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정찬 기자] 국민의당 싱크탱크 국민정책연구원(원장 이태규 의원)은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할 경우 자유한국당 지지율을 제치고 2위 정당으로 부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23일 공표했다.
국민의당 의총 직전인 지난 18~19일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R&R)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먼저 기존 정당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49.0%, 자유한국당 11.8%, 국민의당 5.5%, 바른정당 6.3%, 정의당 5.4%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만약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한다면 어느 정당을 지지하겠느냐’는 질문으로 진행한 통합시 정당지지도 조사에서는 민주당은 47.5%로 기존정당 지지도 대비 1.5%p 하락했고 한국당 지지율은 11.7%로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국민·바른 통합정당의 지지율은 19.2%로 급등하면서 2위 정당으로 올라섰고 정의당은 4.2%로 기존 정당지지도에 비해 소폭 하락했다.
국민·바른 통합시 기존 정당지지도에서의 양당 지지율 합 11.8%보다 7.4%p가 더 높게 나왔다. 이 같은 결과는 무당층 내지는 의견 유보층에서 통합정당 지지로 이동한 때문이다. 또 질문에서 ‘통합정당’에 대한 ‘각인 효과’로 통합정당 지지 응답이 높게 형성된 측면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이 앞으로 가야할 길에 대해 다른 정당과 연대·통합해야 한다는 비율이 독자세력으로 성장해야 한다고 보는 비율보다 약간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대·통합 응답은 45.6%로 독자세력 성장 40.0%보다 조금 높았다.
하지만 막상 특정 정당과 통합을 묻는 물음에 대해서는 공감하지 않는다는 비율이 높았다. 국민의당이 바른정당이나 더불어민주당과 통합하는 것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각각 58%, 57.9%로 공감한다 비율 36.6%, 37.2%를 크게 앞질렀다.
국민의당이 추구해야 할 노선은 ‘진보나 보수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은 중도’라는 답변이 36.1%로 월등했다. 진보에 가까운 중도는 21.7%, 진보는 15.2%였고, 보수에 가까운 중도는 9.1%, 보수는 6.2%였다.
국민의당 노선 이외에 전술핵 재배치 찬반 의견은 찬성이 54.3%로 반대 36.5%를 크게 앞질렀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찬성하는 응답은 55.1%, 반대는 29.6%로 나타났다. 사드 추가 배치에 대해서는 찬성 49.5%, 반대 44.0%로 팽팽하게 맞섰다.
이번 조사는 지난 18~19일 전국 성인 남녀 1050명을 대상으로 무선전화면접(87%) 유선전화면접(13%)를 병행해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p이며 응답률은 11%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청와대를 출입하면서 여론조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정치-외교-안보-통일 등의 현안을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윤중현 기자] 분양 시장이 본격적으로 기지개를 켭니다. 18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서대문구 홍제3주택재개발구역에 들어서는 홍제역 해링턴 플레이스와 비산2구역 주택재건축 단지인 평촌 래미안 푸르지오, 충남 아산탕정지구에 공급되는 탕정지구 지웰시티 푸르지오 등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들이 견본주택 문을 엽니다. 이들 단지 외에도 이달 전국에서는 1만4680가구 중 1만2394가구(84%)가 일반분양을 마쳤거나 분양을 앞두고 있습니다.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 분양이 많아 분양수는 4년 평균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효성중공업과 진흥기업은 22일 서울 홍제3동 일대에 홍제역 해링턴 플레이스 견본주택을 연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0층, 18개 동, 전용면적 39∼114㎡ 1116가구 중 419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단지에서 도보 거리에 지하철 3호선 홍제역이 있으며 내부순환도로 홍제IC, 홍은IC도 인접해 있다. 인왕초·중, 서대문도서관이 가까우며 단지 뒤로 인왕산 등산로가 인접해 있어 주거 여건이 쾌적하다. 대우건설과 삼성물산도 같은 날 경기 안양 동안구 비산2동에 평촌 래미안 푸르지오 견본주택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최근 국내 은행과 금융권에서는 핀테크랩 운영이 한창이다. 핀테크(금융에 IT 기술 접목) 스타트업에 무료 업무공간을 제공하고 투자자를 연계하는 등의 지원은 물론 디지털 금융 서비스도 함께 개발한다. 현재 금융권에는 7개의 핀테크랩이 존재한다. KB금융그룹의 ‘KB이노베이션허브’ KB금융과 스타트업이 핀테크 기술과 오픈소스를 연구하고 협업하는 공간이다. 지난해 말까지 업무제휴 79건, KB금융 계열사 투자 134억 원 연계라는 성과를 냈다.KB이노베이션허브가 육성하는 핀테크 스타트업 ‘KB스타터스’도 59개사에 달한다. KB스타터스로 선정된 간편결제 스타트업 ‘페이민트’는 최근 국민은행과 업무협약을 맺고 제로페이 사업에 참여했다. KEB하나은행의 ‘원큐애자일랩’ 지난 2015년 6월 은행권 최초로 탄생한 핀테크 스타트업 멘토링 센터다. 지난해 10월까지 54개 핀테크 기업을 발굴 및 육성했다.하나은행의 AI서비스 ‘하이뱅킹’은 원큐애자일랩 4기 ‘마인즈랩’의 인공지능(AI) 자연어 처리기술을 은행 플랫폼에 적용해 대화형 금융서비스를 구현한 사례다. 우리은행의 ‘위비핀테크랩’ 지난 2016년 8월부터 17개 혁신벤처기업을 육성했다. 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