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김유경 기자] '클럽하우스'란 초대받은 사용자끼리 자유롭게 방을 만들어 '음성' 대화를 나눌 수 있는 SNS입니다.
미국 실리콘밸리 개발자 폴 데이비슨과 로한 세스가 만든 스타트업으로,
코로나19로 비대면 소통이 트렌드가 되면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나 오프라 윈프리 등 유명인사들이 참여하면서 인기가 치솟았고
우리나라에서도 정치, 경제, 문화예술계 등 '인플루언서'들이 합세하고 있습니다.
<가디언>은 클럽하우스의 현재 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1200억원)에 달한다고 전했습니다.
나온 지 1년도 채 되지 않았고 구체적인 수익 모델도 정해지지 않았는데도 말입니다.
클럽하우스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아무나 들어갈 수 없다는 데 있습니다.
기존 이용자로부터 초대장을 받아야 하며, 초대는 한 사람당 2명만 가능합니다.
이러한 '폐쇄성' 때문에 '나도 끼고 싶다'는 욕구를 불러일으키지만,
동시에 그곳에 속하지 못한 사람들을 소통창에서 배제하는 속성을 갖고 있습니다.
방 안에서는 위계적 소통이 이뤄집니다.
발언권이 있는 사람만 말할 수 있고, 방 관리자가 말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즉 현실에서의 권력구조가 연장되는 구조입니다.
방송인 딘딘은 "클럽하우스는 끼리끼리 더 권력화된 소통이다.
중세시대 귀족파티에 들어가기 위한 노력 같다"고 말했습니다.
게다가 거짓 소문, 차별, 혐오 발언 등을 걸러낼 수 없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힙니다.
그럼에도 클럽하우스는 매력적인 요소가 많습니다.
음성에 기반해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며 기록이 남지 않는 ‘휘발성’ 덕에
좀 더 자유롭게 자기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통로입니다.
지난해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으로 인종차별 반대 시위가 확산되던 때
주류 언론에서 소외된 이들이 목소리를 발산하는 공간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클럽하우스는 매력적인 요소가 많습니다.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대화를 녹음하거나 타인에게 공유할 수 없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지난해 5월 흑인들의 인종차별 반대 시위와 맞물려 주류 언론에서 소외된 이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발산하는 공간이 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들도 지금 클럽하우스에 속해 있습니까?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최근 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최근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쿠팡이 유료 회원이 아니어도 무료 로켓배송을 하겠다며 먼저 경쟁 신호탄을 쏘았습니다. 배송비 면제로 사실상 최저가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이마트는 쿠팡과 롯데마트몰, 홈플러스몰보다 구매 상품이 비싸면 그 차액을 자사 포인트로 적립해준다며 응수했습니다. 롯데마트도 맞불을 놨습니다. 이마트가 최저가를 선언한 생필품 500개 품목을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합니다. 포인트도 5배 더 줍니다. 마켓컬리도 과일, 채소 등 60여종의 신선식품을1년 내내 최저가에 판매한다며 전쟁에 참가했습니다. 이에 질새라 편의점까지 가세했습니다. CU와 GS25는 6종의 친환경 채소를 대형 마트보다 싸게 판매합니다. 업계는 이를 통해 마케팅은 물론오프라인 매장으로 고객유도효과도노리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보상받은 차액 ‘e머니’는 오프라인에서 쓸 수 있고,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제 살 깎아먹기식 출혈경쟁은 결국납품업체로 부담이 전가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