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상생과통일포럼 리더십 최고위과정 8기 22번째 수업은 최창섭 서강대 명예교수의 강의로 진행되었다. 최 교수는 강의를 통해 “철학적 사색을 통해 미디어를 이해하고 한국사회의 갈등을 해결할 방법을 찾자”고 제안했다. 미디어에 대한 의미론적 접근 철학의 7개 영역 중 하나인 의미론적sema…
동국대 ∙ 상생과통일포럼 리더십 최고위과정 8기 졸업식이 지난달 6월 24일 오후 6시 동국대 로터스홀에서 졸업생 및 주요 내빈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료했다. 졸업식을 마치고 8기 졸업생들 모두 함께 나와 “지금 이 순간”, “손에 손잡고” 등 노래공연을 이어갔다. 보시죠~…
동국대 ∙ 상생과통일포럼 리더십 최고위과정 8기 졸업식이 지난 6월 24일 오후 6시 동국대 로터스홀에서 졸업생 및 주요 내빈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료했다. 이날 내빈으로는 최응렬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장, 상생과통일포럼 공동대표인 최창섭 서강대 명예교수, 상임운영위원장 김능구 폴리뉴스…
지난 3일 동국대‧상생과통일포럼 리더십 최고위과정 8기 제19차 강의는 김능구 ㈜이윈컴 대표가 진행했다. 김능구 대표는 서울대학교 인문대 서양사학과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을 졸업하고 1991년부터 정치 커뮤니케이션그룹 (주)e윈컴의 대표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김 대표는 그 동안 14대 총선부터…
지난 10일 동국대‧상생과통일포럼 리더십 최고위과정 8기 제20차 강의는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 (16·17·18·20대 국회의원)이 진행했다. 김부겸 전 장관은 문재인 정부에서 제1대 행정안전부 장관을 역임하며 지방자치 분권‧검경수사권 조정 등의 핵심 국정과제 추진을 위해 힘썼다. ‘안전한 대…
동국대·상생과통일포럼 리더십 최고위과정 8기 21번째 강의는 이금룡 코글로닷컴 회장이 맡았다. 이금룡 회장은 ‘스마트시대의 창조적 리더십’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며 “변화를 읽고 이해하고, 그런 다음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는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벤처기업을 예로 들며, “Ve…
지난 3일 동국대·상생과통일포럼 리더십 최고위과정 8기 열여덟 번째 강의는 ‘지속가능 도시 서울’을 주제로 박원순 서울시장이 맡았다. 본 과정 1기부터 줄곧 함께 하고 있는 박원순 시장은 3기부터 서울시청 투어+시장실 간담회 형식으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날도 해설사의 설명과 함께 서울시 청…
동국대‧상생과통일포럼 리더십 최고위과정 8기 수강 일정표입니다.
지난 20일 동국대·상생과통일포럼 리더십 최고위과정 8기 열다섯 번째 강의는 ‘태양을 훔친 화가, 빈센트 반 고흐’를 주제로 양정무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가 맡았다. 양정무 교수는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런던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
지난 5월 20일 동국대·상생과통일포럼 리더십 최고위과정 8기 열 네번째 강의는 신병주 건국대 사학과 교수가 맡았다. 신병주 교수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및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를 전공하고 있으며, 역사 대중화에 관심을 두어 KBS 1 TV에서 ‘역사…
스포티파이는 세계 1위 오디오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2006년 23세 IT개발자 다니엘 에크가 스웨덴에서 만든 스타트업에서 시작됐는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스포티파이는 세계 1위 오디오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22006년 23세 IT개발자 다니엘 에크가 스웨덴에서 만든 스타트업에서 시작됐습니다. 1999년 개인이 보유한 음악파일을 인터넷에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냅스터’가 나온 후 불법 다운로드가 기승을 부렸습니다. 2001년 애플은 아이튠즈를 통해 이용자가 CD에서 음원을 추출해 MP3플레이어 아이팟에 옮겨 담도록 했습니다. 이용자들은 다양한 음악을 골라 들을 수 있게 됐지만, 음반사들은 파산 위기에 처했습니다. 애플은 아이튠즈 스토어에서 1곡당 99센트에 구매하는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스포티파이는 이용자가 무료로 음원을 듣게 하되, 수익은 광고로 충당하며 그 수익을 아티스트와 음반사에 배분했습니다. 스포티파이의 미국 진출을 저지하려 스티브 잡스는 음반사 등 여러 경로로 압력을 가했다고 전해집니다. 결국 전세계 3억명 이용, 7000만 곡을 제공하는 최대 음원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지금도 매출의 70%를 저작권료로, 지난해까지 26조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월 스포티파이는 한국에 진출했지만 초반 성적은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입니다. 그 이유 중 하나로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