당 내에선 공개적인 반대가 나왔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전날 자신의 SNS에 "투표 자격을 불과 10월 한달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으로 한정한 것은 우려스러운 부분"이라며 "당무와 관련한 당원 투표의 기준은 대부분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이었기에, 갑작스러운 기준 변경은 자칫 당 지도부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고 올렸다.
이에 조승래 사무총장은 전날 페이스북에 "당원 의견을 듣는 절차가 의결을 위한 당원자격 논란으로 전개돼 안타깝다"며 "오해가 생긴 부분은 당원들에게 죄송하다"고 밝혔다.
조 사무총장은 "의결권이 부여되는 투표라면 당헌.당규에 나오는 권리행사 기준으로 선거인단을 구성해서 투표했을 것"이라며 "의결 절차가 아니므로 최근 당비를 납부한 자로 정해 의견 수렴폭을 넓혔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 당원 투표가 단순 여론조사여서 더 많은 당원이 참여하도록 당원 권리 행사 기준을 완화했다는 설명이다.
[폴리뉴스 안다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