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日 교류행사 줄줄이 멈춰… 여행 자제 조치 현실화되나
지자체 방문·단체 시찰·단기 유학 프로그램까지 연쇄 취소 日 지역경제 긴장감 고조
중국이 자국민의 일본 방문 자제 조치를 발표한 뒤 각 지방정부와 교육기관, 기업 단체들이 잇따라 일본 방문 계획을 취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국 사이의 교류가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단순한 관광객 감소를 넘어 공식 교류 행사나 교육 프로그램까지 연달아 중단되는 모습이어서 일본의 지방자치단체와 관광·유학 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최근 중국 지방정부로부터 우호 방문 일정이 연기된다는 통보가 잇따라 들어오고 있다. 예를 들어 장쑤성의 한 도시가 오랜 기간 교류해온 일본 자치단체에 공식 방문을 미루겠다는 뜻을 전달했는데 구체적인 사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중국의 여행 자제 조치 직후여서 관련성이 크다는 시각이 나온다.
이와 비슷한 사례는 여러 곳에서 이어지고 있다. 한 교육 교류단의 일본 방문이 갑자기 연기된가 하면 서일본에서 예정됐던 양국의 우호 교류 행사도 취소됐다. 외교적 발언을 둘러싼 긴장감이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해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지만 어느 쪽에서도 공식적인 입장은 내놓지 않고 있다.
여행과 유학 업계도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 일본 여행사들은 중국 기업들이 준비하던 단체 시찰 프로그램이 수십 건씩 취소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일본 유학을 준비 중이던 중국 학생들도 단기 답사나 사전 탐방 일정을 대거 취소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미 항공권 무료 취소와 일본행 패키지 상품 판매 중단 등 여행 시장에서 중국발 수요가 빠르게 줄고 있는 모습이다.
일본 일부 대학에서는 겨울 단기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하려던 중국 학생들의 취소가 연이어 접수되고 있어 프로그램 운영을 다시 검토하는 상황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올해 말부터 내년 초까지 중국 학생들의 단기 체류가 사실상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며 우려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런 조치가 장기화되면 일본 지방정부와 지역 관광 경제에 꽤 큰 영향이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중국과 교류를 이어온 지방 자치단체들은 "지금은 일단 상황을 지켜보고 있지만 연내 교류 계획 대부분을 다시 조정해야 할 수도 있다"고 토로하고 있다.
중국의 여행 자제 권고가 언제 풀릴지, 양국의 교류 일정이 언제 정상화될지는 아직 예측하기 어렵다. 앞으로 양국의 관계 변화와 외교적인 메시지가 교류 재개에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폴리뉴스 이상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