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 '살던집 프로젝트', 복지 혁신 2관왕 달성…주거 기반 통합 돌봄 선도

주민 체감 효과 극대화, 장기입원 환자 지역 복귀와 가족 돌봄 부담 경감 기대

2025-11-25     박용철(=호남) 기자
▲ 광산구 '살던집 프로젝트', 복지 혁신 '2관왕' (사진=광주광산구 제공)

[폴리뉴스 박용철(=호남) 기자] 광주 광산구 '살던집 프로젝트'가 '대한민국 주거복지문화대상' 종합대상에 이어 '2025 대한민국 지방자치 혁신대상'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복지 혁신 평가에서 2관왕에 올랐다.

전국 최초 주거 기반 통합 돌봄 정책의 우수성을 입증한 이번 성과는 정부 정책 확산에도 탄력을 붙일 것으로 기대된다. '살던집 프로젝트'는 나이가 들어도 병원이나 요양시설이 아닌, 살아온 집에서 돌봄을 받길 원하는 시민의 바람에 응답한 정책이다.

광산구는 주거와 의료, 돌봄을 통합한 체계로, 돌봄이 필요한 시민이 원래 살던 장소에서 존엄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2025 대한민국 지방자치 혁신대상'에서 광산구 '살던집 프로젝트'는 예산 운용, 사업 성과, 주민 반응 등 전 지표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복지 혁신 부문 최우수상을 받았다. 광산구는 '대한민국 지방자치 혁신대상' 2년 연속 최우수상이라는 쾌거도 달성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주민들은 "퇴원 후 익숙한 집에서 생활할 수 있어 가족들의 부담이 줄고 마음까지 안정된다"며 "병원보다 익숙한 환경에서 회복하니 삶의 질이 크게 개선됐다"고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 다른 주민은 "케어홈센터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며 혼자서도 생활이 가능해졌다"며 "살던집에서 존엄하게 지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광산구는 지역 차원에서 사업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올해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성과를 확인한 후, 국민임대아파트와 고령자가 많은 일반 아파트까지 단계적으로 주거 기반 통합 돌봄 체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광주도시공사와 협력해 우산동 공공임대주택 단지에 돌봄 전문가가 상주하는 '케어홈센터'와 퇴원 후 회복·자립 공간인 '중간집'을 조성, 운영하고 있다.

이번 수상은 광산구가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장기입원 환자의 안정적 지역사회 복귀, 가족 돌봄 부담 경감, 의료비 절감 등 주거기반 돌봄사업의 혁신성과를 인정받은 결과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살던집 프로젝트'는 전국 최초 주거 기반 돌봄 정책에서 이제 대한민국 복지의 새로운 표준으로 도약하고 있다"며 "인간다운 삶과 존엄한 마지막을 지키는 광산의 혁신이 전국 곳곳으로 뻗어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