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대, 피격 사건에도 생활 이슈 뉴스에만 관심
이준석 “친여 성향 3040, 이번 사건 의도적으로 외면”
장제원 “北 규탄하면서도 민생 문제도 집중해야”

뚜렷이 그 주제가 갈리고 있는 20대와 40대의 '많이본뉴스' 랭킹 기사 목록 <사진=네이버 포털 캡쳐>
▲ 뚜렷이 그 주제가 갈리고 있는 20대와 40대의 '많이본뉴스' 랭킹 기사 목록 <사진=네이버 포털 캡쳐>

북한의 연평도 NLL해상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세대별로 관심도가 크게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사건이 일어난 22일 이후 포털사이트 ‘네이버’의 ‘많이본 뉴스’의 세대별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 세대별로 자주 보는 뉴스의 성격이 아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에 정치권은 각자의 해석을 내놓고 있다.

본지의 조사에 따르면, 20대와 60대 이상 세대는 북한의 NLL 피격 사건과 관련한 소식을 다루는 뉴스들을 중점적으로 봤다. 반면 범여권 지지 성향이 강한 30대와 40대는 해당 사건에 대한 뉴스는 거의 보지 않고, 경제와 생활 이슈를 다루는 뉴스를 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종의 ‘뉴스 편식’ 현상이 광범위하며, 그것이 세대별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는 뜻이다.

9월 29일 현재 시점에서, 20대가 가장 많이 본 뉴스는 사망한 공무원의 월북 가능성 관련 기사인 반면, 40대가 가장 많이 본 기사는 이방카 트럼프의 미국 부통령 지명 가능성 관련 기사이다. 60대의 경우 상위권 랭킹기사는 전부 정치 기사로 구성돼 있다.

대북 인식 차이‧의도적 스크리닝 가설 제기돼

이러한 현상에 대해 여러 해석이 나온다. 첫째로, 북한에 대한 세대별 인식 차이가 지적된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29일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20대에서 30대 초반 정도의 세대는 북한에 대한 배타적 반감이 강하다. 소위 ‘금수저’라고 볼 수 있는 김정은 독재 체제의 기득권적인 모습을 혐오한다. 북한에 대한 정파성 논쟁이 아예 스며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홍 소장은 “반면 40대들은 대학 다닐 때 북한이 남한보다 정통성 있다고 배운 세대들이다. 30대 중후반 이상도 남북문제에 대해 우호적인 시각을 학습한 세대다. 북한에 대한 인식의 세대별 학습이 다르다”고 지적했다.

둘째로는, 현 정부여당에 불리한 이슈이기에, 의도적으로 여권 지지층들이 관련 뉴스를 스크리닝한다는 가설도 제기된다. 홍 소장은 이날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친여 성향이 강한 3040대들은 이번 피격 사건의 이슈화 자체가 현 정부에 불리하다고 보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외면하는 경향도 있다고 보인다”며 “안보 문제를 그 자체로 보지 않고 정치적 프레임으로 해석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 소장 역시 이날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3040대들은 현 정권에 우호적이지만, 20대들과 60대 이상 세대들은 정권 비판적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라며 “이에 더해 네이버 같은 포탈에서 뉴스 레이아웃을 손을 보는데, 그 알고리즘의 영향도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이날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여권 지지성향이 강한 3040대 같은 경우, 이번 사건으로 드러난 자국민 보호 소홀이라는 사실 자체를 의도적으로 외면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의도적으로 보고 싶은 뉴스만 보는 것”이라고 정리했다.

그러면서 이 전 최고위원은 “과거 새누리당 집권 시절 세월호 이슈에 현 3040대들이 크게 반응하고, 다른 세대들에 비해 관련 뉴스를 더 많이 소비한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해석했다.

마지막으로는 3040대들이 ‘생활 이슈’에 크게 중점을 둔다는 해석도 있다. 대민 접촉과 의사소통이 활발한 박결 국민의힘 중앙청년위원장은 이날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일선에서 만나는 3040세대의 경우, 여당 지지 성향 이전에 정치 혐오감이 크다. 자신 개인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크다”며 “이데올로기적 접근보다는 실질적 혜택을 중요시한다”고 분석했다.

野 “3040대 무관심해도 국민의 생명 문제이기에 문제제기는 계속돼야”

해석론이 나뉘기에, 이에 대한 대처 방법론 또한 보수 야당 내에서도 나뉘고 있다. 대체로 3040대들이 무관심하다고 해도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안보 이슈에 대해 야당은 어쨌거나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편이었다.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섣부른 해석을 경계하면서도 “이런 상황이 철저히 분석돼서 팩트로 드러난다고 전제할 경우, 국민의 생명과 안전 문제와 관련된 북한의 만행을 규탄하면서도, 국민의 구체적인 민생의 문제 역시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장 의원은 “모든 생산활동의 중추인 40대가 국가적 문제에 크게 관심이 없다면, 국가적으로 엄청난 사안인 북측이 우리 국민의 생명을 앗아간 문제에 대한 규탄도 하는 동시에 민생문제에도 계속 중점을 둬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석 전 최고위원은 반면 “소비 비중이 적을 뿐, 아무도 (북한 관련 뉴스를) 3040대가 소비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약간의 여론 변화는 일어나고 있다”며 “노무현 정부 당시에도 열성 지지층이 실망했던 것처럼, 부동산 이슈 등과 관련해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해석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통화에서 “국민의 생명과 관련된 안보 이슈에 대한 3040대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덜하다고 할지라도, 야당은 최선을 다해서 해당 이슈에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웅 국민의힘 의원 또한 이날 통화에서 “이 부분에 대해서 문제제기를 하고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는 국민들이 분노하고 진실 규명을 바라시므로, 야당은 이에 집중해야 한다”며 “친문 지지층이 견고하다고 해도, 그 외연은 점차 축소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분명한 것은 정확한 원인분석이 전제돼야 한다는 점이다. 장성철 공감과논쟁 정책센터 소장은 이날 통화에서 “심층 연구를 해봐야 할 문제”라며 “야당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철저한 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