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한유성 기자] 지난 3월 9일 대통령선거와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연거퍼 압승을 거두고 중앙권력과 지방권력의 정권교체를 달성한지 약 2주가 되가는 13일에 폴리뉴스는 <김능구와 이강윤의 여론조사 대해부> 대담을 가졌다. 김능구 : 마지막으로 좀 짧게 이야기해 보겠다. 지방선거 이후 잠룡에 대한 평가인데, 갤럽에서 6월 2주차에 장래 정치지도자 선호도 조사를 했다. 이강윤 : 같은 여론조사 업계에 있지만, ‘이런 조사 벌써 해도 되나’ 좀 심하다 싶으면서도, 이런 것 하나 나오면 사람들이 많이 본다. 이재명 15% 오세훈 10%, 그다음에 안철수 6% 홍준표 5%이고 한동훈이 첫 데뷔인데 무려 4%다. 이준석도 이름 올렸는데 1%다. 야권에서는 김동연 4% 이낙연 3%다. 이 조사에서 이재명과 오세훈은 어느 정도 얘기가 되는데, 솔직히 말하면 5년 남은 얘기라 이 중에 한두 명만 맞을 수도 있고 저는 다 틀릴 수도 있다고 본다. 지금 숫자는 전혀 의미가 없고, 다만 한동훈이 픽업됐다는 것, 김동현 픽업도 예상할 수 있었던 것이고, 오세훈이 한 10%쯤 나오더라 그 정도에 의미를 살짝 부여할 수 있겠다. 김능구 :…
[폴리뉴스 강경우 PD] 지난 3월 9일 대통령선거와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연거퍼 압승을 거두고 중앙권력과 지방권력의 정권교체를 달성한지 약 2주가 되가는 13일에 폴리뉴스는 <김능구와 이강윤의 여론조사 대해부> 대담을 가졌다
[폴리뉴스 강경우PD] 지난 3월 9일 대통령선거와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연거퍼 압승을 거두고 중앙권력과 지방권력의 정권교체를 달성한지 약 2주가 되가는 13일에 폴리뉴스는 <김능구와 이강윤의 여론조사 대해부> 대담을 가졌다
[폴리뉴스 한유성 기자] 지난 3월 9일 대통령선거와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연거퍼 압승을 거두고 중앙권력과 지방권력의 정권교체를 달성한지 약 2주가 되가는 13일에 폴리뉴스는 <김능구와 이강윤의 여론조사 대해부> 대담을 가졌다 김능구 : 다음은 민주당이다. 위기의 민주당, ‘민주당 길을 잃었다’는 여러 가지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다. 86세대 용퇴론이 있었는데 불출마 선언을 했던 우상호 의원이 86세대의 맞형이라고 볼 수 있는데 비대위원장을 맡았다. 어제 기자간담회가 있었는데 제 개인적으로는 우상호 의원의 최대치를 한 것 같다. 실제로 탄핵 당시 원내대표로서 여야협상을 이끌만큼 주역이었는데, 국민들은 그걸 잘 모른다. 이번에야말로 우상호로 대변되는 86세대가 그동안 어떻게 정치를 해 왔고 어떤 나라를 바라는지에 대해서 진검승부를 해야 될 때가 왔다고 생각한다. 송영길 대표도 86세대 맞형인데, 제가 볼 때는 실패했다. 이강윤 : 두 사람 캐릭터도 많이 다르고 등판하게 된 계기도 조금 다르다. 우상호 비대위원장이 훨씬 안 좋은 상황이긴 하지만, 저는 결과적으로 현재 거론되는 인물 중에서는 제일 무난한 카드였고 잘 할 수 있지
[폴리뉴스 강경우PD] 지난 3월 9일 대통령선거와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연거퍼 압승을 거두고 중앙권력과 지방권력의 정권교체를 달성한지 약 2주가 되가는 13일에 폴리뉴스는 <김능구와 이강윤의 여론조사 대해부> 대담을 가졌다.
[폴리뉴스 한유성 기자] 지난 3월 9일 대통령선거와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연거퍼 압승을 거두고 중앙권력과 지방권력의 정권교체를 달성한지 약 2주가 되가는 13일에 폴리뉴스는 <김능구와 이강윤의 여론조사 대해부> 대담을 가졌다.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 : 6월 13일, 여론조사 나타난 결과를 가지고 정국을 분석해보는 시간이다. 먼저 취임 한 달, 대통령 지지율이 좀 올랐었는데 오늘 보니까 주춤한 것 같다. 이강윤KSOI 소장 : 지방선거 끝난 지 13일째, 대통령 취임으로부터는 한 달하고 사흘 지났다. 말씀하신 대로 대통령 취임 직전부터 시작해서 약 3주간 대통령 취임 효과, 컨벤션 효과라고도 표현해왔는데, 30% 후반 또는 40% 초반에서 움직이던 지지율이 급격히 치솟아서 50%를 넘었다. 또한 지방선거 결과, 국민의힘이 잘한 것도 있지만 민주당이 굉장히 못했다고 표현하고 싶은데, 그 여파와 반사이익 등을 종합해서 대약진을 했다. 그래서 대통령 국정지지율, 잘할 것이라는 전망이 모두 50%를 넘고 국민의힘 정당지지율도 50%에 육박하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저희 KSOI가 TBS 의뢰로 6월 10일, 11일 이틀간 정례조사
[폴리뉴스 강경우PD]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고 6월 1일에 치러지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을 16일 앞둔 지난 16일폴리뉴스는 <김능구와 이강윤의 여론조사 대해부> 대담을 가졌다.
[폴리뉴스 한유성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고 6월 1일에 치러지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을 16일 앞둔 지난 16일폴리뉴스는 <김능구와 이강윤의 여론조사 대해부> 대담을 가졌다. 김능구 : 광역자치단체 전체의 지방선거 추이를 한번 짚어보자. 이강윤 : 경기도지사 김동연 후보와 김은혜 후보가 현재 섣불리 예측하기 힘든 굉장한 호각세다. 김동연이 이기기도 하고 김은혜가 이기기도 하는데, 전부 오차범위 내에서도 딱 붙어 있기 때문에 승패를 가릴 수 없다. 다만 무소속 강용석 후보가 4% 내지 5%를 보이고 있는데, 끝까지 완주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 어제 강용석 후보가 김은혜 후보에게 조건을 한두 가지 붙인 단일화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테면 당명 빼고 사람 이름만 불러주고 조사 한번 해보자 이런 거였는데, 현 시점에 김은혜가 받을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지만, 무시하고 끝까지 가기도 힘들 거다. 인천시장은 박남춘과 유정복의 리턴 매치가 벌어지고 있다. 여기서는 국힘 유정복 전 시장이 박남춘 현 시장을 앞서고 있다는 여론조사가 3대 2 비율로 많은 편이다. 박남춘 후보가 이기는 여론조사는 오차범위 이내인데, 유정복 후보가 이기는 여론조사 중
[폴리뉴스 강경우PD]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고 6월 1일에 치러지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을 16일 앞둔 지난 16일폴리뉴스는 <김능구와 이강윤의 여론조사 대해부> 대담을 가졌다.
[폴리뉴스 한유성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고 6월 1일에 치러지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을 16일 앞둔 지난 16일폴리뉴스는 <김능구와 이강윤의 여론조사 대해부> 대담을 가졌다.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 5월 10일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했고 오늘은 국회에서 시정연설도 했다. 어제는 주말을 맞이해서 쇼핑도 했는데, 종횡무진이라 할까, 윤석열 대통령의 캐릭터는 좀 다각적으로 봐야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강윤KSOI 소장 : 몸집은 큰데 돌아다니는 건 상당히 경쾌하고, 고집이나 뚝심 부릴 때는 끝까지 확실하게 밀어붙이고, 아무튼 여러 가지로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출근 가지고도 말이 많다. 김능구 : 대통령이 출근을 지각한다는 것은 사실 상상하기 어렵다. 경호실부터 시작해서 보좌하는 사람들이 많고 시간에 맞춰 움직일건데, 출근길 교통 혼잡을 피해주기 위해 늦은 건가 싶기도 하다. 이강윤 : 피크타임 때 계속 출근하고 있다. 저는 일부러라도 한 7시 전에 도착하리라고 생각했었다. 서초동에서 용산으로 출퇴근하는 게 길어봐야 한 달쯤이라고 한다. 그러면 일을 바지런하게 하고, 시민들의 트래픽 잼을 피해서 일찍 나온다는 걸 보여주려 하지 않을까.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지역상권법)’제정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습니다. 이 법은 지역상생구역이나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스타벅스 같은 대기업 계열 점포의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상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과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등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는 대기업입니다. 법안이 시행될 경우대기업이 운영하는 직영 점포의 신규 매장을 열기 위해서는 지역상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의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막고자 마련됐습니다. 복합 쇼핑몰이 들어오면 주변 임대료가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과도한 중복 규제라고 반발에 나섰습니다. 또 재산권과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데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보다 자영업체의 고용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상권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소상공인과 대기업 모두'상생'을 이룰 수 있는정책이 절실한 때입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안전성 불확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능 오염수 125만톤을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고 천천히 방류할 것이니 상관없다고 합니다.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트리튬)가 들어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 수산물에 흡수돼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 스트론튬90은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안하무인입니다. 한 고위관료는 “중국과 한국 따위에는 (비판을) 듣고 싶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미국은 “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일본에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작 후쿠시마 사고 이후 현재까지 사고 부근 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의 ALPS장비 성능에 문제가 없고 오염수 방류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합니다. 안심할 수 있는 안전대책, 기대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