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혁신은 승리를 위한 혁신…평가는 국민이 판단할 것”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지난 25일 <폴리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당 혁신위원회에서 제시한 ‘현역의원 20% 공천 배제’에 대해서 “20%라는 숫자는 그렇게 공포스러운 수치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사진=이은재 기자>
▲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지난 25일 <폴리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당 혁신위원회에서 제시한 ‘현역의원 20% 공천 배제’에 대해서 “20%라는 숫자는 그렇게 공포스러운 수치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사진=이은재 기자>

[폴리뉴스 서예진 기자]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지난 25일 당 혁신위원회에서 제시한 ‘현역의원 20% 공천 배제’에 대해서 “20%라는 숫자는 그렇게 공포스러운 수치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폴리뉴스> 본사에서 김능구 대표와의 ‘정국진단’ 인터뷰를 갖고 “지금까지의 선거를 보면 누구를 교체하느냐가 힘든 문제인 것이지 결과적으로는 20% 이상 교체되기 때문”이라면서 이같이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역의원을 평가하는 것은 국민의 기준에 맞추는 것이 좋다”면서 그 기준으로 당선가능성과 정체성을 들었다.

그는 ‘당선가능성’에 대해 “국민으로부터 ‘다음 선거에서는 이런 사람을 뽑아야 할 것 같다’에 대해 좋은 점수를 받은 후보”라면서 “이런 후보를 당에서 공천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한 정체성에 대해서는 “새정치연합을 지지하는 국민은 ‘이 당이 이렇게 바뀌어야 한다’는 정도의 견해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면서 “결국 평가위원회가 현역 의원을 평가할 때 당선가능성과 정체성이라는 기준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원내대표는 문재인 대표 체제하의 새정치연합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는 “이제는 어느 정도 당이 안정되고 있기 때문에 당 대표를 중심으로 당을 관리하고 공백이 생길 때 원내대표로서 메울 것”이라면서도 “일단 원내대표로서 원내전략에 모든 시간과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5월) 원내대표가 될 당시, 저는 원내정치에 전념하고 당내에는 당 대표나 최고위원회도 있으니 제 역할은 2차적이라고 생각했었다”고 덧붙였다.

“이번 혁신은 승리를 위한 혁신…평가는 국민이 판단할 것”

또한 이종걸 원내대표는 ‘혁신안이 내부의 제도문제만 접근한다’는 비판과 관련, “이번 혁신은 승리를 위한 혁신”이라고 말했다.

그는 혁신이라는 말은 그때그때 담고 있는 내용이 상대적이라면서 김상곤 혁신위원회는 4.29재보궐선거에서 드러난 분열과 갈등을 해결해 일치와 통합을 이뤄 다음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출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런 관점에서 혁신위가 다음 선거에서 승리의 토대를 만들었는지, 혹은 (완벽하게) 일치와 통합의 완성을 이루진 못했더라도 그 계기를 만들어냈느냐는 관점에서 평가해야 한다”면서 “혁신에 대한 평가는 국민이 판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원내대표는 혁신위에서 주장한 ‘국회의원 청년후보 10%’와 혁신 과정에서 불거져 나온 ‘86 그룹 하방론’, ‘중진 용퇴론’에 대해서도 견해를 밝혔다.

‘청년후보 10%’에 대해서는 “당이 젊어지고, 젊은 당으로 할 일이 많기 때문에 젊은 층이 구성 요소가 되고 중추가 되어야 한다는 점은 동의한다”면서도 지난 2012년 진행된 19대 총선 청년비례대표 선발과정은 흥행하지 못했던 것을 지적해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86그룹 용퇴론’에 대해서는 “386 뿐만 아니라 모든 현역 의원들을 평가할 때 그동안 활동한 것과 새로운 정치에 대한 기여 등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런 기준으로 평가할 때 40대, 50대, 386, 이런 식으로 나눠서 거기에 대해 권리와 책임을 부여하는 것은 썩 좋은 방법이 아니다”라며 “결과가 바라는 대로 나오지도 않고 오히려 그르칠 염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원) 평가를 할 때는 세분화시켜서 정치적 역량, 미래에 대한 정치적 기여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정치적 진퇴에 대한 판단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진 용퇴론’에 대해서도 “신구(新舊)조화가 이뤄져야 당이 균형이 잡하고, 미래에 대한 전략이 국민의 눈높이를 따라가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용퇴는 당연한 것”이라는 원칙적 입장을 밝혔다.

또한 그 정치인을 선택해온 유권자들의 뜻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치경력이 오래 되서 장점이 사라지고 상황 판단도 무뎌져서 저평가 대열로 빠지는 경우가 있는 반면, 오히려 시간이 가면 갈수록 더 유능해지고 경륜이 높아지는 그런 분들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런 것들이 국민 눈앞에 철저히 잘 드러날 수 있는 제도를 통해 평가돼야 한다”며 “이제 그만 가야할 이유가 커지는 경우가 되면 그만둬야 하지만 나이 들어가면서 정치적 폭과 기반이 넓어지는 부분은 사회적으로 더 평가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당내 문제로 넘어가보자. 문재인 대표 체제가 지난 4.29 재보선으로 인해 흔들렸지만 혁신위를 발족시키고 최근엔 주승용 최고위원도 복귀해서 당이 여전히 어렵고 위기지만 갈 길은 나름대로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원내대표의 입장으로서 문 대표의 새정치연합을 어떻게 보시는가. 

-제가 원내대표가 될 당시, 저는 원내정치에 전념하고 당내에는 당 대표나 최고위원회도 있으니 제 역할은 2차적이라고 생각했었다. 이제는 주승용 최고위원도 복귀했고 어느 정도 당이 안정되고 있기 때문에 당 대표를 중심으로 당을 관리하고 공백이 생길 때만 제가 메우도록 노력해야겠지만, 일단 원내대표로서 원내전략에 모든 시간과 노력을 다하려고 한다. 

▲최근 8차 혁신안이 나오고 당무위에서도 통과했는데, 야당의 혁신에 대한 국민적 평가가 썩 좋아보이지는 않다. 왜냐하면 새정치연합이 혁신을 통해 개혁되고, 정권교체를 위해 새롭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를 기대했는데 혁신위에서는 내부의 제도문제로만 접근한다는 비판이 있다.

-혁신이라는 말은 그때그때 담고 있는 내용이 다르다고 본다. 상대적이라는 뜻이다. 이번에 혁신위원회를 띄울 때를 상기해보면 지난 재보궐에서 이길 수 있는 선거였음에도 내부조정을 잘못해서 완패하지 않았나. 그 이유는 분열과 갈등이었다. 즉 혁신위원회는 일치와 통합을 통해 다음 선거에서는 국민의 기대를 받아 승리하는 정당을 만들기 위해 출범했다. 이번 혁신은 승리를 위한 혁신인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혁신위가 다음 선거에서 승리의 토대를 만들었느냐, 혹은 일치와 통합의 완성을 이루진 못했더라도 그 계기를 만들어냈느냐는 관점에서 평가해야 한다. 혁신에 대한 평가는 국민이 판단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혁신위에서는 또 국회의원 청년후보 10% 공천을 주장했다. 현재 원내에 있는 청년비례대표가 김광진·장하나 의원 두 명 뿐인 것을 감안한다면 현실적으로 무리라는 지적이 있다. 

-일단 당이 새로워져야 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지난 선거에서의 청년 비례대표 선발 방법은 흥행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당이 젊어지고, 젊은 당으로 할 일이 많기 때문에 젊은 층이 구성 요소가 되고 중추가 되어야 한다는 점은 동의한다. 

▲8차 혁신안에서 현역의원 평가 하위 20%를 공천에서 배제하겠다고 했다. 지난 총선 때 새누리당에서는 25%를 배제한다면서 평가자료와 기준을 공개하지 않아 ‘공천학살’이라는 평가까지 나왔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시는가.

-현역의원을 평가하는 것은 국민의 기준에 맞추는 것이 좋다고 본다. 국민으로부터 ‘다음 선거에서는 이런 사람을 뽑아야 할 것 같다’면서 좋은 점수를 받은 후보를 당에서 공천하는 것이고 이게 당선가능성이다. 당선가능성이 하나의 기준이다. 또 다른 기준은 정체성이다. 국민이 새정치연합의 정체성까지 파악해서 평가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겠지만, 저는 새정치연합을 지지하는 국민들은 ‘이 당이 이렇게 바뀌어야 한다’는 정도의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결국 평가위원회가 현역 의원을 평가할 때 당선가능성과 정체성이라는 기준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지금까지 선거를 보면, 20% 이상 교체된다. 누구를 교체하느냐가 힘든 문제인 것이지 결과적으로 따져보면 20% 이상이 교체되기 때문에, 그렇게 공포스러운 수치는 아니다.

▲야당에서 이번에 불거져 나온 것이 계파문제와 86그룹 하방론이 있다. 흔히 386세대, 야당의 기대를 가져온 세대인데 자기역할 못하고 기득권층이 됐다는 비판과 함께 하방론이 제기됐는데 어떻게 보나.

-386 뿐만 아니라 모든 현역 의원들을 평가할 때 그동안 활동한 것과 새로운 정치에 대한 기여 등 기준을 세워야 한다. 또한 그런 기준으로 평가할 때 40대, 50대, 386, 이런 식으로 나눠서 거기에 대해 권리와 책임을 부여하는 것은 썩 좋은 방법이 아니다. 결과가 바라는 대로 나오지도 않고 오히려 그르칠 염려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평가를 할 때는 세분화시켜서 정치적 역량, 미래에 대한 정치적 기여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정치적 진퇴에 대한 판단을 해야 한다고 본다. 

▲어느덧 4선의원인데 중진 용퇴론도 있지 않나. 정치사를 돌아보면 3선 이상은 자신에 대한 평가와는 별개로 거취문제를 고민해야 하는 시절이 있었다. 이번에도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어떤 원칙을 가지고 있는가. 

-신구조화가 이뤄져야 당이 균형이 잡히고, 미래에 대한 전략이 국민의 눈높이를 따라가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용퇴는 당연한 것이다. 노쇠함으로써 에너지가 떨어지고, 새로움에 대한 열망과 기능이 떨어졌을 때 새롭게 나아가려는 정치의 특성상 당연히 용퇴는 있을 수밖에 없다는 원칙적 입장이다.

또 그 사람을 선택해온, 앞으로 선택할 유권자들의 기준이 있을 것이다. 정치경력이 오래 되서 장점이 사라지고 신선함이 떨어지고 상황 판단도 무뎌지고 건강도 안 좋아져서 저평가 대열로 빠지는 경우가 있는 반면, 오히려 시간이 가면 갈수록 더 유능해지고 경륜이 높아지고 정치에 있어서 포괄성을 더 획득해나가는 그런 분들도 있다. 이런 것들이 국민 눈앞에 철저히 잘 드러날 수 있는 제도를 통해 평가됐으면 한다. 이것도 꼭 ‘늙은 사람은 가라’고 말 할 필요는 없다. 이제 그만 가야할 이유가 커지는 경우가 되면 그만둬야 하지만 나이 들어가면서 정치적 폭과 기반이 넓어지는 부분은 사회적으로 더 평가받을 수 있다고 본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